제237회 양양군의회(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회의록
제3호
양양군의회사무과
일시 2018년 12월 3일(월) 10시 00분 개의
장소 소회의실
- 의사일정
- 1. 2019년도 세입세출예산안(계속)
(10시 00분 개의)
○위원장 김택철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37회 양양군의회 정례회 제3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개회를 선언합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2019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37회 양양군의회 정례회 제3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개회를 선언합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2019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먼저 복지과 소관에 대한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과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의원님 여러분께서는 질의 시 발언권을 얻어서 꼭 해주시고, 질의사항이 많으신 의원은 5분 이내로 1차 발언하시고 타 의원이 하신 다음에 또 재차 질의를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복지과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과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의원님 여러분께서는 질의 시 발언권을 얻어서 꼭 해주시고, 질의사항이 많으신 의원은 5분 이내로 1차 발언하시고 타 의원이 하신 다음에 또 재차 질의를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복지과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안녕하십니까?
복지과장 이교환입니다.
2019년도 복지과 본예산 세출예산 사업명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들은 분량이 좀 많아서 간략하게 세부사업명 위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과 내년도 총 예산액은 526억 1,992만 7천 원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67억 7,240만 1천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사회복지 운영관리 정책 내 사회복지 운영 단위사업 내 사회복지시설 운영 세부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5억 2,112만 원이 되겠습니다.
아래쪽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상해보험 가입비 지원액이 173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재해구호물품 구입사업이 572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교육 및 홍보사업이 9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역복지사업 기반 조성사업이 4,766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사업이 1,8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통합조사업무 추진사업이 63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무연고자 부랑인 보호관리 사업이 5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재가진폐환자 문화생활비 지원 사업이 12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지역복지사업 기반 조성사업으로 24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지역사회복지체계 구축 단위사업 아래 사회복지협의회 운영 및 사회복지신문 구독 지원 사업이 9,43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이동목욕차량 운영지원 사업이 1,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동세탁차량 운영지원 사업이 1,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청소년 보호 및 육성 정책사업 아래 청소년 건전 육성 단위사업 아래 청소년 선도활동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55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청소년 보호법 위반 신고포상제 운영사업이 5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청소년수련관 운영사업 2억 2,052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청소년 동아리 지원 사업이 1,25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청소년 건강지원 사업으로 97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소년 활동 지원 단위사업 아래 지역청소년참여기구 운영사업으로 2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청소년 어울마당 운영사업으로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수련시설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소년 업무 교육 및 활동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운영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보훈 선양 정책사업 아래 국가보훈 관리 및 지원 단위사업이 되겠습니다.
아래 국가유공자 및 보훈단체 관리 세부사업이 되겠습니다.
5억 9,640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보훈단체 지원 및 보훈사업 추진사업으로 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훈단체 지원 및 보훈사업 추진으로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훈단체 지원 및 보훈사업 추진으로 강원도 참전명예수당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억 2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번에 처음 반영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도지사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국가기념일 행사 운영 단위사업으로 3·1절 행사 운영 세부사업이 되겠습니다.
1,4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현충일 행사 운영 세부사업으로 1,20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5 기념행사 운영사업으로 5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층 생활안정 지원 사업 정책사업 저소득층 자활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아래 긴급 복지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억 9,69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으로 2억 7,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대납사업으로 6,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위기사례관리가구 지원 사업 단위사업 아래 시군구 통합사례관리 지원 사업입니다.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읍면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 사업으로 5,0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위기사례관리가구 지원 사업으로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건복지전달체계 운영사업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찾아가는 복지상담실 운영사업으로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민 기초생활 보장 정책 사업으로 아래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아래 생계급여 사업입니다.
45억 5,353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교육급여 사업입니다.
932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해산장제급여 사업으로 4,006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으로 자활근로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1억 4,678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사업으로 지역자활센터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2억 1,72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으로 가사간병 방문 지원 사업으로 1억 12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푸드뱅크 운영지원 사업으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층 특별지원 사업으로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탈수급 지원 사업으로 6,161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급자 양곡할인 지원 사업으로 1,119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지방생활보장위원회 운영사업으로 16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사업으로 자활장려금으로 1,63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사업으로 지역자활센터 환경개선사업이 되겠습니다.
2,32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복지증진 정책 사업입니다.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연금 급여지급 세부사업입니다.
11억 7,689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수당 지급 사업입니다.
1억 1,42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수당 차상위 등 지급입니다.
9,37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사업입니다.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기초생활보장 지원 사업입니다.
2,142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위치추적기 지원 사업입니다.
83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후견비용 지원 사업입니다.
18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중증장애인가구 유료방송 이용요금 지원 사업입니다.
41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의료비 지원 단위사업으로 보조기구교부 세부사업입니다.
271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의료비 지원 사업입니다.
1,467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장애인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사업입니다.
12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사회활동 지원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 사회참여행사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14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사회참여 활동지원 사업으로 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의 날 행사 운영사업으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시설장애인 사회적응활동 지원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일반형 일자리 사업으로 1억 7,352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생활편의 제공 사업으로 456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편의시설 운영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 역량강화 세부사업입니다.
2,2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 세부사업으로 1억 4,349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복지시설 지원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1억 8,023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사업으로 정다운일터가 되겠습니다.
2억 5,72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12억 2,87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운영사업으로 3,96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거주시설 운영지원 사업으로 28억 233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거주시설 운영지원 사업으로 이건 도비사업이 되겠습니다.
2,43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복지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5,26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활동지원 급여지원 사업으로 6억 6,599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운영지원 사업으로 1억 6,404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지원 사업으로 5,585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언어발달지원 바우처 지원 사업으로 822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어통역센터 운영지원 사업으로 1억 5,7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거주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6,59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2,48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활동보조 가산급여 사업으로 104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사회재활시설 수어통역센터에 대한 기능보강사업으로 1,759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 아동가족 지원 단위사업 아래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41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복지 증진 정책사업 아래 노후 생활보장 단위사업 아래 노인복지행사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2,08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의 날 행사 운영사업으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기초연금 지급사업으로 165억 9,95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현금급여 지원 사업입니다.
1,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29억 6,49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지원 사업으로 2억 8,30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단가 보조 국고지원 사업 3억 7,32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단기가사서비스 단가 보조 사업으로 365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 지원 사업입니다.
4,8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경로식당 무료급식 지원 사업입니다.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취업형 100세 시대 어르신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이해증진 및 효문화 정립 지원 사업으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지원 사업으로 2,45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지원 사업으로 6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지원 사업으로 67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돌봄서비스 종사자 활동보조 수당으로 2,5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100세 시대 어르신 일자리 사업으로 1억 8,92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노인 복지시설 지원 사업 단위사업 아래 노인생활시설 운영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3억 5,520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재가 노인복지시설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4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복지관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6억 1,8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 사회활동지원 세부사업입니다.
7,68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38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억 7,161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관리자 지원 사업입니다.
8,46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노인 이해증진 및 효문화 정립 노인대학 운영 프로그램비 지원 사업입니다.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냉난방비 및 양곡비 지원 국고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2억 7,123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승2리 경로당 신축 지원 사업입니다.
1억 6,26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조산리 경로당 신축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양양군 노인복지관 증축사업이 되겠습니다.
3억 4,880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묘관리 정책 사업으로 장사시설 운영관리 단위사업 아래 공설묘지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1억 7,938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장례식장 세부사업입니다.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복지증진 정책사업 아래 여성 사회참여 증진 단위사업 내에 여성 사회참여 행사지원 세부사업입니다.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양성평등대회 세부사업으로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양성평등위원회 운영사업으로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가족정책 추진사업으로 다문화신문 구독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주부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입니다.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새일센터 지정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5,77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새일센터 운영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사업으로 1,222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이돌봄 지원 사업으로 3억 7,85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단체협의회 운영지원 사업으로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성별영향평가 운영사업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여성안전지역연대 운영사업으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 사업으로 5,565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새일여성인턴 지원 사업으로 5,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한부모가정 지원 단위사업 아래 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한부모 아동양육비 등 지원 사업으로 1억 1,11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한부모가족자녀 교육비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한부모가정 생활안정 지원 사업으로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회관 운영 단위사업 아래 여성회관 운영관리 세부사업입니다.
8,06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회관 교육 지원 사업으로 2억 8,8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 지원 단위사업 아래 다문화가족 모국방문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1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원 사업입니다.
3,80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원 사업입니다.
센터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3,7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다문화특화사업 방문교육서비스 사업이 되겠습니다.
3,67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다문화특화사업 한국어교육 세부사업입니다.
2,216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미혼자 국제결혼 지원 세부사업으로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다문화자녀 한글학습지 지원 사업으로 85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사업입니다.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아동복지 증진 정책사업 아래 저소득층 아동관리 단위사업 아래 양양어린이날 행사 운영보조 세부사업입니다.
2,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 세부사업으로 1억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아동발달지원계좌 지원 세부사업으로 3,3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급식비 지원 세부사업으로 3억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불우아동 지원 세부사업으로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정위탁 양육비 지원 사업으로 8,4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입양아동 양육수당 지원 세부사업으로 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입양아동 가족 지원 세부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입양·가정위탁아동 심리치료 지원 사업으로 2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보호아동 관리 단위사업 아래 보호아동 생활안정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4,56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수당 급여사업입니다.
8억 4,99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동수당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9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지원 사업입니다.
2,99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육아 기본수당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억 2,31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동복지 운영 단위사업 아래 아동복지교사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6,772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복지교사 지원 사업입니다.
도비보조 사업입니다.
1,013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사업입니다.
3억 3,87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사업입니다.
7,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우수지역 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23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어울림 한마당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문화체험 캠프 지원 사업입니다.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 사업입니다.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육시설 아동 지원 단위사업 아래 영유아보육료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0억 8,15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보육료 부모부담금 지원 세부사업으로 949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 세부사업으로 6억 1,935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정양육수당 지원 세부사업으로 4억 192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다자녀가정 특별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07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부모 모니터링단 운영지원 사업으로 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입학준비금 지원 사업으로 59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동복지시설 지원 단위사업 아래 보육시설 일반 행사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6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육정책위원회 운영사업으로 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어린이집 품질향상 지원 사업으로 2,5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교직원 처우개선 지원 사업으로 6,55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지원 사업으로 2,85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환경개선 지원 사업으로 6,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공공형 어린이집 지원 사업으로 1억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15억 3,87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보육교직원 장기근속수당 지원 사업으로 3,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육교직원 처우개선 지원 사업으로 2억 5,23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차량유류비 지원 사업으로 4,5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지원 및 점검 지원 사업으로 1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복지과 행정운영경비 정책사업 아래 인력운영비 세부사업입니다.
복지과 인력운영비 사업으로 4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 인건비로 9,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 자체사업으로 3,21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이돌봄 지원 인건비 사업으로 3,10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이돌봄 지원 인건비 자체사업으로 606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새일센터 지정 운영 인건비로 1억 5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새일센터 지정 운영 인건비 자체사업으로 4,472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통합사례관리사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6,33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통합사례관리사 인건비 지원 자체사업으로 3,352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경력단절여성취업 지원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2,90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인건비로 7,65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그다음 쪽으로 329쪽으로 아동복지교사 지원 인건비로 3,474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복지과 기본경비로 1억 52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내부거래 지출로 5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기타 특별회계 저희 소관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에 대해서 세입하고 세출을 연이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19쪽이 되겠습니다.
2019년도 본예산 복지과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세입예산사업명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총 세입예산은 4억 9,200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2억 1,400만 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이자수입으로 7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타수입으로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 등 사업으로 9,157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도비보조금 사업으로 1,47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보전수입으로 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내부거래 전입금으로 3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세출예산사업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총예산액은 4억 9,200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의료급여 행정경비로 47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료급여 자치단체 경상보조로 7,572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의료급여비 예탁금 국가 직접지원 사업으로 3억 2,259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비비로 35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행정운영경비로 인력운영비로 8,8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 의료급여관리사 인건비로 3,43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 의료급여관리사 자체 추가비용으로 1,66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 행정경비로 39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복지과 소관 예산사업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복지과장 이교환입니다.
2019년도 복지과 본예산 세출예산 사업명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들은 분량이 좀 많아서 간략하게 세부사업명 위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과 내년도 총 예산액은 526억 1,992만 7천 원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67억 7,240만 1천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사회복지 운영관리 정책 내 사회복지 운영 단위사업 내 사회복지시설 운영 세부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5억 2,112만 원이 되겠습니다.
아래쪽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상해보험 가입비 지원액이 173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재해구호물품 구입사업이 572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교육 및 홍보사업이 9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역복지사업 기반 조성사업이 4,766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사업이 1,8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통합조사업무 추진사업이 63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무연고자 부랑인 보호관리 사업이 5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재가진폐환자 문화생활비 지원 사업이 12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지역복지사업 기반 조성사업으로 24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지역사회복지체계 구축 단위사업 아래 사회복지협의회 운영 및 사회복지신문 구독 지원 사업이 9,43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이동목욕차량 운영지원 사업이 1,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동세탁차량 운영지원 사업이 1,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청소년 보호 및 육성 정책사업 아래 청소년 건전 육성 단위사업 아래 청소년 선도활동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55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청소년 보호법 위반 신고포상제 운영사업이 5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청소년수련관 운영사업 2억 2,052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청소년 동아리 지원 사업이 1,25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쪽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청소년 건강지원 사업으로 97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소년 활동 지원 단위사업 아래 지역청소년참여기구 운영사업으로 2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청소년 어울마당 운영사업으로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수련시설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소년 업무 교육 및 활동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운영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보훈 선양 정책사업 아래 국가보훈 관리 및 지원 단위사업이 되겠습니다.
아래 국가유공자 및 보훈단체 관리 세부사업이 되겠습니다.
5억 9,640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보훈단체 지원 및 보훈사업 추진사업으로 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훈단체 지원 및 보훈사업 추진으로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훈단체 지원 및 보훈사업 추진으로 강원도 참전명예수당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억 2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번에 처음 반영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도지사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국가기념일 행사 운영 단위사업으로 3·1절 행사 운영 세부사업이 되겠습니다.
1,4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현충일 행사 운영 세부사업으로 1,20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5 기념행사 운영사업으로 5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층 생활안정 지원 사업 정책사업 저소득층 자활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아래 긴급 복지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억 9,69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으로 2억 7,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대납사업으로 6,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위기사례관리가구 지원 사업 단위사업 아래 시군구 통합사례관리 지원 사업입니다.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읍면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 사업으로 5,0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위기사례관리가구 지원 사업으로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건복지전달체계 운영사업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찾아가는 복지상담실 운영사업으로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민 기초생활 보장 정책 사업으로 아래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아래 생계급여 사업입니다.
45억 5,353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교육급여 사업입니다.
932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해산장제급여 사업으로 4,006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으로 자활근로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1억 4,678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사업으로 지역자활센터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2억 1,72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으로 가사간병 방문 지원 사업으로 1억 12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푸드뱅크 운영지원 사업으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층 특별지원 사업으로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탈수급 지원 사업으로 6,161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급자 양곡할인 지원 사업으로 1,119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지방생활보장위원회 운영사업으로 16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사업으로 자활장려금으로 1,63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사업으로 지역자활센터 환경개선사업이 되겠습니다.
2,32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복지증진 정책 사업입니다.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연금 급여지급 세부사업입니다.
11억 7,689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수당 지급 사업입니다.
1억 1,42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수당 차상위 등 지급입니다.
9,37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사업입니다.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기초생활보장 지원 사업입니다.
2,142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위치추적기 지원 사업입니다.
83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후견비용 지원 사업입니다.
18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중증장애인가구 유료방송 이용요금 지원 사업입니다.
41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의료비 지원 단위사업으로 보조기구교부 세부사업입니다.
271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의료비 지원 사업입니다.
1,467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장애인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사업입니다.
12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사회활동 지원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 사회참여행사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14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사회참여 활동지원 사업으로 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의 날 행사 운영사업으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시설장애인 사회적응활동 지원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일반형 일자리 사업으로 1억 7,352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생활편의 제공 사업으로 456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편의시설 운영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 역량강화 세부사업입니다.
2,2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 세부사업으로 1억 4,349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복지시설 지원 단위사업 아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1억 8,023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사업으로 정다운일터가 되겠습니다.
2억 5,72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12억 2,87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운영사업으로 3,96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거주시설 운영지원 사업으로 28억 233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애인 거주시설 운영지원 사업으로 이건 도비사업이 되겠습니다.
2,43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복지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5,26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활동지원 급여지원 사업으로 6억 6,599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생활이동지원센터 운영지원 사업으로 1억 6,404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지원 사업으로 5,585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언어발달지원 바우처 지원 사업으로 822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어통역센터 운영지원 사업으로 1억 5,7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거주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6,59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2,48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활동보조 가산급여 사업으로 104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사회재활시설 수어통역센터에 대한 기능보강사업으로 1,759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 아동가족 지원 단위사업 아래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41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복지 증진 정책사업 아래 노후 생활보장 단위사업 아래 노인복지행사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2,08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의 날 행사 운영사업으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기초연금 지급사업으로 165억 9,95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현금급여 지원 사업입니다.
1,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29억 6,49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지원 사업으로 2억 8,30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단가 보조 국고지원 사업 3억 7,32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단기가사서비스 단가 보조 사업으로 365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 지원 사업입니다.
4,8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경로식당 무료급식 지원 사업입니다.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취업형 100세 시대 어르신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이해증진 및 효문화 정립 지원 사업으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지원 사업으로 2,45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지원 사업으로 6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운영지원 사업으로 67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돌봄서비스 종사자 활동보조 수당으로 2,5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100세 시대 어르신 일자리 사업으로 1억 8,92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노인 복지시설 지원 사업 단위사업 아래 노인생활시설 운영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3억 5,520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재가 노인복지시설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4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복지관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6억 1,8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 사회활동지원 세부사업입니다.
7,68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38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억 7,161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관리자 지원 사업입니다.
8,46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노인 이해증진 및 효문화 정립 노인대학 운영 프로그램비 지원 사업입니다.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로당 냉난방비 및 양곡비 지원 국고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2억 7,123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장승2리 경로당 신축 지원 사업입니다.
1억 6,26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조산리 경로당 신축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양양군 노인복지관 증축사업이 되겠습니다.
3억 4,880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장묘관리 정책 사업으로 장사시설 운영관리 단위사업 아래 공설묘지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1억 7,938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장례식장 세부사업입니다.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복지증진 정책사업 아래 여성 사회참여 증진 단위사업 내에 여성 사회참여 행사지원 세부사업입니다.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양성평등대회 세부사업으로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양성평등위원회 운영사업으로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가족정책 추진사업으로 다문화신문 구독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주부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입니다.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새일센터 지정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5,77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새일센터 운영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사업으로 1,222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이돌봄 지원 사업으로 3억 7,85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단체협의회 운영지원 사업으로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성별영향평가 운영사업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여성안전지역연대 운영사업으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 사업으로 5,565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새일여성인턴 지원 사업으로 5,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한부모가정 지원 단위사업 아래 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한부모 아동양육비 등 지원 사업으로 1억 1,11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한부모가족자녀 교육비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한부모가정 생활안정 지원 사업으로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성회관 운영 단위사업 아래 여성회관 운영관리 세부사업입니다.
8,06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여성회관 교육 지원 사업으로 2억 8,8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 지원 단위사업 아래 다문화가족 모국방문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1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원 사업입니다.
3,80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원 사업입니다.
센터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3,7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원 사업이 되겠습니다.
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다문화특화사업 방문교육서비스 사업이 되겠습니다.
3,67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다문화특화사업 한국어교육 세부사업입니다.
2,216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미혼자 국제결혼 지원 세부사업으로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다문화자녀 한글학습지 지원 사업으로 85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사업입니다.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아동복지 증진 정책사업 아래 저소득층 아동관리 단위사업 아래 양양어린이날 행사 운영보조 세부사업입니다.
2,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 세부사업으로 1억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아동발달지원계좌 지원 세부사업으로 3,3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급식비 지원 세부사업으로 3억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불우아동 지원 세부사업으로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정위탁 양육비 지원 사업으로 8,4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입양아동 양육수당 지원 세부사업으로 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입양아동 가족 지원 세부사업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입양·가정위탁아동 심리치료 지원 사업으로 2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보호아동 관리 단위사업 아래 보호아동 생활안정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4,56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수당 급여사업입니다.
8억 4,99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동수당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9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지원 사업입니다.
2,99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육아 기본수당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억 2,31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동복지 운영 단위사업 아래 아동복지교사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6,772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동복지교사 지원 사업입니다.
도비보조 사업입니다.
1,013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사업입니다.
3억 3,87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사업입니다.
7,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우수지역 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23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어울림 한마당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문화체험 캠프 지원 사업입니다.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 사업입니다.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육시설 아동 지원 단위사업 아래 영유아보육료 지원 세부사업입니다.
10억 8,15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보육료 부모부담금 지원 세부사업으로 949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 세부사업으로 6억 1,935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정양육수당 지원 세부사업으로 4억 192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다자녀가정 특별지원 세부사업입니다.
3,07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부모 모니터링단 운영지원 사업으로 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입학준비금 지원 사업으로 59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동복지시설 지원 단위사업 아래 보육시설 일반 행사 운영 세부사업입니다.
6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육정책위원회 운영사업으로 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어린이집 품질향상 지원 사업으로 2,5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교직원 처우개선 지원 사업으로 6,55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지원 사업으로 2,85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환경개선 지원 사업으로 6,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공공형 어린이집 지원 사업으로 1억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15억 3,87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보육교직원 장기근속수당 지원 사업으로 3,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육교직원 처우개선 지원 사업으로 2억 5,23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차량유류비 지원 사업으로 4,5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어린이집 지원 및 점검 지원 사업으로 1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복지과 행정운영경비 정책사업 아래 인력운영비 세부사업입니다.
복지과 인력운영비 사업으로 4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 인건비로 9,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 자체사업으로 3,21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아이돌봄 지원 인건비 사업으로 3,10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아이돌봄 지원 인건비 자체사업으로 606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새일센터 지정 운영 인건비로 1억 5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새일센터 지정 운영 인건비 자체사업으로 4,472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통합사례관리사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6,33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통합사례관리사 인건비 지원 자체사업으로 3,352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경력단절여성취업 지원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2,90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인건비로 7,65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그다음 쪽으로 329쪽으로 아동복지교사 지원 인건비로 3,474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복지과 기본경비로 1억 52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내부거래 지출로 5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기타 특별회계 저희 소관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에 대해서 세입하고 세출을 연이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19쪽이 되겠습니다.
2019년도 본예산 복지과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세입예산사업명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총 세입예산은 4억 9,200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2억 1,400만 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이자수입으로 7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타수입으로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 등 사업으로 9,157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도비보조금 사업으로 1,47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보전수입으로 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내부거래 전입금으로 3억 8,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세출예산사업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총예산액은 4억 9,200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의료급여 행정경비로 47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료급여 자치단체 경상보조로 7,572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의료급여비 예탁금 국가 직접지원 사업으로 3억 2,259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비비로 35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행정운영경비로 인력운영비로 8,8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 의료급여관리사 인건비로 3,43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 의료급여관리사 자체 추가비용으로 1,66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 행정경비로 39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복지과 소관 예산사업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택철 복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하여튼 어려운 이웃을 위해서 도와주는 부서니까 뭐 사업량도 대단히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 27억 중에서 530억 한 20% 이상이 복지과 예산이네요?
복지과 소관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거듭 얘기했습니다만 한 의원당 5분 이내로 하시고 재차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이종석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여튼 어려운 이웃을 위해서 도와주는 부서니까 뭐 사업량도 대단히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 27억 중에서 530억 한 20% 이상이 복지과 예산이네요?
복지과 소관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거듭 얘기했습니다만 한 의원당 5분 이내로 하시고 재차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이종석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저번에도 한번 얘기가 나왔던 걸로 알고 있는데 이 정도 예산이면 조금 더 신경 쓰고 해줄 수 있는 부분인지 아니면 그냥 작년도 예산과 동일하게 편성을 한 건지.
○복지과장 이교환 그 정도 예산이면 충분하고요.
그리고 이거 노인복지센터에서 이와 비슷한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된 사업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 정도 예산이면 충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거 노인복지센터에서 이와 비슷한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된 사업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 정도 예산이면 충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알겠습니다.
다음은 271페이지 좀 3.1절 관련해서 유가족들 저번에 행정사무감사 때 보면 벌초비용으로 해가지고 예우차원에서 편성이 됐다고 말씀을 답변을 해주셨는데 보면 그 부분이 제가 못 찾아서 그런 건지 아니면 지금 빠져있는 건지 좀 여쭤보겠습니다.
다음은 271페이지 좀 3.1절 관련해서 유가족들 저번에 행정사무감사 때 보면 벌초비용으로 해가지고 예우차원에서 편성이 됐다고 말씀을 답변을 해주셨는데 보면 그 부분이 제가 못 찾아서 그런 건지 아니면 지금 빠져있는 건지 좀 여쭤보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그 위에 보훈단체 지원 사업으로 전년도에는 벌초비가 계상이 돼있는데 여기에 벌초비가 이번에는 편성이 안 돼 있습니다.
왜냐하면 보훈청에서 벌초비 지원을 기당 20만 원씩 지원해주고 있기 때문에 중복이 되기 때문에 보훈청에서.
왜냐하면 보훈청에서 벌초비 지원을 기당 20만 원씩 지원해주고 있기 때문에 중복이 되기 때문에 보훈청에서.
○이종석 위원 중복 때문에 그런겁니까?
○복지과장 이교환 예, 그래서 이 부분은 저희들이 자체 사업에는 뺐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대상은 저소득층가구로 해서 초·중·고학생인데 이거는 도교육청으로 저희들이 교육기관에다 보조를 해주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럼 저희 전액군비는 아니고 이것도 매칭인가요, 아니면?
○복지과장 이교환 이거는 군비 부담이 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전액군비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이종석 위원 전액 군비되는 부분에 있어서 그럼 저희가 군에서 행정에서 계획도 하고 또 예산도 책정하고 있다는 부분인가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래서 이거는 뭐 저소득층가구기 때문에 고교학비라든가 급식비 뭐 이렇게 제한돼있습니다.
그래서 전년도의 실적을 보면 한 184명 그 정도 지원해준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년도의 실적을 보면 한 184명 그 정도 지원해준 적이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혹시 저소득층 자녀들이 교육받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게 꼼꼼하게 잘 챙겨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잘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286쪽 장애인 시간제 일자리 지원해서 이렇게 나와있지 않습니까, 금액이?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이 부분도 국비 매칭 때문에 이렇게 되는 건가요?
아니면 저희가 또 나름 지금 뭐든지 지금 나오는 부분에 있어서 이슈는 최저임금 이슈가 항상 대두되고 있지 않습니까?
아니면 저희가 또 나름 지금 뭐든지 지금 나오는 부분에 있어서 이슈는 최저임금 이슈가 항상 대두되고 있지 않습니까?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여기 복지예산에 책정돼있는 부분에 보면 최저임금에도 많이 모자란 부분이 있거든요.
이런 부분은 어떻게 책정이 됐기 때문에 계속 이런 식으로 자꾸 나오는 거죠?
이런 부분은 어떻게 책정이 됐기 때문에 계속 이런 식으로 자꾸 나오는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이거는 장애인 시간제일자리 지원 사업은 국도비보조 사업이 되겠습니다, 군비 부담해서.
이거는 두 사람인데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해가지고 장애인보호작업장이라든가 정다운일터 거기에 시간제로.
이거는 두 사람인데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해가지고 장애인보호작업장이라든가 정다운일터 거기에 시간제로.
○이종석 위원 시간제?
○복지과장 이교환 예, 시간제로 일하게 되겠습니다.
이거는.
이거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그것이 체육행사라 그래가지고 저번에도 아마 얘기가 나왔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체육행사 쪽으로 그러니까 문화관광체육과로 편입돼야 되는 게 아닌가라는 저번에도 질의가 나왔던 걸로 알아서 검토를 하신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검토가 되셔가지고 이쪽에 복지과에 속해서 예산이 편성되는 게 맞아서 이렇게 하신 건지?
아니면 이 부분에 대해서 검토를 안 하신 건지 한번 여쭤보겠습니다.
이 부분이 체육행사 쪽으로 그러니까 문화관광체육과로 편입돼야 되는 게 아닌가라는 저번에도 질의가 나왔던 걸로 알아서 검토를 하신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검토가 되셔가지고 이쪽에 복지과에 속해서 예산이 편성되는 게 맞아서 이렇게 하신 건지?
아니면 이 부분에 대해서 검토를 안 하신 건지 한번 여쭤보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이거는 그전에는 그러니까 행사실비보상금으로 지원해줬는데 이번에 보조금 조례가 정비되면서 이게 보조 사업으로 해서 노인회 소관이 저희들 복지과 소관이기 때문에 민간사회복지사업 보조로 사업으로 됐습니다.
이게 강원도 도 대회가 되겠습니다, 이거는.
이게 강원도 도 대회가 되겠습니다, 이거는.
○이종석 위원 그러니까 그 과는 알겠는데 그냥 저희가 복지차원에서 이쪽으로 편성된 거란 말씀이시죠?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이종석 위원 체육 관련된 부분이라서 문화관광체육과에 대한 부분도 검토해보셔가지고 다시 이쪽으로 재편성하신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정리가 된 것 같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기감실 같은 경우는 지금 강원일보, 도민일보 이런 부분에 대해서 지금 선거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부분 때문에 예산 편성을 안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노인신문 보급이란 부분에 대해서 편성을 하셨는데 이 부분도 같이 검토를 하신 건가요?
선거법이라든가 저희가 지급하는 데에서 문제가 없는지?
그런데 지금 노인신문 보급이란 부분에 대해서 편성을 하셨는데 이 부분도 같이 검토를 하신 건가요?
선거법이라든가 저희가 지급하는 데에서 문제가 없는지?
○복지과장 이교환 이 부분도 뭐 복지차원에서 보조금 관리차원에서 검토가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혹시나 그게 또 선거법이란 부분이 있으니까 다시 한번 꼼꼼히 검토해주시고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혹시라도 그런 부분에 관여돼가지고 저희가 또 지금도 많이 시끄러운데 그런 부분이 없도록 행정에서 집행하기 전에 조금 더 꼼꼼하게 챙겨봐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잘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거하고 잠시 후에 다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박봉균 위원 안녕하십니까?
박봉균 의원입니다.
277페이지 좀 봐주시면 사회복지사업 보조 푸드뱅크 운영하는데 1,000만 원을 예산을 세우셨는데 이게 뭐 실효성이 있습니까?
어떻게 운영이 되는 거죠?
박봉균 의원입니다.
277페이지 좀 봐주시면 사회복지사업 보조 푸드뱅크 운영하는데 1,000만 원을 예산을 세우셨는데 이게 뭐 실효성이 있습니까?
어떻게 운영이 되는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일반사회의 식품을 기부 받아가지고 저희들 자활센터에서 운영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차량 운영비하고 인건비 조로 지원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차량 운영비하고 인건비 조로 지원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박봉균 위원 차량 운영비하고 인건비하고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거기......
○박봉균 위원 어떤 기능을 하고 계시죠, 이분들은?
○복지과장 이교환 그러니까 통역을 말하자면 수화로 통역을 지원해주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수어통역센터는 어디에 있냐 하면 농아협회 지금 문화복지회관 내에 있는데요.
지금 종사자가 한 3명 정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수어통역센터는 어디에 있냐 하면 농아협회 지금 문화복지회관 내에 있는데요.
지금 종사자가 한 3명 정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그러니까 농아인들을 위해서 배려차원에서 우리가 이렇게 해드리는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266페이지, 예.
○복지과장 이교환 몇 페이지신지?
○김의성 위원 266.
○복지과장 이교환 266이요?
○김의성 위원 제일 위에.
○복지과장 이교환 제일 위에, 예.
○김의성 위원 사회복지시설 법정 운영비 보조 여기에 예산액에 8,950이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그런데 전년도 예산액에 보면 8,700이란 말이에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6,500.
○김의성 위원 그렇죠?
비교증감이 2,500해가지고 8,950이 맞는데 그 밑에 내려오면 비교증감에 2,450이 됐어요, 이건 뭐죠?
위에는 250만 원인데 그 밑에는 2,450만 원이 돼있어요.
그거 전년도 예산이 6,500만 원 이렇게 돼있고.
비교증감이 2,500해가지고 8,950이 맞는데 그 밑에 내려오면 비교증감에 2,450이 됐어요, 이건 뭐죠?
위에는 250만 원인데 그 밑에는 2,450만 원이 돼있어요.
그거 전년도 예산이 6,500만 원 이렇게 돼있고.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게 무슨 뜻이죠?
○복지과장 이교환 이게 인건비 사회복지협의회 운영 인건비 2명에 대한 인건비 6,750만 원하고 협의회 프로그램 운영하는 사회복지대회 개최비 2,200만 원 포함해서 8,950만 원이 되겠습니다, 총.
그래서 전년 대비 2,450만 원이 증액됐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전년 대비 2,450만 원이 증액됐다는 말씀입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그거는 밑에 것까지 계상된 겁니다.
이동 목욕차량 운영, 아니구나 이게 아니고.
이동 목욕차량 운영, 아니구나 이게 아니고.
○김의성 위원 아니, 이동 목욕차는 아닌데.
○복지과장 이교환 아닙니다.
○김의성 위원 지금 거기가 계산이 안 맞아서.
○복지과장 이교환 여기에 제가 이 부분에 대해서 아마 이게 전년도 비해 다른 예산사업이 있는데 거기에 빠진 것 같습니다.
제외되면서 이렇게 된 것 같습니다.
제외되면서 이렇게 된 것 같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게 지금 민간이전에서 보면 8,700에서 비교증감이 250만 원이고 그거하고 더하면 8,950이 맞는데 그 밑에 내려가면 6,500에다 2,450하니까 이게 뭐가 잘못되지 않았냐 이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여기에 잘못 기재된 것 같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6,500만 원이 맞는 것 같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다음에.
○복지과장 이교환 그러니까 307-10 민간이전 사업인 다른 명목이 있는데 그 사업이 빠져나가면서 여기에 작년도엔 그게 계상이 됐는데 올해에는 계상이 안 되다 보니까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그다음에 그 밑에 또 같은 독립유공자 묘지관리에서도 40만 원이 삭감이 됐고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이 부분은 독립유공자 유족 의료비 지원이 여기 100만 원 삭감된 건 여기에 지금 뭐 더 없어서 그러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점점 이분들이 돌아가시고 이래가지고 또 뭐 그러니까 좀 약간 과다 계상됐던 것도 있고 그거 조정하다 보니까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까 말씀드린 40만 원 중에는 전년도에 벌초비가 포함돼있었는데 아까 말씀드린 벌초비가 보훈청에서 지원되다 보니까 그 부분이 삭감됐던 것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까 말씀드린 40만 원 중에는 전년도에 벌초비가 포함돼있었는데 아까 말씀드린 벌초비가 보훈청에서 지원되다 보니까 그 부분이 삭감됐던 것도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전년도에는 그러면 벌초비만.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아니, 이거 묘지안내판 설치가 이게 뭐 어디 3개라 그랬는데 어디 이게 지금 안 돼 있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게 돼있는데 오래되다 보니까 좀 보수차원에서 된 겁니다.
○김의성 위원 이 3기가 어디어디죠, 이거?
○복지과장 이교환 정확하게 제가 거기까지는 좀......
○김의성 위원 우리 지금 양양군에 독립유공자 묘지가 몇 개가 있어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러니까 지금 현재 그러니까 독립유공자 묘지가 10기가 있습니다, 10기.
○김의성 위원 10기?
○복지과장 이교환 예, 10기가 있고 안내표지판은 4개가 설치돼있는데 내년도 보수대상이 3기가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10기가 이거 다 되어있는 건 아니고?
○복지과장 이교환 예.
다 돼있습니다, 다 돼있기는.
다 돼있습니다, 다 돼있기는.
○김의성 위원 다 돼있는데 3기를 보수한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지금 지역자활센터에서 자활근로 사업을 하는 게 8개 정도 있습니다.
8개 사업이 있는데 거기에 참여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한 인건비하고 또 그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운영 사업비.
8개 사업이 있는데 거기에 참여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한 인건비하고 또 그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운영 사업비.
○김의성 위원 사업비인데 그러니까 인건비 포함해가지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인건비하고 사업비가 포함돼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인건비가 올라가서 같이 올랐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김의성 위원 하나만 더 물어보고 이따 물어보겠습니다.
290페이지요.
290페이지에 보면 노인돌봄 기본서비스 거기가 지금 8,022만 5천 원이 증액이 됐잖아요, 그렇죠?
이 부분은 어떻게 온 부분이죠, 이거?
290페이지요.
290페이지에 보면 노인돌봄 기본서비스 거기가 지금 8,022만 5천 원이 증액이 됐잖아요, 그렇죠?
이 부분은 어떻게 온 부분이죠, 이거?
○복지과장 이교환 어디, 어디?
○김의성 위원 290페이지.
○복지과장 이교환 290쪽에, 예.
○김의성 위원 사회복지사업 보조 노인돌봄 기본서비스 지원 사업에서.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거기 8,022만 5천 원 증액된 부분.
○복지과장 이교환 이것도 독거노인 대상이라든가 하고 있는데 사업량이 점차 늘어나고 그리고 또 국비가 좀 전체적으로 늘어나다 보니까 그렇게 증액이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데 주 1회 방문하고 주 2회 안부전화하고 있습니다.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데 주 1회 방문하고 주 2회 안부전화하고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관리사 저것도 그걸 좀 수정한 게 있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관리사 수정한 게 있어가지고 같이 포함이 되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거기에 포함된 인건비라든가 이런 게 포함되고 있습니다.
거기에 포함된 인건비라든가 이런 게 포함되고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다음에 이쪽에 그 옆에 보면 291페이지 독거노인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인건비 쪽에서 조금 감액이 됐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이 부분은 뭐죠?
○복지과장 이교환 이게 작년도에는 2명이었는데 인원이 좀 조정이 돼가지고 우리가 서비스 인원이 150명당 1명입니다.
그래서 인원이 좀 줄은 바람에 안전요원이 1명이 감소됐습니다.
감소됐기 때문에 그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감소인원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인원이 좀 줄은 바람에 안전요원이 1명이 감소됐습니다.
감소됐기 때문에 그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감소인원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 뒤에 292페이지에 거기도 또 삭감됐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마찬가지 그렇습니다, 이것도.
○김의성 위원 그거 같은 맥락 아니에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이거하고 이 앞에 거하고 같은 맥락이죠?
○복지과장 이교환 같은 겁니다.
이건 앞에 건 인건비고 여기는 유지보수, 통신장비 사업이 되겠습니다.
이건 앞에 건 인건비고 여기는 유지보수, 통신장비 사업이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런데 여기 지금 사업예산 설명서에 보면 292페이지 여기에도 전력인담 1인으로 해가지고 거기에 체크가 돼있단 말이에요.
그럼 여기에도 인건비가 포함이 됐다는 얘기라는 얘기인데.
여기에는 지금.
그럼 여기에도 인건비가 포함이 됐다는 얘기라는 얘기인데.
여기에는 지금.
○복지과장 이교환 앞에 거는 291쪽은 순수 인건비고 그다음 쪽에 거기는 두 번째 거는 통신장비 및 유지보수비고 그 밑에 거는 운영비가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운영지원, 장비통신비, 유지 여기 그런데 뒤쪽에 보면 응급안전 돌봄 미사업 전담인력 1인, 응급안전시스템 설치완료 및 사후관리 대상자 150가구 이렇게 해가지고 나와있거든 그러니까 여기에도 전담인력이 1인으로 돼있는 걸로 나와있어가지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의성 위원 그런데 그러면 여기에 인건비가 포함이 돼야 되는 거 아니에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래서 앞에 게 인건비입니다, 그게.
1명에 대한 인건비입니다.
1명에 대한 인건비입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같은.
한 사람이 하나는 운영비고 노인복지관에서 쓰는 운영비고 하나는 장비 유지비가 되겠습니다.
한 사람이 하나는 운영비고 노인복지관에서 쓰는 운영비고 하나는 장비 유지비가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한 사람이 2개를 다 관리하는 거예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러니까 한 사람이 운영하면서 운영비도 쓰고 시설장비 유지비도 하고 이렇습니다.
○김귀선 위원 김귀선 의원입니다.
저는 복지과에 대해서 전체적인 부분에서 얘기를 좀 하려고 하는데요.
왜 보조단체들 있잖아요?
보조금을 받고 있는 단체 중에 좀 형평성에 지금 어긋나게 지급하고 있는 부분은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복지과에 대해서 전체적인 부분에서 얘기를 좀 하려고 하는데요.
왜 보조단체들 있잖아요?
보조금을 받고 있는 단체 중에 좀 형평성에 지금 어긋나게 지급하고 있는 부분은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건 뭐 국비보조, 도비보조 이렇게 돼서 군비 부담해가지고 해서 법령에 맞게 또 조례에 맞게 지금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김귀선 위원 하고 계신가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귀선 위원 아니, 제가 알기에 보조금이 끊긴 데가 있다고 지금 얘기를 들어서 그런 거는 지금 어떻게 돼서 끊기고 그런 부분도 있었는 건지 그게 좀 알고 싶었는데 양양 노인복지회관 지금 신축문제 때문에 못하고 있잖아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귀선 위원 그럴 때 그분들한테 지급이 안 되고 있는 운영비라든지 그런 부분은 어떻게 왜 안 되고 있는 거죠, 지금?
○복지과장 이교환 운영비가 안 되고 있는 없고 운영비는 계속 나가고 있습니다.
지금 사무실은 저쪽 옮겨있는데 운영비는 계속 나가고 있습니다.
지금 사무실은 저쪽 옮겨있는데 운영비는 계속 나가고 있습니다.
○김귀선 위원 그거 지급하고 있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뭐 끊긴 거나 이런 건 없습니다.
뭐 끊긴 거나 이런 건 없습니다.
○김귀선 위원 그래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귀선 위원 지금 못 짓고 있다고 해서 그게 지금 보조가 안 되고 있는 건 아니죠?
○복지과장 이교환 건물만 지금 현재, 보조하고는 관계 없고요.
건물 신축이 지금 중단돼있는 그......
건물 신축이 지금 중단돼있는 그......
○김귀선 위원 그것만?
○복지과장 이교환 그것만 돼있습니다.
○김귀선 위원 그렇게 될 수 있도록 과장님 좀 애써주시고요.
저는 그거 왜 실제로 혜택을 받아야 할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그런 부분에 대해서 우리가 부정수급자가 발생한다든지 아니면 혜택을 좀 받아야 될 사람들이 못 받고 있는 경우가 그 어떤 자격기준에 있어서 좀 있다고들 그래요.
그래서 아이들 같은 경우도 정말 받아야 될 아이들이 못 받고 있는 경우 그리고 저분은 안 받아도 될 것 같은 가정에서도 또 이렇게 받게 되고 이런 게 조금 정리가 안 되고 있는 부분도 더러 있더라고요, 제가 현장에 나가서 알아보니까.
그래서 읍면에 수급자 조사를 좀 제대로 해서 잘 받을 수 있게 꼭 필요한 사람들이 받을 수 있고 우리 애기들이 지원받을 수 있게 그렇게 도와주십사 하고 제가 부탁드리는 거예요.
저는 그거 왜 실제로 혜택을 받아야 할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그런 부분에 대해서 우리가 부정수급자가 발생한다든지 아니면 혜택을 좀 받아야 될 사람들이 못 받고 있는 경우가 그 어떤 자격기준에 있어서 좀 있다고들 그래요.
그래서 아이들 같은 경우도 정말 받아야 될 아이들이 못 받고 있는 경우 그리고 저분은 안 받아도 될 것 같은 가정에서도 또 이렇게 받게 되고 이런 게 조금 정리가 안 되고 있는 부분도 더러 있더라고요, 제가 현장에 나가서 알아보니까.
그래서 읍면에 수급자 조사를 좀 제대로 해서 잘 받을 수 있게 꼭 필요한 사람들이 받을 수 있고 우리 애기들이 지원받을 수 있게 그렇게 도와주십사 하고 제가 부탁드리는 거예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그런 부분이 없도록 철저하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귀선 위원 센터운영에 이게 지금 뭔가 이렇게 일자리를 주고자 하는 행사는 맞는데 이게 지금 어떻게 운영되고 있다, 아니면 그런 거에 대해서 이렇게 홍보가 좀 됐나요?
상담실 같은 게 지금 운영되고 있다고 하는데?
상담실 같은 게 지금 운영되고 있다고 하는데?
○복지과장 이교환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금 상담 취업상담사, 직업상담사가 5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새일센터운영위원회에서 운영센터에서 지금 근무하고.
지금 상담 취업상담사, 직업상담사가 5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새일센터운영위원회에서 운영센터에서 지금 근무하고.
○복지과장 이교환 사무실에도 근무하고 현장에 그분들이 신청을 했을 때 요건이라든가 현장조사도 하고 해서 아주 맞춤형 서비스를 지금하고 있습니다.
○김귀선 위원 제가 알아보니까 매주 화요일이면 명지푸르미, 그다음에 목요일이면 구교리 삼진아파트인가, 양우내안애 이쯤에서 새일터 우리 여성일자리 이거를 하고 있다라고 홍보하고 있다라고 하는데 상담실 운영하는 부분을 지금 잘 모르시는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아니, 상담실을 저희 여성회관 내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김귀선 위원 그거 말고 지금 나와서 현장에서 이렇게 하고 있다는데 홍보가 안 되는 것 같아서 해달라고 제가 부탁드리려고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건 좀 제가 알아보고 한번 좀.
○김귀선 위원 홍보 좀 많이 해주세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홍보에 대해서는 철저히 많이 하도록 하겠습니다.
○김귀선 위원 그래서 우리 일하고자 하는 여성들이 일할 수 있게 제때 제때 일할 수 있게 좀 도와주세요.
○복지과장 이교환 알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우리 복지에 관한 돈이 좀 늘어나면 복지 사각지대나 이런 데에 많이 혜택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좋은 현상이 아니나 또 그와 반면에 돈이 많아지다 보니까 우리 직원들도 그만큼 노력을 더 많이 해야 되잖아요.
그 노고에 대해서 감사를 드리고 간단하게 몇 가지만 좀 물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75쪽에 보면 위기관리 대상가구라 그랬네요, 환경개선?
위기관리 대상가구는 어떤 가구를 얘기해요?
매년 우리가 800만 원씩 계상하잖아요, 그렇죠?
그 노고에 대해서 감사를 드리고 간단하게 몇 가지만 좀 물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75쪽에 보면 위기관리 대상가구라 그랬네요, 환경개선?
위기관리 대상가구는 어떤 가구를 얘기해요?
매년 우리가 800만 원씩 계상하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네 가구에 대해서 이건 어떻게 선정하고 어떻게 쓰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러니까 말 그대로 여기에는 저소득층 대상으로 해가지고 급하게 위기관리 대상으로 선정된 가구에 대해서 집수리, 자원봉사센터에서 집수리를 해주고 있습니다.
이거는 그래서.
이거는 그래서.
○김우섭 위원 이런 거는 우리가 기초수급자들이 많이 있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이건 돈을 더 늘려서 해줄 수도 가능한 거네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이거는 좀 반영을 더 할 수 있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좀 반영을 더 할 수 있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래서 뭐 굳이 네 가구만 찾을 게 아니라 좀 더 필요한 사람 좀 더 찾아서 증액해 줄 필요 있다고 생각하는데 과장님 좀 신경을 써주시기 바랍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알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다음에 278쪽에 이건 올해 처음 사업인가요?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 가운데 쪽에 이게 전년도에는 예산이 계상이 안됐잖아요?
278페이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및 광역자활센터 운영 가운데 쪽에 이게 전년도에는 예산이 계상이 안됐잖아요?
278페이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이거 국가에서 올해 처음 시행하는 사업인가요, 이게?
○복지과장 이교환 예, 자활 장려금에 대해서는 처음 시행.
○김우섭 위원 처음 시행하는 사업?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이게 일인당 한 3,500간다는 얘기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아닙니다, 그거는.
○김우섭 위원 아니에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건 저......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럼 4분기면 4번이잖아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그래서 1억 4,000.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여기에 4명이 나누면 3,500이 맞잖아요, 3,500.
○복지과장 이교환 맞습니다.
○김우섭 위원 제가 왜 이 얘기는 너무 딱딱한 것 같아서 제가 1년에 3,500을 못 받는데 이분들도 이렇게 받는구나 해서 내가 한번 말씀드려본 거고요.
○복지과장 이교환 종사자가 세 명이 있습니다, 거기에.
○김우섭 위원 그럼 세 명이면 조금 더 받겠네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김우섭 위원 그렇죠?
1억 4,000 세 명이면 3,500 조금 더 받죠, 세 명이면.
네 명이면 3,500이지만 세 명이면 4,000은 넘는다는 얘기잖아요, 그렇죠?
그래서 한번 말씀드려본 거고요.
그다음에 298쪽에 우리 여성 다문화신문 많이 줄었네요?
거의 1,300에서 600 한 729만 원이 줄었는데 이건 뭐 이렇게까지 가차 없이 줄었나요?
1억 4,000 세 명이면 3,500 조금 더 받죠, 세 명이면.
네 명이면 3,500이지만 세 명이면 4,000은 넘는다는 얘기잖아요, 그렇죠?
그래서 한번 말씀드려본 거고요.
그다음에 298쪽에 우리 여성 다문화신문 많이 줄었네요?
거의 1,300에서 600 한 729만 원이 줄었는데 이건 뭐 이렇게까지 가차 없이 줄었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이게 전년도에는 한 올해죠, 올해는 한 265명이 계상이 돼있었는데 그게 뭐 다문화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고 그래서 그게 좀.
○김우섭 위원 잘 알겠습니다, 잘 알겠고요.
310쪽에 보면 불우아동 지원인데 전년도에는 400을 올해에는 100만 원이네요?
이렇게 300만 원씩 깎을 이유가 있었나요, 여기에는?
310쪽에 불우아동 지원 그렇죠?
올해는 100만 원이잖아요, 그렇죠?
310쪽에 보면 불우아동 지원인데 전년도에는 400을 올해에는 100만 원이네요?
이렇게 300만 원씩 깎을 이유가 있었나요, 여기에는?
310쪽에 불우아동 지원 그렇죠?
올해는 100만 원이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이건 복지사업 업무책자 일반운영비가 되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일반운영비?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래서 우리 군비가 또 상당히 들어가네요, 그렇죠 여기에는?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건......
○김우섭 위원 지금까지 한 번도 안했었죠?
○복지과장 이교환 작년에 좀 하긴 했습니다.
한 것 같은데.
한 것 같은데.
○김우섭 위원 그런데 여기에는 올해 처음 지원한 걸로 나오잖아요, 그렇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추경에 반영됐던 것 같습니다, 그거는.
추경에 반영됐던 것 같습니다, 그거는.
○김우섭 위원 지난번 추경에?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경제적 손실 해소라는 부분에서 저희가 지원된 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장례식장 운영하는데 있어서 손실이 있고 없고를 한번 좀 검토해보신 적이 있으신지?
저희가 그냥 이 부분에 대해서 아무 관심 없이 그냥 처음부터 지급됐기 때문에 지금도 계속 꾸준하게 지급되고 있는 부분인지 아니면 꾸준하게 저희가 관심을 갖고 보면서 경제적 손실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지원을 해야 되는 부분인지 한번 검토는 해보신 적이 있으신지 해서 한번 여쭤보는 겁니다.
저희가 그냥 이 부분에 대해서 아무 관심 없이 그냥 처음부터 지급됐기 때문에 지금도 계속 꾸준하게 지급되고 있는 부분인지 아니면 꾸준하게 저희가 관심을 갖고 보면서 경제적 손실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지원을 해야 되는 부분인지 한번 검토는 해보신 적이 있으신지 해서 한번 여쭤보는 겁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뭐 심도 있게 검토했다는 얘기는 그렇고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한번 심도 있게 검토해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반복적으로 하기보다는 그렇게 하겠습니다.
반복적으로 하기보다는 그렇게 하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이게 어떤 부분에서 이렇게 저희가 지금 사업이 처음 시작을 하는 건지?
○복지과장 이교환 이거는 새일센터니까 경력단절여성들이 새로 일하기 위해서 뭐 학원이라든가 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지원이 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저희 그럼 양양에서 새롭게 교육센터처럼 만들어서 하는 건가요, 아니면 위탁?
○복지과장 이교환 아니, 다른 지역에 학원이라든가 운전학원이라든가 뭐 이런 학원에 보내기 위해서 행사실비보상금이라든가 이렇게 보내주고 있습니다.
이 경비로 해서.
이 경비로 해서.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여성회관에서 교육받는 프로그램 강좌들이 많이 있고 또 많은 호응을 받고 있는 걸로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전부터 오던 그러니까 지금은 저희가 양양에서도 타 기관에서도 교육이란 부분을 많이 하고 있죠, 강좌를 많이 개설해서?
하지만 예전부터 오던 그러니까 지금은 저희가 양양에서도 타 기관에서도 교육이란 부분을 많이 하고 있죠, 강좌를 많이 개설해서?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그게 중복되는 부분이 좀 많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서로에 대한 중복이 있는데 이런 얘기도 있더라고요, 보니까 강사들이 폐강을 하려 그러는데 몇 명 수강생들이 예전부터 왔던 수강생들에 대한 민원을 넣어가지고 폐강을 하려 그래도 그분들이 또 이거 민원을 집어넣어서 다시 살아나는 그런 강좌들도 있다고 제가 알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 그러니까 한 가지로 꾸준하게 내려오는 것보다는 다양한 강좌 지금 시대에 맞는 강좌가 새롭게 개설돼가지고 우리 주민들이 새로운 강좌로 인해서 뭔가 삶에 좀 발전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그 방법이 더 맞지 않나 싶습니다.
예전부터 왔던 부분에서 한두 명 아니면 예전부터 온 분들에 대한 그냥 지속적 그분들만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받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런 부분을 조금 교육지원이라는 부분에서는 한번 필터링을 해가지고요.
서로에 대한 중복이 있는데 이런 얘기도 있더라고요, 보니까 강사들이 폐강을 하려 그러는데 몇 명 수강생들이 예전부터 왔던 수강생들에 대한 민원을 넣어가지고 폐강을 하려 그래도 그분들이 또 이거 민원을 집어넣어서 다시 살아나는 그런 강좌들도 있다고 제가 알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 그러니까 한 가지로 꾸준하게 내려오는 것보다는 다양한 강좌 지금 시대에 맞는 강좌가 새롭게 개설돼가지고 우리 주민들이 새로운 강좌로 인해서 뭔가 삶에 좀 발전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그 방법이 더 맞지 않나 싶습니다.
예전부터 왔던 부분에서 한두 명 아니면 예전부터 온 분들에 대한 그냥 지속적 그분들만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받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런 부분을 조금 교육지원이라는 부분에서는 한번 필터링을 해가지고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우리 시대에 맞게 또 강좌도 늘어나야 되는 부분이 있고 이러니까 한번 신경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잘 알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이게 뭐 한 해, 두 해가 아니고 이번에 또 행정사무감사 때 부의장님께서도 조금 더 신경을 써달라는 부분에서 말씀하신 부분은 있는데 국비로 매칭률이 있다 보니까 이런 부분인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이거는 뭐.
○이종석 위원 그러면 혹시 수당이라는 부분으로 해가지고 저희 군에서 수당이라는 부분을 가지고 혹시 처우개선이 될 수 있는 부분이 있나요?
이거는 순수 인건비다 보니까 수당이란 항을 가지고 저희가 지금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조금 처우개선에 대한 가능성이 있는지?
이거는 순수 인건비다 보니까 수당이란 항을 가지고 저희가 지금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조금 처우개선에 대한 가능성이 있는지?
○복지과장 이교환 이 부분도 기간제 현재 기간제 인건비로 지원해주고 있는데 주 52시간해서 시간제 개념으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있는데 앞으로 공공기관 공적인 공공형 일자리에 대해서는 정부에서도 정규직화 하는 방침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게 정규직화 될 가능성이 많다고 봅니다.
하여튼 그런 차원에서 저희들도 계속 노력해보겠습니다.
있는데 앞으로 공공기관 공적인 공공형 일자리에 대해서는 정부에서도 정규직화 하는 방침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게 정규직화 될 가능성이 많다고 봅니다.
하여튼 그런 차원에서 저희들도 계속 노력해보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모든 부분에 있어서 이런 인건비 그러니까 지금까지 조금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분들이 있다 그러면 앞으로는 개선되겠죠.
개선되기 전에 국가정책으로 개선되기 전에 저희 지자체에서 뭔가 해줄 수 있는 부분을 관심을 가지고 수당이란 항을 가지고도 할 수가 있겠죠?
개선되기 전에 국가정책으로 개선되기 전에 저희 지자체에서 뭔가 해줄 수 있는 부분을 관심을 가지고 수당이란 항을 가지고도 할 수가 있겠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그런 부분을 가지고 좀 해줄 수 있으면 부탁 좀 드리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다음 예전에 미혼자 국제결혼 관련해가지고 농촌 총각들도 이렇게 지원해줬던 걸로 알고 있는데 지금은 아예 그게 실적이 없고 그게 현실성으로 안 맞아가지고 그게 아예 없어진 건가요?
예산은 세웠나요?
예산은 세웠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저희들이 다문화가족 모국방문 지원이라 해가지고 하고 있고, 미혼자 국제결혼 지원이 있습니다.
여기 307쪽에 300만 원 7인해가지고 2,100만 원 계상했는데 이게 3년 이상 우리 관내에 거주하는 그런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게 있어서 대상자가 작년에도 보니까 그렇게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여기 307쪽에 300만 원 7인해가지고 2,100만 원 계상했는데 이게 3년 이상 우리 관내에 거주하는 그런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게 있어서 대상자가 작년에도 보니까 그렇게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러니까 국제결혼 말고도 지금은 농촌에 있는 총각들한테도 지원이 이게 꼭 국제결혼이 아니라 그래도 국내결혼도 지원이 되는 부분이었나요, 아니면 그냥 국제결혼이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거는 아마 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농촌총각 그거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김의성 위원 과장님 한두 개만 물어볼게요.
294페이지 거기에 보면 그거 왜 양양군 노인복지회관 운영비 쪽에 보면 올해 5억 8,700만 원이 증액됐잖아요?
전년도에는 없었잖아요, 그렇죠 이쪽에 예산이?
올해에 처음 시작하는 거나요, 이거를?
294페이지 거기에 보면 그거 왜 양양군 노인복지회관 운영비 쪽에 보면 올해 5억 8,700만 원이 증액됐잖아요?
전년도에는 없었잖아요, 그렇죠 이쪽에 예산이?
올해에 처음 시작하는 거나요, 이거를?
○복지과장 이교환 이게 작년에는 보조 사업으로 돼있다가 위탁금으로 이게 과목이 변경이 된 겁니다.
○김의성 위원 그다음에 그 밑에 경로당 운영 활성화 지원에서는 지금 5억 2,100만 원 정도를 삭감이 된 부분.
○복지과장 이교환 이거 감액된 이유는요.
작년에는 올해죠, 올해에는 노인회관 신축비가 5억 5,000이 서있었던 게 이번에는 그게 빠지는 바람에 그 부분이 감액된 겁니다.
작년에는 올해죠, 올해에는 노인회관 신축비가 5억 5,000이 서있었던 게 이번에는 그게 빠지는 바람에 그 부분이 감액된 겁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이게 작년하고 그렇게 한 게 여기 과목이 좀 변경이 됐더라고요, 보니까.
경로당 난방비가 295쪽에 별도로 여기에 편성이 되다 보니까 거기에 있던 게 이쪽으로 가고 하는 변경이 되다 보니까 여기에 삭감된 겁니다.
경로당 난방비가 295쪽에 별도로 여기에 편성이 되다 보니까 거기에 있던 게 이쪽으로 가고 하는 변경이 되다 보니까 여기에 삭감된 겁니다.
○김의성 위원 난방비가 이쪽으로 와서 새로 작년에 없던 게 생긴 걸로 이렇게 되면서?
○복지과장 이교환 예, 작년에 여기에 편성돼있었는데 이쪽으로 옮기는 바람에 그게 빠졌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것 궁금했는데 그것까지 답을 다 주셨네요.
그다음에 그 밑에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 관리 그거 바로 제일 밑에 94페이지 5,800만 원 정도가 증액이 됐는데 이거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 관리자가 1명인데 이게 지금 이 분은 어떤 역할을 하시는 거죠?
그다음에 그 밑에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 관리 그거 바로 제일 밑에 94페이지 5,800만 원 정도가 증액이 됐는데 이거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 관리자가 1명인데 이게 지금 이 분은 어떤 역할을 하시는 거죠?
○복지과장 이교환 지금 노인회 양양군지회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있고 한 분이 근무하고 있는데 이번에 5,670만 원이 도비가 1,100내려왔기 때문에 군비 부담해가지고 이렇게 새롭게 추가로 지원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있고 한 분이 근무하고 있는데 이번에 5,670만 원이 도비가 1,100내려왔기 때문에 군비 부담해가지고 이렇게 새롭게 추가로 지원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면 여기 1명을 채용을 했다는?
○복지과장 이교환 아니요, 기존에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기존에 있는데?
○복지과장 이교환 예, 기존에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과장님 장시간 수고 많으십니다.
283페이지 보시면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보호작업장도 있고 또 재활시설 운영하는 데도 있고 있는데 이게 예산액이 전부다 군비로만 예산이 잡히지 않습니까?
인건비도 있고 운영비도 있고 이렇게 다 지원을 해드리는데 이거는 좀 이것도 위탁인 거죠, 저희가?
283페이지 보시면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보호작업장도 있고 또 재활시설 운영하는 데도 있고 있는데 이게 예산액이 전부다 군비로만 예산이 잡히지 않습니까?
인건비도 있고 운영비도 있고 이렇게 다 지원을 해드리는데 이거는 좀 이것도 위탁인 거죠, 저희가?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탁금입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박봉균 위원 생산해서 1년 동안 생산 활동해서 또 판매한다든가 해서 그 실적을 보면 금액이 얼마가 남고 또 운영비는 얼마가 들어가고 인건비는 얼마나 나갔는데 뭐 얼마나 모자란다 이러면 보전해줘야 되는 금액인가요, 이게?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이건 뭐 매출이윤을 낸다기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복지차원에서 지원해주는 거기 때문에.
이건 뭐 매출이윤을 낸다기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복지차원에서 지원해주는 거기 때문에.
○박봉균 위원 장애인에 대한 복지는 맞는 것 같은데요.
그곳에서 봉사하시는 분들이 그분들을 뭐 의심하거나 그러지 않습니다.
그분들이 고생하시는 거 알고 사회적으로 아주 큰 헌신을 하고 계시는 건 알고 있는데 정작 장애인들이 혜택을 받아야 되는데 그렇지 않을 것 같기도 하고요.
또 어느 정도가 남는 건지 어느 정도 인건비를 보조를 받아야지 정상적인 건지 예를 들면 직업에 따라 금액이 다 다르잖아요.
그곳에서 봉사하시는 분들이 그분들을 뭐 의심하거나 그러지 않습니다.
그분들이 고생하시는 거 알고 사회적으로 아주 큰 헌신을 하고 계시는 건 알고 있는데 정작 장애인들이 혜택을 받아야 되는데 그렇지 않을 것 같기도 하고요.
또 어느 정도가 남는 건지 어느 정도 인건비를 보조를 받아야지 정상적인 건지 예를 들면 직업에 따라 금액이 다 다르잖아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복지과장 이교환 지금 저희들이 보니까.
○박봉균 위원 아니, 당장은 아니더라도.
○복지과장 이교환 그건 한번 파악해서 서면으로......
○박봉균 위원 그래서 이게 우리 군에서 이거를 더 줄 수도 있고 덜 줄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그거 거기에 대한 기준을 좀 한번 살펴볼 수 있도록 자료를 만들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그거 거기에 대한 기준을 좀 한번 살펴볼 수 있도록 자료를 만들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자료를 제출하도록 하겠습니다.
○박봉균 위원 이상입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4,000만 원.
○복지과장 이교환 이건 딱 정해진 게 아니고요.
내년도에 정비할 대상에 신청이 들어오면 저희들이 파악해가지고 조사하고 해서 4,000만 원 범위 내에서 지원해주려 그럽니다.
내년도에 정비할 대상에 신청이 들어오면 저희들이 파악해가지고 조사하고 해서 4,000만 원 범위 내에서 지원해주려 그럽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전년도에 없던 예산인데 새롭게 생겨가지고 그래서 이건 그러니까 그냥 잡아놓은 거잖아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아닙니다, 이게.
○김귀선 위원 한 곳에 지원을 한다는 얘기인가요?
○복지과장 이교환 최대로 한 곳에서 4,000만 원 한도 내에서 신청이 들어오면 저희가 파악해서 그쪽으로 4,000만 원을 전액 지원할 수 있고 아니면 여러 군데에서 신청이 들어오면 나눠서 지원할 수 있는 그런 사항이 되겠습니다.
○김귀선 위원 골고루 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어서 제가.
○복지과장 이교환 예, 골고루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김귀선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럼 제가 몇 가지만 짚어보겠습니다.
목욕차량, 세탁차량 운영 잘 되고 계시죠?
또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럼 제가 몇 가지만 짚어보겠습니다.
목욕차량, 세탁차량 운영 잘 되고 계시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1년에 수혜인원은 대강 몇 명씩 되시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지난번에 행정사무감사 때도 보고드렸습니다마는.
○복지과장 이교환 알겠습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이거는 매년 세우는 경비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아까도 말씀, 보훈회관이 보훈단체가 한 8개 단체가 되는데 거기에서 필요할 때마다 신청을 받아서 이거 범위 내에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까도 말씀, 보훈회관이 보훈단체가 한 8개 단체가 되는데 거기에서 필요할 때마다 신청을 받아서 이거 범위 내에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제가 왜 이 말씀드리냐 하면 고엽제사무실이 얼마 전에 됐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원장 김택철 거기에 화장실 없는 거 아시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원장 김택철 난 그거 화장실 신축 예산인가 하고 여쭤보는 거예요.
과장님 좀 신경 쓰셔서 제가 거기를 또 회장님이 뵙자 그래서 다녀왔어요.
사무실은 아주 깔끔하고 아담하게 잘해줬더라고요.
그런데 화장실이 없더라고요.
그걸 뭐 이 예산이 아니면 내년 추경에라도 세워서 화장실을 꼭 설치해 주십사 하고 부탁드립니다.
과장님 좀 신경 쓰셔서 제가 거기를 또 회장님이 뵙자 그래서 다녀왔어요.
사무실은 아주 깔끔하고 아담하게 잘해줬더라고요.
그런데 화장실이 없더라고요.
그걸 뭐 이 예산이 아니면 내년 추경에라도 세워서 화장실을 꼭 설치해 주십사 하고 부탁드립니다.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원장 김택철 그다음에 273쪽에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대납 6,400만 원 수혜인원이 몇 명이나 됩니까?
○복지과장 이교환 몇 쪽......
○위원장 김택철 273쪽.
○복지과장 이교환 지급 보험료 저희들 750세대가 되겠습니다, 750세대.
○위원장 김택철 750세대?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원장 김택철 아니, 정확하지 않으면 그건 나중에 알려주시면 되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원장 김택철 그다음에 기초생활수급자하고 차상위수급자 수가 얼마나 되는지 기초생활수급자 중에서 한 단계 자립으로 가갖고 매년 몇 명이나 그게 기초생활에서 탈피되는지.
○복지과장 이교환 예, 그 부분......
○위원장 김택철 그것도 나중에 알려주세요.
○복지과장 이교환 그거는 추가로 서면으로 제출하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예, 그다음에 287페이지 지역사회 자활기능보강 차량 구입 이거 지금 몇 대나 있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여기에 수어통역센터에 지원해주는 건데요.
차량이 지금 1대 정도 있는데 이거 추가로 지원해주는 게 되겠습니다.
차량이 지금 1대 정도 있는데 이거 추가로 지원해주는 게 되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그것도 빨리 구입해갖고 편의제공에 많이 해주시고 그다음에 293쪽 100세 사회 어르신 일자리 창출 1억 8,900만 원인데 몇 명이나 수혜대상이 될까요?
○복지과장 이교환 이게 저희들이 총 하는 게 1,800명 됩니다, 저기에 보면 어르신 일자리 사업에.
○위원장 김택철 매년?
○복지과장 이교환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올해보다 늘었나요?
○복지과장 이교환 조금씩 좀.
○위원장 김택철 늘어가고 있죠?
○복지과장 이교환 예, 조금씩.
○복지과장 이교환 303쪽이요.
○위원장 김택철 아니, 나중에 좀 알려주시면 고맙겠고요.
○복지과장 이교환 예.
○위원장 김택철 하여튼 제 질문은 질의는 이걸로 마치고 장시간 동안 우리 복지과는 국도비 사업이 많아서 또 사업량도 대단히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여튼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서 항상 애써주시는 복지과 과장님을 비롯해 우리 직원들께 감사드리면서 우리 의원님들 예산의 효율적 편성, 운영을 위해 아주 까칠한 질의해주신 데에 감사드리면서 이상으로 복지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휴식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도록 하겠습니다.
11시 35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하여튼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서 항상 애써주시는 복지과 과장님을 비롯해 우리 직원들께 감사드리면서 우리 의원님들 예산의 효율적 편성, 운영을 위해 아주 까칠한 질의해주신 데에 감사드리면서 이상으로 복지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복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휴식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도록 하겠습니다.
11시 35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 21분 정회)
(11시 35분 속개)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안녕하십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입니다.
군정전반 중에서도 항상 저희 경제 분야에 깊은 관심과 성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김택철 예결위원장님을 비롯한 의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럼 저희 과 소관 세출예산 사업명세서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경제에너지과는 본예산 51억 3,735만 5천 원으로 전년 대비 1억 1,846만 원이 증액하였습니다.
정책 단위별로 구분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에너지 안전 및 공급개선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6억 6,840만 3천 원으로 에너지절약 홍보물 제작 등 사무관리비에 400만 원, 에너지 업무 추진 국내여비 150만 원, 태양광발전시설 유지관리비 3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기시설 개선사업 위탁사업비 1,260만 원,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 보조사업비 7,06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 지원 위탁사업비 1,176만 원, 저소득층 고령자가구 타이머 콕 지원 위탁사업비 872만 원,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비 지원 위탁사업비 12억 5,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으로 예산액은 3억 222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사업 시설비로 2,620만 원과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사업 위탁사업비로 7,014만 3천 원, 태양열 활용 다목적 이용설비 보급 자본보조사업비 2억, 아파트 승강기 전력생산장치 보급 위탁사업비 58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생활공해 관리가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억 9,270만 원으로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비산업부문 사업장 온실가스 진단 컨설턴트 활동 지원 예산으로 800만 원, 기후변화 대응 홍보물 제작비 60만 원,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지원금 770만 원을 계상하였고, 탄소포인트제 운영보상금 600만 원, 탄소포인트제 가입 홍보물 제작 등 사무관리비에 15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자본보조사업비 1억 5,400만 원과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위탁관리 운영비 240만 원, 전기이륜차 구매 지원 자본보조사업비 1,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소기업 육성지원 사업으로 예산액은 6억 7,780만 원으로 중소기업 홍보 및 기업유치 홍보물 제작 등 사무관리비 1,450만 원, 중소기업 지원 업무추진 여비 150만 원, 관내 기업제품 상설 전시 진열장 구입비 3,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포월리 마을공동 농기계 보관창고 신축 자본보조사업비에 3억 3,000만 원과 협약대출 이차지원 사업 2억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소기업 홍보 및 판로지원으로 중소기업 맞춤형 토털 마케팅 지원 위탁사업비 3,900만 원과 제조업체 전기안전검사 수수료 지원 보조사업비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농공단지 근로자 한마당 행사 운영비에 200만 원과 지역산업체 모범근로자 연수 지원 보상금에 4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인구정책 사업으로 예산액은 1억 2,500만 원으로 인구 늘리기 정책 홍보물 제작비 100만 원과 인구정책 업무추진 여비 1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입세대 쓰레기봉투 지원 등 기타보상금에 1억 2,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고용 촉진 및 안정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9억 292만 원으로 공공근로사업자 참여자 인건비에 2억 8,984만 원과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인건비 4억 6,6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운영비 600만 원,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추진여비 200만 원,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재료비 8,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취업 촉진사업 추진으로 정규직 일자리 보조금 지원 보조사업비 6,600만 원과 준·고령자 인턴제 운영 보조사업비 1,2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자율지원 보상금에 1,460만 원과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 보조사업비에 2억 4,48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일자리 창출사업 보조사업비에 1억 2,500만 원과 사회적기업 사회보험료 지원 보조사업비에 1,57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또한 강원도형 사회보험료 지원 보조사업비에 4억 7,880만 원과 강원도형 일자리 안심공제 지원 사업 부담금 8,856만 원을 계상하였고, 직업소개사업 교육훈련 강사수당에 61만 원과 마을기업 박람회 참가 보상금에 2,0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일자리 공시제 보고서 작성 등 사무관리비에 200만 원, 일자리 지원 업무추진 여비 200만 원, 인구일자리 시책추진 업무추진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경제안정 기반확립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2억 6,001만 7천 원으로 신토불이 상인 인증제 운영 등 사무관리비에 1,620만 원, 전통시장 활성화 업무추진 여비 130만 원, 양양 전통시장 및 주변 활성화를 위한 타당성조사 용역비에 1억 원, 시장박람회 참가 등 행사실비보상금에 447만 1천 원, 토요시장 및 신토불이 상인 운영지원 보조사업비에 660만 원, 전통시장 시설물 유지보수비 2,000만 원, 전통시장 화장실 운영 위탁비에 1,008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통시장 안전요원 배치지원 등 민간경상사업 보조사업비에 5,335만 6천 원과 전통시장 안전요원 배치 자부담 추가지원에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물가대책위원회 참석 등 사무관리비에 390만 원, 물가대책 관련 업무추진 여비 130만 원, 착한가격업소 인센티브 지원 보상금에 92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제에너지과 행정운영 인력경비입니다.
예산액은 1억 8,051만 5천 원으로 초과근무수당 6,426만 6천 원과 무기계약근로자 보수 7,23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경제에너지과 기본경비로 사무관리비 2,587만 2천 원, 국내여비 1,440만 원, 부서운영 업무추진비 360만 원, 농공단지 조성사업 특별회계 전출금 1억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25페이지 농공단지 조성사업 특별회계가 되겠습니다.
농공단지 조성사업 특별회계 예산액은 9억 9,609만 원으로 전년 대비 3억 5,931만 원이 감액되었으며, 먼저 세입예산 분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외수입으로 관리사 및 벤처타운 임대료 1,300만 원,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운영 부담금 2억 400만 원, 공공예금 이자수입 500만 원과 농공단지 분양금 5,000만 원,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장 시설 적립금 1,080만 원,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운영비 부담금 36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고,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로 순세계잉여금 5억 7,969만 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1억 3,00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29쪽 세출분야입니다.
농공단지 조성 및 운영으로 TMS정도검타 수수료 500만 원, 공공폐수처리시설 보수 등 시설비 2억 700만 원, 농공단지 기반시설 유지관리비 1억, 폐수종말처리시설 운영 전기료 1억 4,400만 원, 포월농공단지 공공폐수시설 위탁운영비 5억 1,9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농공단지 시설 운영 및 소모품 구입 등 사무관리비 1,434만 원과 농공단지 업무추진 여비 67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31쪽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사업 특별회계가 되겠습니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사업 특별회계 예산액은 21억 7,736만 4천 원으로 전년도 대비 1억 3,403만 6천 원이 감액되었으며, 먼저 세입분야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외수입으로 공공예금 이자수입 2,500만 원, 민간융자금 회수 이자수입 600만 원과 발전소 주변지역 기본지원금 3억 3,44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고, 순세계잉여금 17억 3,196만 4천 원과 주민복지 융자금 원금수입으로 8,00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분야입니다.
발전소 주변지역 정비 사업으로 사무관리비 1,200만 원과 국내여비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양수발전소 발전소 주변지역 소득증대 사업으로 3억 2,700만 원과 주민복지 및 기업지원 사업으로 4억을 계상하였으며, 예비비 14억 2,34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고보조금 이자 반환금으로 150만 원과 풍력발전소 주변지역 소득증대 사업으로 640만 원, 발전소 주변지역 공공사회복지 사업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에너지과 소관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입니다.
군정전반 중에서도 항상 저희 경제 분야에 깊은 관심과 성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김택철 예결위원장님을 비롯한 의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럼 저희 과 소관 세출예산 사업명세서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경제에너지과는 본예산 51억 3,735만 5천 원으로 전년 대비 1억 1,846만 원이 증액하였습니다.
정책 단위별로 구분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에너지 안전 및 공급개선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6억 6,840만 3천 원으로 에너지절약 홍보물 제작 등 사무관리비에 400만 원, 에너지 업무 추진 국내여비 150만 원, 태양광발전시설 유지관리비 3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기시설 개선사업 위탁사업비 1,260만 원,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 보조사업비 7,06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 지원 위탁사업비 1,176만 원, 저소득층 고령자가구 타이머 콕 지원 위탁사업비 872만 원,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비 지원 위탁사업비 12억 5,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으로 예산액은 3억 222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사업 시설비로 2,620만 원과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사업 위탁사업비로 7,014만 3천 원, 태양열 활용 다목적 이용설비 보급 자본보조사업비 2억, 아파트 승강기 전력생산장치 보급 위탁사업비 58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생활공해 관리가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억 9,270만 원으로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비산업부문 사업장 온실가스 진단 컨설턴트 활동 지원 예산으로 800만 원, 기후변화 대응 홍보물 제작비 60만 원,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지원금 770만 원을 계상하였고, 탄소포인트제 운영보상금 600만 원, 탄소포인트제 가입 홍보물 제작 등 사무관리비에 15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자본보조사업비 1억 5,400만 원과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위탁관리 운영비 240만 원, 전기이륜차 구매 지원 자본보조사업비 1,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소기업 육성지원 사업으로 예산액은 6억 7,780만 원으로 중소기업 홍보 및 기업유치 홍보물 제작 등 사무관리비 1,450만 원, 중소기업 지원 업무추진 여비 150만 원, 관내 기업제품 상설 전시 진열장 구입비 3,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포월리 마을공동 농기계 보관창고 신축 자본보조사업비에 3억 3,000만 원과 협약대출 이차지원 사업 2억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소기업 홍보 및 판로지원으로 중소기업 맞춤형 토털 마케팅 지원 위탁사업비 3,900만 원과 제조업체 전기안전검사 수수료 지원 보조사업비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농공단지 근로자 한마당 행사 운영비에 200만 원과 지역산업체 모범근로자 연수 지원 보상금에 4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인구정책 사업으로 예산액은 1억 2,500만 원으로 인구 늘리기 정책 홍보물 제작비 100만 원과 인구정책 업무추진 여비 1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입세대 쓰레기봉투 지원 등 기타보상금에 1억 2,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고용 촉진 및 안정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9억 292만 원으로 공공근로사업자 참여자 인건비에 2억 8,984만 원과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인건비 4억 6,6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운영비 600만 원,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추진여비 200만 원,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재료비 8,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취업 촉진사업 추진으로 정규직 일자리 보조금 지원 보조사업비 6,600만 원과 준·고령자 인턴제 운영 보조사업비 1,2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자율지원 보상금에 1,460만 원과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 보조사업비에 2억 4,48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일자리 창출사업 보조사업비에 1억 2,500만 원과 사회적기업 사회보험료 지원 보조사업비에 1,57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또한 강원도형 사회보험료 지원 보조사업비에 4억 7,880만 원과 강원도형 일자리 안심공제 지원 사업 부담금 8,856만 원을 계상하였고, 직업소개사업 교육훈련 강사수당에 61만 원과 마을기업 박람회 참가 보상금에 2,0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일자리 공시제 보고서 작성 등 사무관리비에 200만 원, 일자리 지원 업무추진 여비 200만 원, 인구일자리 시책추진 업무추진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경제안정 기반확립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2억 6,001만 7천 원으로 신토불이 상인 인증제 운영 등 사무관리비에 1,620만 원, 전통시장 활성화 업무추진 여비 130만 원, 양양 전통시장 및 주변 활성화를 위한 타당성조사 용역비에 1억 원, 시장박람회 참가 등 행사실비보상금에 447만 1천 원, 토요시장 및 신토불이 상인 운영지원 보조사업비에 660만 원, 전통시장 시설물 유지보수비 2,000만 원, 전통시장 화장실 운영 위탁비에 1,008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통시장 안전요원 배치지원 등 민간경상사업 보조사업비에 5,335만 6천 원과 전통시장 안전요원 배치 자부담 추가지원에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물가대책위원회 참석 등 사무관리비에 390만 원, 물가대책 관련 업무추진 여비 130만 원, 착한가격업소 인센티브 지원 보상금에 92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제에너지과 행정운영 인력경비입니다.
예산액은 1억 8,051만 5천 원으로 초과근무수당 6,426만 6천 원과 무기계약근로자 보수 7,23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경제에너지과 기본경비로 사무관리비 2,587만 2천 원, 국내여비 1,440만 원, 부서운영 업무추진비 360만 원, 농공단지 조성사업 특별회계 전출금 1억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25페이지 농공단지 조성사업 특별회계가 되겠습니다.
농공단지 조성사업 특별회계 예산액은 9억 9,609만 원으로 전년 대비 3억 5,931만 원이 감액되었으며, 먼저 세입예산 분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외수입으로 관리사 및 벤처타운 임대료 1,300만 원,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운영 부담금 2억 400만 원, 공공예금 이자수입 500만 원과 농공단지 분양금 5,000만 원,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장 시설 적립금 1,080만 원,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운영비 부담금 36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고,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로 순세계잉여금 5억 7,969만 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1억 3,00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29쪽 세출분야입니다.
농공단지 조성 및 운영으로 TMS정도검타 수수료 500만 원, 공공폐수처리시설 보수 등 시설비 2억 700만 원, 농공단지 기반시설 유지관리비 1억, 폐수종말처리시설 운영 전기료 1억 4,400만 원, 포월농공단지 공공폐수시설 위탁운영비 5억 1,9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농공단지 시설 운영 및 소모품 구입 등 사무관리비 1,434만 원과 농공단지 업무추진 여비 67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31쪽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사업 특별회계가 되겠습니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사업 특별회계 예산액은 21억 7,736만 4천 원으로 전년도 대비 1억 3,403만 6천 원이 감액되었으며, 먼저 세입분야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외수입으로 공공예금 이자수입 2,500만 원, 민간융자금 회수 이자수입 600만 원과 발전소 주변지역 기본지원금 3억 3,44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고, 순세계잉여금 17억 3,196만 4천 원과 주민복지 융자금 원금수입으로 8,000만 원을 세입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분야입니다.
발전소 주변지역 정비 사업으로 사무관리비 1,200만 원과 국내여비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양수발전소 발전소 주변지역 소득증대 사업으로 3억 2,700만 원과 주민복지 및 기업지원 사업으로 4억을 계상하였으며, 예비비 14억 2,34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고보조금 이자 반환금으로 150만 원과 풍력발전소 주변지역 소득증대 사업으로 640만 원, 발전소 주변지역 공공사회복지 사업 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에너지과 소관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신문홍보 전단지입니다.
신문홍보 전단지에 신문 간지에 넣어서 인구 늘리기 홍보정책 저희들이 지금 현재 추진하는 정책 같은 것 홍보하고 있습니다.
신문홍보 전단지에 신문 간지에 넣어서 인구 늘리기 홍보정책 저희들이 지금 현재 추진하는 정책 같은 것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정책을 알리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이종석 위원 그러니까 지금 저희 관내에 있는 주민들에게 정책을 알리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럼 여기에 대한 뭐 계획은 다 잡혀있는 건가요, 아니면 도에서?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강원도에서.
○이종석 위원 도에서 나오는 정책에 따라서 저희도 양양군에서 정책을 시행하는 건지 아니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도비 보조금으로 해서 함께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도비 보조금으로 해서 함께 진행하고 있는 겁니다.
○이종석 위원 아니, 그러니까 예산 집행은 도에서 나오는 대로 집행을 하겠지만 제가 질의 드리는 부분은 정책 그러니까 여기 안에서 사업이라든가 우리가.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세부 분야 말씀하시는 거죠?
○이종석 위원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런데 이 부분은 교통비 월 10만 원 정도를 해가지고 청년일자리에 참여하는 분들에게 13명 정도가 되는데 지원해주고 있고요.
그다음에 이거는 기업하고 청년 대상으로 공모신청을 받아서 매칭해가지고 구인구직을 하는 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겁니다.
그다음에 이거는 기업하고 청년 대상으로 공모신청을 받아서 매칭해가지고 구인구직을 하는 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겁니다.
○이종석 위원 공고를 하신다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공고를.
○이종석 위원 공고는 어디 그러면 홈페이지에다만 할 예정인가요, 아니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홈페이지에 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게 저희가 보면 청년들이 홈페이지에 보면 관심 있게 보는 청년들이 많지 않거든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뭐 전단지를 활용하든가 아니면 현수막을 이용해서 홍보를 좀 확실하게 해가지고 많은 청년들이 관심 가져가지고 이쪽을 활용할 수 있게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뭐 전단지를 활용하든가 아니면 현수막을 이용해서 홍보를 좀 확실하게 해가지고 많은 청년들이 관심 가져가지고 이쪽을 활용할 수 있게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예산을 쓰는 것보다도 홍보를 해가지고 누군가가 관심 있게 많은 참여하는 게 목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 부분에 대해서 홍보도 좀 관심 있게 부탁을 드리고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저번에 저희 의원님들께서도 주문하신 바가 있었고요.
현재 전통시장에 보면 싸전하고 본시장하고 연결돼서 활성화 시켜줘야 되는 부분이 있었고요.
그다음에 할머니장터라든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좀 더 현실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가 해서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하는 건이 되겠습니다.
현재 전통시장에 보면 싸전하고 본시장하고 연결돼서 활성화 시켜줘야 되는 부분이 있었고요.
그다음에 할머니장터라든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좀 더 현실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가 해서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하는 건이 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럼 지금까지는 조사 용역이 없이 저희가 시장이란 부분을 이거 예산을 집행하고 그랬었나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니, 기존에는 시장에 대한 부분을 활성화계획에 의해서 정리하고 있다가 지금 현재 저희들 전통시장이 좀 더 활성화 돼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전문기관에 좀 더 어떤 좋은 안이 있는가 해서 용역을 실시하게 되는 건이 되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착한업소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지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기존 예산하고 변동이 없고요.
계속해서 같은 수준으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같은 수준으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러면 지금 물가도 상승하고 이러다 보니까 나름대로 착한가격에 한번 선정이 됐을 때에 그걸 어떻게든 유지를 해가지고 저희가 관광객들이 왔을 때 착한가격업소가 많아서 이미지 좋은 것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조금 그 가격대 처음에 선정됐을 때에 가격보다는 조금 틀린 부분이 있다지만 그래도 현실적으로 봤을 때 상당히 타당성 있게 운영을 하고 있다 그러면 착한업소에 대한 부분도 계속적으로 지속적으로 가지고 가는 것도 맞지 않나 싶어가지고요.
그래서 조금 그 가격대 처음에 선정됐을 때에 가격보다는 조금 틀린 부분이 있다지만 그래도 현실적으로 봤을 때 상당히 타당성 있게 운영을 하고 있다 그러면 착한업소에 대한 부분도 계속적으로 지속적으로 가지고 가는 것도 맞지 않나 싶어가지고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이종석 위원 착한업소에 대한 부분도 선정하실 때 또 아니면 선정됐던 부분에 대해서 관리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발전소 주변지역 소득증대 사업 3억 2,700만 원은 지금 현재 영덕, 공수전, 서림, 송천 이렇게 4개 마을회에서 양수발전소가 건립되면서 그때부터 받아왔던 그 금액을 양수발전소에서 저희들한테 기금으로다가 지원해주는 그 금액이 되겠습니다.
매년 이 정도 수준에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매년 이 정도 수준에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아니, 수익 말고 세출에.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세출, 예.
이거는 이제.
이거는 이제.
○박봉균 위원 그러니까 이거 용도가 어떻게 되는 건지 제가 여쭙는 겁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마을발전기금으로 마을회에서 사업계획을 받아가지고 저희들이 집행해주고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4개의 마을회에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그런데 현재 내년도부터는 조금 변동사항이 있을 것 같습니다.
○박봉균 위원 그러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19년부터는.
○박봉균 위원 ‘19년도에 영덕에 이게 들어가는 돈인가요, 영덕리에?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닙니다.
영덕 그러니까 기존에 발전기 반경 5km 이내의 지역이 네 군데 마을이었습니다.
영덕, 공수전, 그다음에 서림, 송천 그런데 법이 개정되면서 발전기 주변 5km 이내에 있는 읍면동이 다 포함이 되다 보니까 현재 서면에서 피해정도에 따라서 차등해서 배분을 해달라는 건의가 있어서 이장협의회를 통해서 현재 지금 기준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영덕 그러니까 기존에 발전기 반경 5km 이내의 지역이 네 군데 마을이었습니다.
영덕, 공수전, 그다음에 서림, 송천 그런데 법이 개정되면서 발전기 주변 5km 이내에 있는 읍면동이 다 포함이 되다 보니까 현재 서면에서 피해정도에 따라서 차등해서 배분을 해달라는 건의가 있어서 이장협의회를 통해서 현재 지금 기준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그 문제가 해결됐나요, 지금 그러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한 99% 정도.
○박봉균 위원 99%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닙니다.
올해까지만 그랬고 내년에 기준안이 지금 마련이 되고 있어서.
올해까지만 그랬고 내년에 기준안이 지금 마련이 되고 있어서.
○박봉균 위원 아니, 3억 2,000을 내년에 어디에다 쓸 건지 제가 여쭙는 건데.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20개 마을에 다 한꺼번에 쓰고.
○박봉균 위원 20개 마을에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그렇게 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그렇게 해결이 됐어요, 이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지금 현재 조산리 공급소까지 되어있고요.
조산리에서 연창리 무지개주유소 부분 지역정압소까지 가는 금액입니다.
조산리에서 연창리 무지개주유소 부분 지역정압소까지 가는 금액입니다.
○김의성 위원 그럼 원관만 가는 거예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의성 위원 가정집으로는 일단 보급은 그럼 언제해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래서 한 3차 연도계획으로 하고 있습니다.
1차 연도는 내년도인데요.
그래서 12억 그러니까 25억이 되겠습니다.
가스회사하고 저희하고 양양군하고 해서 하는 건데 그래서 정압소 연창리 정압소까지 오고요.
2020년도에는 군청 앞에까지 올 계획으로 있고 2021년도에는 인근 공동주택으로 그렇게 보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1차 연도는 내년도인데요.
그래서 12억 그러니까 25억이 되겠습니다.
가스회사하고 저희하고 양양군하고 해서 하는 건데 그래서 정압소 연창리 정압소까지 오고요.
2020년도에는 군청 앞에까지 올 계획으로 있고 2021년도에는 인근 공동주택으로 그렇게 보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480만 원이요.
○김의성 위원 480만 원.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의성 위원 그런데 전년도에는 안 섰었나요, 이거 480만 원?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섰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런데 그건 어디로 날아갔나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게 저희들이 조례 공포가 조금 2018년도 금년도 10월에 제정되다 보니까 제조업체 중에 모범근로자 표창을 받은 분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일정이 저희들하고 계획은 맞지 않아가지고 올해에는 본인들이 포기한 부분이고요.
그래서 내년도에는 상반기에 일찍 협의를 해서.
그래서 내년도에는 상반기에 일찍 협의를 해서.
○김의성 위원 그럼 올해 480만 원은 그러면 집행을 안했다는 얘기네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집행 못했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런데 이 위에 지금 6,800으로 같이 잡혀있으니까 그러면 이거는 지금 일단 불용 처리돼있네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김귀선 위원 김귀선 의원입니다.
과장님 수고 많으시고요.
저는 탄소포인트제 운영에 대해서 제가 잘 모르고 있어서 저 같은 사람이 또 여럿 있지 않을까 싶어서 한번 여쭤보고 싶습니다.
과장님 수고 많으시고요.
저는 탄소포인트제 운영에 대해서 제가 잘 모르고 있어서 저 같은 사람이 또 여럿 있지 않을까 싶어서 한번 여쭤보고 싶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탄소포인트제는요 가정이나 상업하시는 분들이 저희들은 전기입니다.
그런데 보통적으로 정부에서 진행하는 정책은 전기, 수도, 가스 이런 사용을 하는데 있어서 절감을 하면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감축 프로그램으로써 탄소포인트제 절감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겁니다.
그래서 20% 미만으로다가 절감이 됐을 때는 5천 원이고요.
20% 이상으로 절감했을 때는 1만 원을 지원해주게 됩니다.
그런데 상·하반기 구분해서 2회가 되겠죠.
그러니까 맥시멈 2만 원까지 현금으로 지급하는 그런 제도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보통적으로 정부에서 진행하는 정책은 전기, 수도, 가스 이런 사용을 하는데 있어서 절감을 하면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감축 프로그램으로써 탄소포인트제 절감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겁니다.
그래서 20% 미만으로다가 절감이 됐을 때는 5천 원이고요.
20% 이상으로 절감했을 때는 1만 원을 지원해주게 됩니다.
그런데 상·하반기 구분해서 2회가 되겠죠.
그러니까 맥시멈 2만 원까지 현금으로 지급하는 그런 제도가 되겠습니다.
○김귀선 위원 지자체마다 다 다르나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거의 대동소이합니다.
○김귀선 위원 같나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선진지 견학,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래서 선진지 견학을 다녀오시고 그 부분에 대해서 저희들이 지금 조사 용역비도 이번에 계상하려고 하고요.
그래서 그 부분에 디테일한 계획은 아직 세워져있지 않지만 조사 용역비를 세우는 등 저희들이 그 부분에 대해서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디테일한 계획은 아직 세워져있지 않지만 조사 용역비를 세우는 등 저희들이 그 부분에 대해서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귀선 위원 다녀오셨으니까 어쨌든 좀 잘 활용할 수 있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러도록 하겠습니다.
○김귀선 위원 과장님 애써주세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귀선 위원 이상입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희망자에 의해서 하는 거다 보니까.
○김우섭 위원 아니, 희망자를 미리 받아놓고 여기에 지금 반영하는 거예요, 아니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추경에 좀 더 확보할 계획으로 지금 일단 예산.
○김우섭 위원 다시 확보할 계획으로 일단은 그래서 먼저 1억 세웠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게 어떻게 나가는 건 잘 나가요, 차가?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잘 나갑니다.
○김우섭 위원 그래서 많은 혜택이 좀 돌아갔으면 좋겠고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339쪽에 연계해서 전기이륜차 이게 올해 처음 계상됐나요, 1,950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닙니다.
금년도에도 계상이 됐는데.
금년도에도 계상이 됐는데.
○김우섭 위원 계상이 됐는데 몇 대나 나갔어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1대도 안 나갔습니다.
○김우섭 위원 1대도 안 나갔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이거는.
○김우섭 위원 그거 안 나가는데 이번에 왜 또 세워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그래서 또 구매의욕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혹시 계시면 그분들한테 지원을 해줘야 되기 때문에.
○김우섭 위원 대책이 뭐예요, 그러면?
아니, 그럼 이것도 충분한 어디가 메리트가 있고 또 국가에서 권장하는 사업이고 이래서 이거를 할 건데 적어도 한 4, 5대 정도 할 걸 우리는 1대도 안됐다는 거 첫째는 그 문제점이 뭐예요?
아니, 그럼 이것도 충분한 어디가 메리트가 있고 또 국가에서 권장하는 사업이고 이래서 이거를 할 건데 적어도 한 4, 5대 정도 할 걸 우리는 1대도 안됐다는 거 첫째는 그 문제점이 뭐예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문제점은.
○김우섭 위원 홍보가 안됐다는 얘기일 거 아니에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닙니다.
홍보는 저희들이.
홍보는 저희들이.
○김우섭 위원 상관이 없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다방면으로 하는데 다만 본인들 자부담이 너무 과하다 보니까 보통 250에서 400만 원까지 자부담을 해야 되니까 일반......
○김우섭 위원 1대가 얼만데요, 이거 값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천차만별입니다.
한 4, 5가지 되는데요.
한 3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한 4, 5가지 되는데요.
한 3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김우섭 위원 380에서 600만 원까지?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우섭 위원 1시간 충전해 뭐 40km 정도 갈 수 있다 이러고 하는데.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우섭 위원 제가 보기에 이 정도 메리트가 있으면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전년도 1대도 안 나갔다라는 거는 아무래도 문제가 좀 있다고 보거든요.
올해에는 이거 다 소진할 수 있겠어요?
올해에는 이거 다 소진할 수 있겠어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적극적인 홍보하고 해서 소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렇게 해서 또 우리 국가 에너지정책 또 에너지과장님이 이런 정책을 잘 반영한다라는 얘기를 들을 수 있게끔 노력을 좀 해주시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우섭 위원 그래서 한 6억 정도 올해에는 감해졌고 그래서 이거 10억 다 썼어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우섭 위원 작년에 10억 8,000을 다 썼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관내에 소상공인 근로자를 채용하는 사업주가 부담하게 되는 사회보험료를 지원해주는 보조사업비가 되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제가 생각하기로는 내가 알기로는 한 7억 얼마 정도를 이월시킨 걸로 알고 있는데 다 썼다고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거는 제가 아직......
○김우섭 위원 제가 알기로는 10억 정도인데 제가 이월된 거 알고 있는데 그렇죠?
제 얘기는 그거예요.
그러면 내년에는 이 예산으로써 이건 다 가능한지 여기에도 우리 군비 부담이 한 30% 정도 되잖아요.
그렇죠?
제 얘기는 그거예요.
그러면 내년에는 이 예산으로써 이건 다 가능한지 여기에도 우리 군비 부담이 한 30% 정도 되잖아요.
그렇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우섭 위원 그거 쓰지도 못할 돈 차라리 이런 거는 차라리 반납하는 게 낫지 세워둬서 뭐하겠느냐는 얘기지.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그런데 이건......
그런데 이건......
○김우섭 위원 나중에 다시 한번 저한테 설명을 좀 해주세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제가 별도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다음에 우리 의원님들이 항상 관심 갖던 양양 전통시장 용역비 1억 저는 그 용역비에 대해서는 전 뭐 별 관여하고 싶지는 않은데.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김우섭 위원 우리가 1억 이 용역을 가지고 한다라는 것도 상당히 많은 금액인데 좀 제대로 용역을 해가지고 우리 양양주변 경기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확실하게 추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이상입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지금 현재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완속충전기하고 급속충전기 2개로 나눕니다.
급속충전기는 한 3, 40분이면 되고요.
완속충전기는.
급속충전기는 한 3, 40분이면 되고요.
완속충전기는.
○박봉균 위원 우리 군에서 설치를 하는 건가요, 아니면 민간인이 설치를 한 건가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 환경부에서 직접 설치를 합니다.
그런데 다만 낙산 광장주차장에 설치한 거는 저희들이 양양군에서 설치를 했기 때문에 이거에 대한 위탁관리비를 지출하게 되는 겁니다.
그런데 다만 낙산 광장주차장에 설치한 거는 저희들이 양양군에서 설치를 했기 때문에 이거에 대한 위탁관리비를 지출하게 되는 겁니다.
○박봉균 위원 인건비죠, 그러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위탁관리비, 예.
○박봉균 위원 잘 알겠습니다.
그리고 전통화장실 운영 지원해서 이렇게 840만 원씩 12달 나가는 게 있어요, 345페이지 밑에서 세 번째에 보면.
이것도 인건비인가요, 아니면 전문청소업체인가요?
그리고 전통화장실 운영 지원해서 이렇게 840만 원씩 12달 나가는 게 있어요, 345페이지 밑에서 세 번째에 보면.
이것도 인건비인가요, 아니면 전문청소업체인가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건 상가 내에 화장실 운영하고 있는 분들을 인건비 지원하고 있는 겁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박봉균 위원 이게 막 어떨 때 바쁠 때 폐쇄되고 지저분해가지고 페이스북에 막 올라와서 여름에 좀 그런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전문업체에 맡기시든지 예산은 제가 금액을 못 따져봤으니까 모르겠는데 그렇게 좀 살펴봐주시고요.
그래서 전문업체에 맡기시든지 예산은 제가 금액을 못 따져봤으니까 모르겠는데 그렇게 좀 살펴봐주시고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박봉균 위원 그게 전년도 예산에 보면 6,300이 있는데 전년도 예산 내역이 없어서 이게 똑같은 건가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똑같은 내용인데 이것도 지원.
○박봉균 위원 아니, 그러니까 경상사업보조인데 안전요원 배치 지원이 전년도에도 있었나요, 5,000이?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있었습니다.
○박봉균 위원 있었던 거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조금 인건비가 부족하다 보니까 시장 상인대표에서 할머니 매대에 1만 원씩 징수하는 게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거를 징수하지 않는 조건으로 저희들이 추가로 지원해주면서.
그래서 그거를 징수하지 않는 조건으로 저희들이 추가로 지원해주면서.
○박봉균 위원 : 매대 징수하는 거를? ○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 예.
○박봉균 위원 제가 그렇게 설명을 들으니까 이해가 가는데 이건 또 뭔가 해서.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복장이 있는데 착용을 안 하는 걸로 아는데.
○이종석 위원 그러니까 저희가 왜 이걸 여쭤보냐 하면 특히 김의성 의원님 같은 경우는 매번 장이 서면 거기를 가서 조금 민심을 둘러보고 하는 아주 관심 있게 보고 있거든요.
저도 자주 나가보는데 안전요원이 있다는 느낌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어가지고 한번 여쭤보는 겁니다.
저도 자주 나가보는데 안전요원이 있다는 느낌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어가지고 한번 여쭤보는 겁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닙니다.
○이종석 위원 이게 있다 그러면 많은 분들이 군에서 이렇게 안전요원을 배치해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안전에 대한 부분도 이거 보상을 받고 있구나 이런 느낌을 받아야 되는데 하나도 없는데 이런 예산이 큰 금액으로 편성돼있으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았습니다.
이거는 뭐 복장이라든가 이런 부분 갖춰서 다시 정리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이거는 뭐 복장이라든가 이런 부분 갖춰서 다시 정리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알겠습니다.
또 하나는 농공단지에 대해서 한번 여쭤보겠습니다.
농공단지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에 대한 전수조사가 뭐 돼있는 게 있나요, 혹시 운영에 대한 부분도 있고?
또 하나는 농공단지에 대해서 한번 여쭤보겠습니다.
농공단지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에 대한 전수조사가 뭐 돼있는 게 있나요, 혹시 운영에 대한 부분도 있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혹시나 입주를 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때 저희가 지원되는 부분이 있나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있습니다.
현재 농공단지 저희들이 5억 원까지 융자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농공단지.
현재 농공단지 저희들이 5억 원까지 융자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농공단지.
○이종석 위원 지금 그럼 법정관리 들어가 있는 데도 있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그래서 지금 소송 중에 있죠.
○이종석 위원 혹시나 그렇게 법정관리가 지금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희가 지금은 뭐 경기가 어려워서 나름대로 그런 관리도 하고 지금 법정소송에 있다지만 추후에 그게 나름의 유망사업이고 관심 있게 본다면 우리 행정에서도 그런 부분에 대해서 뭐 생각하는 게 있나요?
국가적으로는 뭐 대기업들이 부도난다 그러면 저희가 어떻게든 빚을 탕감해준다든가 일자리도 그렇고 경제적 효과도 이래가지고 국가적으로 책임져주고 있지 않습니까?
국가적으로는 뭐 대기업들이 부도난다 그러면 저희가 어떻게든 빚을 탕감해준다든가 일자리도 그렇고 경제적 효과도 이래가지고 국가적으로 책임져주고 있지 않습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이종석 위원 그런 부분이 지금 뭐 되어있는지요?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아직까지 지원계획은 없고요.
향후에 검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향후에 검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예, 봐가지고 뭐 지금 경제적인 부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면 장기적으로 봐가지고 저희 행정에서도 가지고 갈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가지고 가면서 지역에 대한 경제도 좀 생각해야 되지 않나 한번 말씀드립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택철 이종석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다른 위원 안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이 없으므로 제가 몇 가지만 여쭐 테니까 간단하게 답변해 주십시오.
또 다른 위원 안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이 없으므로 제가 몇 가지만 여쭐 테니까 간단하게 답변해 주십시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태양열 활용 다목적 이용설비 보급 이거는 마을회관 또는 경로당에다가 태양열 시설을 설비를 지원해주는 겁니다.
저희가 이번에 10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저희가 이번에 10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위치선정은 안됐겠죠?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위원장 김택철 그다음에 339 기업제품 전시 진열장 3,000만 원인데 위치는 어디입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오산박물관하고 웰컴센터 완공되면 거기하고 관광안내소 이렇게 계획하고 있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것 취약계층이 되겠습니다.
18세 이상 근로자 중에서 2억 이하의 재산, 중위소득 60% 이내인 분들 42명을 대상으로 지원해줄 계획으로 있습니다.
18세 이상 근로자 중에서 2억 이하의 재산, 중위소득 60% 이내인 분들 42명을 대상으로 지원해줄 계획으로 있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이거는 관내에 중소기업에서 50세 이상 준·고령자를 채용했을 경우에 월 80만 원씩 3개월 동안 지원해주는 그런 제도가 되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순수한 군비입니까?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예.
○위원장 김택철 그것도 하여튼 내년에 빨리 건축되도록 그렇게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경제에너지과장 전현철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경제에너지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경제에너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잠시 정회토록 하겠습니다.
중식을 위해서 잠시 정회토록 하겠습니다.
13시 30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경제에너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잠시 정회토록 하겠습니다.
중식을 위해서 잠시 정회토록 하겠습니다.
13시 30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2시 12분 정회)
(13시 30분 속개)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안녕하십니까?
세무회계과장 이성섭입니다.
평소 존경하는 김택철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의원님들을 모시고 2019년도 본예산 세출예산 사업명세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하면서 세부내용을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 세무회계과 소관 내년도 총예산은 37억 45만 7천 원으로 금년도 대비 6억 6,422만 2천 원이 증액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재원관리 분야의 세정관리 분야에서 세정관리 운영에 총 1,720만 4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세부내용은 일반운영비가 1,305만 1천 원, 국내여비가 68만 원, 일반보상금이 100만 원, 출연금이 247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세입기반 구축 분야에 총 1,766만 1천 원이 계상하였는데 이중 일반운영비가 1,766만 1천 원으로써 공공운영비가 1,766만 1천 원입니다.
세부내용은 영수필통지서 이미지 관리시스템 유지보수에 660만 원, 가상계좌 수납시스템 및 고유식별암호화 유지보수에 578만 1천 원, 고속프린터 및 봉합기 유지보수에 52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주택가격조사 운영 분야에 총 1억 220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일반운영비가 9,620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9,356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용은 유인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비에 300만 원 계상하였고요.
자산취득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지방세 부과관리 분야에 총 8,997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에 5,363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용으로는 사무관리비에 OCR고지서 제작비에 910만 원을 계상하였고요.
다음 페이지 353쪽입니다.
공공운영비에 4,453만 5천 원을 계상하였는데 세부내역으로는 납세고지서 발송용 일반 우편요금에 4,417만 5천 원, 모바일 기기 통신비에 3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여비에 74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방세 프로그램 운영에 총 3,559만 4천 원을 계상하였는데 이중 308 자치단체 이전에 3,521만 4천 원을 계상하였고요.
세부내역으로는 공기관 등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로 3,521만 4천 원으로써 표준지방정보시스템에 1,686만 6천 원, 통합지방정보시스템에 1,724만 5천 원, 과세통합시스템 유지관리비로 총 110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자치단체 자본이전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자본적 위탁사업비로 제증명 발급시스템으로 3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지방세 징수관리 분야에 총 3,637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이중 일반운영비가 2,011만 2천 원, 세부내역으로는 사무관리비로 1,311만 2천 원, 공공운영비로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여비에 125만 8천 원, 포상금으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외수입 체납관리로는 총 6,904만 7천 원을 계상하였는데 세부내역으로는 일반운영비로 2,38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1,212만 4천 원, 공공운영비로 1,17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비 부분에 90만 원, 포상금 부분에 300만 원, 자치단체 이전 등으로 공기관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로 2,04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차세대 지방세외수입 정보시스템 구축비로 2,083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재정운영 부분에 계약 및 회계 관리 부분에 총 1억 5,224만 9천 원을 계상했는데 일반운영비로 3,40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사무관리비로 1,720만 원, 공공운영비로 1,68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55쪽입니다.
물품관리 분야에 총 9,400만 원을 계상했는데요.
일반운영비로 900만 원을 계상했고요.
공공운영비로 650만 원, 아울러 자산취득비에 8,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회계운영 부분에 총 2,42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일반운영비에 2,14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사무관리비로 1,600만 원, 공공운영비로 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여비 부분에 13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으로 90만 원, 민간이전비로 결산검사위원 위탁교육비로 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복식부기 관리비로 1,65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일반운영비로 150만 원, 연구개발 용역비로 1,500만 원을 계상을 하였습니다.
다음 재산관리 분야에는 총 29억 16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도비가 600만 원, 군비가 28억 9,566만 원입니다.
세부내역으로는 공유재산 관리 분야에 총 11억 1,31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공유재산 관리 운영 부분에 총 1억 71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일반운영비로 7,514만 원 중에 사무관리비가 6,944만 원, 공공운영비가 570만 원, 다음은 여비 부분에 200만 원, 시설비 및 부대비 부분에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유재산 취득 부분에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대체재산조성 토지매입비로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유재산 관리보조 부분에 600만 원 계상했는데 세부내역으로는 일반운영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는 공유재산 감정 수수료가 되겠습니다.
다음 여비 부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청사관리 부분에 11억 2,9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사 유지관리 부분에 4억 2,952만 원을 계상을 하였는데 세부내역으로는 일반운영비로 3억 5,4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3,772만 원, 공공운영비로 3억 1,6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민간이전비로 7,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사시설 정비비로 총 7억 원을 계상하였는데 시설비 및 부대비로 총 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청사시설 보수유지공사에 1억 원, 직원 휴게실 리모델링 공사에 1억 원, 본 청사 2층 천정 단열보강공사에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58쪽입니다.
본 청사 2층 천정 석면철거공사에 5,000만 원 계상하였고요.
양양읍사무소 보수공사에 3억 원, 서면사무소부터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사무소 시설정비 유지보수공사비로 각각 2,000만 원씩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관용차량 관리비로 총 6억 5,90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관용차량 취득을 총 5억 4,0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강현면 청소차량 교체 1대, 강현면 관용차량 1대 교체에 3,000만 원, 손양면 청소차량 1대 교체에 1억 2,000만 원, 손양면 관용차량 교체에 3,000만 원, 서면 청소차량 교체에 1억 2,000만 원, 현남면 청소차량 교체에 1억 2,0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관용차량 유지관리비로 1억 1,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차량 감정평가 수수료에 400만 원, 공공운영비로 차량 유지관리비로 7,500만 원, 공공요금 및 제세에 4,000만 원 등 1억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행정운영경비로 세무회계과는 총 2억 9,758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인건비로 총 1억 9,92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수가 1억 6,313만 7천 원을 계상하였고요.
무기계약직근로자 보수에 3,615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마지막으로 359쪽입니다.
기본경비로 세무회계과 기본경비로 총 9,82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로 4,715만 6천 원, 여비로 4,610만 원, 업무추진비로 504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입니다.
평소 존경하는 김택철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의원님들을 모시고 2019년도 본예산 세출예산 사업명세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하면서 세부내용을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 세무회계과 소관 내년도 총예산은 37억 45만 7천 원으로 금년도 대비 6억 6,422만 2천 원이 증액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재원관리 분야의 세정관리 분야에서 세정관리 운영에 총 1,720만 4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세부내용은 일반운영비가 1,305만 1천 원, 국내여비가 68만 원, 일반보상금이 100만 원, 출연금이 247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세입기반 구축 분야에 총 1,766만 1천 원이 계상하였는데 이중 일반운영비가 1,766만 1천 원으로써 공공운영비가 1,766만 1천 원입니다.
세부내용은 영수필통지서 이미지 관리시스템 유지보수에 660만 원, 가상계좌 수납시스템 및 고유식별암호화 유지보수에 578만 1천 원, 고속프린터 및 봉합기 유지보수에 52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주택가격조사 운영 분야에 총 1억 220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일반운영비가 9,620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9,356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용은 유인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비에 300만 원 계상하였고요.
자산취득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지방세 부과관리 분야에 총 8,997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에 5,363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용으로는 사무관리비에 OCR고지서 제작비에 910만 원을 계상하였고요.
다음 페이지 353쪽입니다.
공공운영비에 4,453만 5천 원을 계상하였는데 세부내역으로는 납세고지서 발송용 일반 우편요금에 4,417만 5천 원, 모바일 기기 통신비에 3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여비에 74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방세 프로그램 운영에 총 3,559만 4천 원을 계상하였는데 이중 308 자치단체 이전에 3,521만 4천 원을 계상하였고요.
세부내역으로는 공기관 등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로 3,521만 4천 원으로써 표준지방정보시스템에 1,686만 6천 원, 통합지방정보시스템에 1,724만 5천 원, 과세통합시스템 유지관리비로 총 110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자치단체 자본이전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자본적 위탁사업비로 제증명 발급시스템으로 3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지방세 징수관리 분야에 총 3,637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이중 일반운영비가 2,011만 2천 원, 세부내역으로는 사무관리비로 1,311만 2천 원, 공공운영비로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여비에 125만 8천 원, 포상금으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외수입 체납관리로는 총 6,904만 7천 원을 계상하였는데 세부내역으로는 일반운영비로 2,38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1,212만 4천 원, 공공운영비로 1,17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여비 부분에 90만 원, 포상금 부분에 300만 원, 자치단체 이전 등으로 공기관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로 2,04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차세대 지방세외수입 정보시스템 구축비로 2,083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재정운영 부분에 계약 및 회계 관리 부분에 총 1억 5,224만 9천 원을 계상했는데 일반운영비로 3,40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사무관리비로 1,720만 원, 공공운영비로 1,68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55쪽입니다.
물품관리 분야에 총 9,400만 원을 계상했는데요.
일반운영비로 900만 원을 계상했고요.
공공운영비로 650만 원, 아울러 자산취득비에 8,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회계운영 부분에 총 2,42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일반운영비에 2,14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사무관리비로 1,600만 원, 공공운영비로 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여비 부분에 13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으로 90만 원, 민간이전비로 결산검사위원 위탁교육비로 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복식부기 관리비로 1,65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일반운영비로 150만 원, 연구개발 용역비로 1,500만 원을 계상을 하였습니다.
다음 재산관리 분야에는 총 29억 16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중 도비가 600만 원, 군비가 28억 9,566만 원입니다.
세부내역으로는 공유재산 관리 분야에 총 11억 1,31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공유재산 관리 운영 부분에 총 1억 71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일반운영비로 7,514만 원 중에 사무관리비가 6,944만 원, 공공운영비가 570만 원, 다음은 여비 부분에 200만 원, 시설비 및 부대비 부분에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유재산 취득 부분에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대체재산조성 토지매입비로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유재산 관리보조 부분에 600만 원 계상했는데 세부내역으로는 일반운영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는 공유재산 감정 수수료가 되겠습니다.
다음 여비 부분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청사관리 부분에 11억 2,9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사 유지관리 부분에 4억 2,952만 원을 계상을 하였는데 세부내역으로는 일반운영비로 3억 5,4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3,772만 원, 공공운영비로 3억 1,6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민간이전비로 7,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사시설 정비비로 총 7억 원을 계상하였는데 시설비 및 부대비로 총 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은 청사시설 보수유지공사에 1억 원, 직원 휴게실 리모델링 공사에 1억 원, 본 청사 2층 천정 단열보강공사에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58쪽입니다.
본 청사 2층 천정 석면철거공사에 5,000만 원 계상하였고요.
양양읍사무소 보수공사에 3억 원, 서면사무소부터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사무소 시설정비 유지보수공사비로 각각 2,000만 원씩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관용차량 관리비로 총 6억 5,90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관용차량 취득을 총 5억 4,0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강현면 청소차량 교체 1대, 강현면 관용차량 1대 교체에 3,000만 원, 손양면 청소차량 1대 교체에 1억 2,000만 원, 손양면 관용차량 교체에 3,000만 원, 서면 청소차량 교체에 1억 2,000만 원, 현남면 청소차량 교체에 1억 2,0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관용차량 유지관리비로 1억 1,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로 차량 감정평가 수수료에 400만 원, 공공운영비로 차량 유지관리비로 7,500만 원, 공공요금 및 제세에 4,000만 원 등 1억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행정운영경비로 세무회계과는 총 2억 9,758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인건비로 총 1억 9,92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수가 1억 6,313만 7천 원을 계상하였고요.
무기계약직근로자 보수에 3,615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마지막으로 359쪽입니다.
기본경비로 세무회계과 기본경비로 총 9,82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로 4,715만 6천 원, 여비로 4,610만 원, 업무추진비로 504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하단부에 말씀하시는 겁니까?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제일 밑에 세외수입 체납관리 4,821만 4천 원 이게 예산액이잖아요, 그렇죠?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이거는 지금 세외수입 체납관리에 4,821만 4천 원이라는 건 전년도하고 올해하고 같은 거는 그거는 예산이 내년도 예산이 금년도 예산하고 변동이 없는 거고요.
그거 증액된 2,083만 3천 원은 그다음 페이지에 보면 중간 부분에 보면 차세대 지방세외수입 정보시스템 구축 있지 않습니까?
그거 증액된 2,083만 3천 원은 그다음 페이지에 보면 중간 부분에 보면 차세대 지방세외수입 정보시스템 구축 있지 않습니까?
○김의성 위원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 부분이 증액된 부분입니다.
○김의성 위원 그게 지금 어디까지 계산을 해보셔야 되냐 하면 여비하고 포상금 있죠, 포상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거 308 자치단체 등 이전 거기까지 계산......
○김의성 위원 자치단체 거기까지 계산을 해보면 예산액이 4,821만 4천 원이잖아요, 그렇죠?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김의성 위원 전년도 예산액은 4,800이 아니라 4,293만 4천 원이 나와요.
그래서 제가 얘기를 하는 거예요, 지금.
그래서 지금 이게 한 580만 원 정도 차이가 나는 520만 원 정도 차이가 나는 게 왜 차이가 나나 하고요.
그래서 제가 얘기를 하는 거예요, 지금.
그래서 지금 이게 한 580만 원 정도 차이가 나는 520만 원 정도 차이가 나는 게 왜 차이가 나나 하고요.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 부분은 이게 아마 예산작업 중에 어떻게 조금, 제가 다시 한번 확인해봐야 될 것 같은데요.
계산기 두드려보고 확인해봐야 될 것 같은데요.
그건 오류가 있었으면 다시 수정해야 될 부분인데.
계산기 두드려보고 확인해봐야 될 것 같은데요.
그건 오류가 있었으면 다시 수정해야 될 부분인데.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그게 지금 여기에는 전년도 예산하고 지금 같이 맞춰가지고 나와있는데 그거 한번 계산을 해보시면.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그렇게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김의성 위원 물품관리도 전년도 예산하고 올해 예산이 9,400이에요, 그렇죠?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렇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런데 전년도 예산을 이렇게 따져보면 8,750밖에 안돼요?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김의성 위원 이것도 지금 뭔가 잘못됐죠?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런 것 같네요.
○김의성 위원 그러면 이 안에 보면 그런 것들이 많이 있다라고 볼 수도 있는데 이건 어떤 부분인지?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런 부분은 이렇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금 이게 프로그램상 총액은 맞는데 전체총액은 맞는데 지금 사업 각 항목별로 보면 전자태그 라벨 구입이라든가 뭐 RFID 단말기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이런 쭉 항목이 나와있지 않습니까, 세부 항목이?
지금 이게 프로그램상 총액은 맞는데 전체총액은 맞는데 지금 사업 각 항목별로 보면 전자태그 라벨 구입이라든가 뭐 RFID 단말기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이런 쭉 항목이 나와있지 않습니까, 세부 항목이?
○김의성 위원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게 단위가 일정액 금액 이상으로는 여기에 금액을 불러오는데 프로그램에서 불러오는데 금액이 잡은 부분에는 여기에서 아예 생략이 다 된답니다, 지금 이게.
일정금액 이하 부분은 여기에서 전년도 예산에서 더하기 플러스가 안 된답니다.
그런데 총액에 들어가서는 다 맞아 들어간답니다.
일정금액 이하 부분은 여기에서 전년도 예산에서 더하기 플러스가 안 된답니다.
그런데 총액에 들어가서는 다 맞아 들어간답니다.
○김의성 위원 그래서 보면 거기에 보면 비교증감 보면 650만 원이 증액이 됐잖아요?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그러니까 제가 설명드린 부분이 그런 부분인데 여기 내역상으로는 지금 안 맞는 부분인데 뭐 서류상으로는 안 나타나는데 전자프로그램상에는 우리 예산시스템 부기상에는 다 내용이 총액은 다 맞아 들어간답니다, 이게.
그러니까 금액이 큰 부분에 일정금액 이하 부분은 여기에서는 못 불러오고 적은 금액은 전자프로그램에서 더하기, 빼기가 안 되고 총액에서만 더하기가 된답니다.
그러니까 금액이 큰 부분에 일정금액 이하 부분은 여기에서는 못 불러오고 적은 금액은 전자프로그램에서 더하기, 빼기가 안 되고 총액에서만 더하기가 된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리고 여기
올해에는 새로운 항목에 들어가 있는데 전년도에는 예산이 없는 부분이 있지 않습니까?
올해에는 새로운 항목에 들어가 있는데 전년도에는 예산이 없는 부분이 있지 않습니까?
○김의성 위원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런 부분 같은 경우는 계산 더하기, 빼기가 안 된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총액에는 맞아 들어간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렇죠.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쓴 내역이 없으니까 총액만 맞으면 뭐하냐고요, 내역이 다시 말해서 영수증이 없다는 얘기인데.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거는 내년도 우리가 2019년도에 금년도 예산 결산하지 않습니까?
○김의성 위원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때 다 나타나죠.
○김의성 위원 하여튼 눈여겨보겠습니다, 이 부분은.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김의성 위원 그다음에 356페이지에 공유재산 취득에서 지금 4억이 더 증액됐잖아요, 그렇죠?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김의성 위원 이 부분은 지금 토지매입을 4억을 더 증액을 해서 앞으로 하겠다라는 얘기나요?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지금 저희가 계획하고 있는 부분이 군 청사 지금 저쪽에 신축하는 이거 있지 않습니까, 별관 2청사?
○김의성 위원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그쪽 거기 성내리 도로로 올라가는 부분 거기가 지금 인도가 없어요, 그쪽에요.
그리고 거기 옆에 있는 건물 농협 뒤에 있는 건물 한 동하고 그다음에 농협관사 그다음에 거기 위에 올라가다 보면 길이 좀 군청 후문 쪽으로 나가는 길 보면 갈라지는 길 있지 않습니까?
그리고 거기 옆에 있는 건물 농협 뒤에 있는 건물 한 동하고 그다음에 농협관사 그다음에 거기 위에 올라가다 보면 길이 좀 군청 후문 쪽으로 나가는 길 보면 갈라지는 길 있지 않습니까?
○김의성 위원 예.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거기 옆에 중간에 자투리땅이 하나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밭이 하나 있죠?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예, 밭 있는 거 그거와 같이 매입해가지고 그다음에 우리 군청 주차장 좀 넓히고 그다음에 올라가는 길 인도 없는 부분들 인도를 설치해주고 그런 걸 계획 하에 예산을 좀 10억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하여튼 구두적으로는 동의를 했는데 나중에 최종적으로 결심은 감정을 해봐야지만 토지감정을 해봐야지만 최종적으로 팔지 말지 그렇게 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게.
가격이 맞아야지 일단 뭐 그 사람들도 파는 것이고요.
그게 가격이 자기네 희망사항에 못 미치면 또 거부할 수 있으니까 일단 구두적으로는 일단 동의는 받아놨는데.
가격이 맞아야지 일단 뭐 그 사람들도 파는 것이고요.
그게 가격이 자기네 희망사항에 못 미치면 또 거부할 수 있으니까 일단 구두적으로는 일단 동의는 받아놨는데.
○위원장 김택철 김의성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다른 위원님들?
없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면 제가 354쪽에 체납액 징수활동 여비에 90만 원 체납액이 얼마나 있습니까?
또 다른 위원님들?
없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면 제가 354쪽에 체납액 징수활동 여비에 90만 원 체납액이 얼마나 있습니까?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총 11억 정도 있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더 세워주면 저희들이야 좋겠습니다만 그거 뭐 전체적인 예산 규모 감안해가지고 각 부서별로 그거 더 이런 저런 요구사항 다 들어주다 보면 예산부서에도 어려운 사정이 있겠죠.
○위원장 김택철 그렇게 뭐 담당과장님이 말씀해주시면 또 우리 예산부서에서는 좀 넉넉하게 생각이 되겠네요.
잘 알겠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세무회계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세무회계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잘 알겠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세무회계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세무회계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세무회계과장 이성섭 감사합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입니다.
2019년도 일반회계 문화관광체육과 소관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63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는 총예산 174억 3,257만 4천 원으로 금년도에 비해서 48억 9,200만 원이 증액이 되었습니다.
사항별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광안내소 운영에 5,115만 원이 되겠습니다.
세부내역으로 일반운영비가 3,115만 원입니다.
관광안내소 비품 구입비 550만 원, 장비 임차료가 450만 원, 느린 우체통 엽서 제작이 415만 원입니다.
공공운영비로써 전기요금 및 유류비가 1,200만 원, 시설 보수 및 유지관리비가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관광안내소 청소 용역이 2,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관광해설사 운영입니다.
해설사 활동비가 3,874만 원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산소길 강원3000리 조성 일반운영비가 530만 원입니다.
다음에 36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산소길 관련 업무 시책업무추진비가 300만 원, 산소길 걷기행사 지원이 24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매년 10월 달에 저희가 개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문화관광해설사 운영과 관련해서 문화관광해설사 쉼터 소모품 구입비 100만 원, 일반보상금으로 문화관광해설사 교육 및 워크숍 참가 실비가 280만 원, 해설사 선진지 견학 실비가 210만 원, 해설사 상해보험 가입비가 5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관광박람회 운영과 관련해서 박람회 참가 및 축제 견학이 350만 원 여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자치단체 간 부담금으로 홍보부스 설치가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관광안내 표지판 설치 및 유지관리와 관련해서 일반운영비로써 관광 안내 표지판 공공요금이 360만 원, 송이조형물 공공요금이 300만 원, 관광홍보 안내간판 유지보수가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65페이지입니다.
관광홍보물 제작 및 관리와 관련해서 일반운영비로 관광홍보물 제작이 10만 원 아니 1억입니다.
죄송합니다.
1억, 통합 온라인 마케팅비가 4,000만 원, 관광홍보 기념품 제작이 2,000만 원, 관광홍보물 발송료가 24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체험 관광상품 지원과 관련해서 낙산사 템플스테이 운영이 600만 원입니다.
작년에 비해서 600만 원이 절감이 되었는데 작년 같은 경우에는 아니 금년입니다.
금년에 동계올림픽과 관련해서 외국인 체험이 증가하다 보니까 늘어났는데 그러니까 내년에는 하지 않기 때문에 6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관광안내체계 구축 지원과 관련해서 다국어 관광안내 지도 제작이 1,000만 원, 관광안내 표지판 설치에 2,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관광지 시설 유지관리비로써 국유지 임차료가 400만 원, 이거는 지경관광지 안에 있는 철도부지 임대료가 되겠습니다.
공공요금으로써 관광지의 공공요금이 2,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66페이지에 관광지 업무추진 여비로 150만 원, 민간위탁금으로 지경캠핑장 오수처리비가 1,500만 원입니다.
관광지 시설물 보수와 관련해서 지경리와 오색 관광지에 대해서 2,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야영장 활성화와 관련해서 등록야영장 안전관리에 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지경관광지 개발과 관련해서 광업권 보상에 9억 1,200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지경관광지에 광업권이 설정이 돼있는 부분에 대해서 보상하는 금액이 되겠는데 저희가 지금 이거를 실사용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광업이 이미 채굴된 거는 저희가 제외하기로 했기 때문에 실제로 보상금은 이거보다 많이 줄어들 걸로 지금 예상하고 있습니다.
둔전계곡 탐방로 개설과 관련해서 탐방로 조성사업에 4억 9,640만 원, 부대비로써 36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해양관광 편의시설 개선사업으로써 해양관광 기반조성에 2억 8,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남애1리 해안 쪽에 있는 길을 조성하는 것인데 지금 현재 백사장이 점점 넓어지고 있고 남애에 다른 마을에 비해서 남애1리가 관광기반이 좀 부족하기 때문에 그거를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지역축제 활성화 지원과 관련해서 송이축제 운영입니다.
총 송이축제 운영비로써 5억 3,907만 원입니다.
내역으로는 기간제근로자 보수에 707만 원, 행사운영비에 3억 9,000만 원, 행사실비보상금에 4,200만 원, 행사관련 시설비에 1억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연어축제 운영은 총 5억 9,300만 원으로 금년도에 비해서 1억 8,300만 원이 증액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꽃밭, 포토존, 체험장 등을 추가로 구성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사업비 내역으로는 기간제근로자 보수에 1,000만 원, 행사운영비에 4억 원, 행사실비보상금에 3,300만 원, 행사관련 시설비에 1억 5,000입니다.
다음은 해맞이축제 운영은 총 7,000만 원입니다.
그 밑에 마을단위 축제 지원은 3,000만 원입니다.
금년도에 총 12개 마을을 지원했는데 보통 2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사업계획이나 실적에 따라서 차등 이렇게 지원했습니다.
관광 마케팅 추진과 관련해서 관광홈페이지 운영에 930만 원, 관광 마케팅 추진여비에 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368페이지입니다.
상단에 통합 관광홈페이지 구축에 1억 5,000이 계상되었습니다.
금년도에 저희가 양양군 홈페이지를 전체 개편을 했는데 관광홈페이지는 지금 거기에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지금 이게 굉장히 노후 돼있고 불편한 어떤 부분이 있고 최근에 이용하는 버전과 또 맞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거를 내년도에 축제라든가 관광을 통합으로 개편을 하고 관리는 우리 정보통신에서 총괄 운영하는 걸로 이렇게 업무를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외빈초청 팸투어 설명회에 1,000만 원, 행사실비보상금으로써 행사참여 민간인 실비보상에 400만 원, 자료수집 민간인 실비보상에 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보상금으로써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운영에 3,000만 원입니다.
자치단체 간 부담금으로써 설악권 관광상품 공동개발에 1,000만 원, 동해안 6개 시군 통합관광콘텐츠 개발에 2,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설악권 관광상품 공동개발은 금년도 같은 경우에 스탬프투어와 기념품, 앱, 버스광고 등을 설악권 4개 시군이 연계해서 추진한 것이고 하단에 있는 동해안 6개 시군 콘텐츠 개발은 KTX매거진 기사라든가 파우치 홍보물 등 광고를 동해안 6개 시군이 공동으로 추진한 그런 사항이 되겠습니다.
밑에 기념일 광고탑 설치에 1,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양양군 축제위원회와 관련해서 전체 1,364만 6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일반운영비에 977만 6천 원, 일반보상금에 387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해양관광 진흥과 관련해서 해변 경계시설물 정비 일반운영비로 369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 군 CCTV 전용회선 사용료로 120만 원입니다.
시설비로 해변 투광등 및 감시장비 보수정비에 3,500만 원입니다.
해양관광 활성화와 관련해서 관동팔경 녹색경관길 국유재산 대부료가 70만 원, 녹색경관길 공공요금이 180만 원입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로 시설 보수 및 유지관리비에 1,5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여기에 지금 아까 말씀드린 산소길, 낭만가도, 해파랑길, 녹색경관길 이렇게 길이 나오는데요.
동해안 전체 길은 해파랑길이라고 아시면 되겠고 부수적인 명칭이 있는 것은 각 사업마다 이거 추진했던 명칭이 달라가지고 표기가 이렇게 복잡하게 돼있는데 동해안길하고 산소길은 우리 잔교리에서 서림 가는 구간을 보통 통칭해서 산소길로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문화예술 진흥과 관련해서 양양문화제 운영에 4억 7,8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내역으로 행사운영비 문화행사 지원 운영으로 300만 원,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4억 7,5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7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대보름행사 지원과 관련해서 1,430만 원입니다.
6개 읍면 고루 집행하는 그런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에 군민문화상 운영과 관련해서 심사위원회 참석수당에 140만 원, 군민문화상 상패 제작에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시군 1문화예술행사 육성과 관련해서 1시군 1대표 문화예술 육성에 4,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과 관련해서 양양의 설화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에 2,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2016년부터 매년 2편씩 설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는데 금년도에는 죽도 절구바위 설화와 탁장사 설화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을 했습니다.
다음은 371페이지입니다.
강원민속예술축제 참가 지원에 5,000만 원, 하단에 금년도에 저희가 강원도 민속예술축제를 개최합니다.
그래서 도비 포함해서 1억 6,000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동계올림픽 관련해서 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해서 동계올림픽 1주년기념 비개최시군 문화행사 추진에 4,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비개최시군은 전체 15개의 시군인데 도비를 받아서 행사하는 시군은 전체 6개의 시군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향토문제 육성과 관련해서 읍면 농악대에 각각 500만 원씩 3,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지방문화원 사업 활동지원과 관련해서 총 3억 4,985만 4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민간경상사업 보조로 1억 2,610만 원, 다음 372페이지입니다.
상단에 민간단체법정운영비 보조로 1억 4,675만 4천 원이 되겠습니다.
373페이지 상단에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7,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여기에는 전국한시현장 백일장 지원, 동구리 전통민요 경창대회를 우리 군에서 개최하는 것 관련해서 지원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전통문화 전승보존사업 지원과 관련해서 민간경상사업 보조로 양양향교 전통문화 전승사업 지원에 1,400만 원, 동명서원 전통문화 전승사업 지원에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학교 운영과 관련해서 문화학교 사랑방 사업 지원에 1,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374페이지 상단에 향교서원문화재활용 사업에 18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국도비를 같이 지원받는 사업인데 문화재를 활용하는 사업과 관련해서 지원하는 것인데 저희는 내년도에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해서 예절교육 등을 추진하려고 이렇게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과 관련해서 100주년 운동사 발간에 2,000만 원, 시설비로 3.1운동 100주년 기념 조형물 설치에 2억 원, 독립운동가 묘역 진입로 개설 및 정비에 2억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독립운동가는 가평에 함흥기 열사가 되겠습니다.
그동안에 주민들 건의가 계속 있었고 100주년을 맞이해서 저희가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각종 문화예술행사 지원에 1억 5,811만 2천 원입니다.
일반운영비로 3,564만 원, 일반보상금으로 530만 원, 민간이전사업으로 1억 1,717만 2천 원입니다.
민간이전사업으로써 양양예총 각종 문화예술사업 지원에 5,230만 원, 민간단체법정운영 보조로써 양양예총 운영비 지원에 5,607만 2천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75페이지 찾아가는 문화활동 관련해서 1,440만 원입니다.
금년도에도 저희가 했었는데 내년도에는 흥미를 유발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어떤 그런 부분을 저희가 공연을 찾아서 맞춤형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이렇게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공공도서관 지원에 1,500만 원입니다.
양양교육도서관 도서를 구입해서 지원하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작은 도서관 지원과 관련해서 625만 원입니다.
작은 도서관은 양양에 총 5개소가 있는데 양양거말은 거마리에 있는 부분이고 의상대 작은 도서관은 낙산사에 있는 것이고요.
이외에도 해누리, 복골, 양양감리교회 등은 교회에 있는 설치된 작은 도서관이 되겠습니다.
다음 376페이지 국악수련원 운영입니다.
총 1,9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소외계층 문화역량 강화사업으로써 통합 문화이용권 사업에 1억 1,680만 원입니다.
이거는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대해서 연간 7만 원씩 지원하는 그런 사업이 되겠습니다.
문화재 보존관리와 관련해서 문화재 보수정비에 8,010만 원입니다.
일반운영비로써 문화재 관련 인허가 자문·회의수당에 120만 원, 문화재·문화시설 안전진단에 500만 원, 문화재 및 시설 유지관리에 240만 원입니다.
다음 문화재 인허가 업무추진과 관련 한 여비에 150만 원, 시설비로써 지정 문화재·향토문화유산 수시긴급보수에 7,000만 원입니다.
377페이지에 전통사찰 보수와 관련해서 민간자본보조로써 영혈사 극락보전 보수에 2억 원, 낙산사 보타전 단청 보수에 1억 2,000만 원입니다.
전통사찰 방재시스템 유지보수와 관련해서 전통사찰 진전사 방재시스템 유지보수에 504만 원, 국가지정 문화재 보수정비와 관련해서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낙석위험지역 및 배수로 정비 망월사 사면이 되겠습니다.
관련해서 8억 2,517만 6천 원이 되겠습니다.
378페이지입니다.
양양 진전사 삼층석탑 주변 발굴조사에 3억 6,733만 6천 원, 진전사지 삼층석탑 해체보수 설계 용역에 5,000만 원, 선림원지 삼층석탑 주변 발굴조사에 2억 9,784만 원, 낙산사 일원 수목 병해충 방지에 8,000만 원입니다.
기타 부대비로써 482만 4천 원입니다.
다음은 도 지정 문화재 보수정비와 관련해서 7억 1,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내역으로 영혈사 요사채 보수에 4억 5,000만 원, 양양 김택준 가옥, 이두형 가옥, 김성래 가옥, 조규승 가옥 실측조사와 관련해서 각각 6,500만 원씩 계상이 되었습니다.
실측조사는 문화재가 화재라든가 기타 재난에 소실되었을 때 원형대로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현 상황을 그대로 이렇게 실측해서 관리하는 그런 조사가 되겠습니다.
다음 379페이지 문화유적 관리운영과 관련해서 3억 2,980만 8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낙산사 문화재 안전경비원 배치에 1억 2,310만 8천 원, 낙산사 마찬가지로 재난방지시설 유지관리에 4,67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380페이지입니다.
시설비로써 낙산사 일원 전기시설 개선에 1억 6,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무형문화재 관리에 있어서 도 무형문화재 전승금 지원에 4,560만 원입니다.
이거는 저희가 상복골 농요하고 수동골 농요가 되겠는데 단체에 각각 월 90만 원, 보유자는 월 100만 원씩 이렇게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민간이전 경상사업 보조가 있습니다.
도 무형문화재 공개행사에 1,100만 원인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2개의 문화재에 각각 550만 원씩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 380페이지입니다.
양양체육 경쟁력 강화와 관련해서 체육 활성화 지원 일반운영비에 2,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강원FC 홈구장이 있는데 춘천에 있는 겁니다.
LED보드, 보드를 양양군을 제작해서 설치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민간경상사업 보조로써 381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육상종목 지원에 2,500만 원, 엘리트체육 꿈나무 육성에 7,100만 원, 그 밑에 양양군 체육회 인건비 지원에 3억 4,399만 9천 원입니다.
장애인체육 활성화와 관련해서 장애인 수시 체육대회 참가에 1,500만 원,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참가에 1,000만 원, 지체장애인 체육대회 참가에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둔치 체육시설 관리와 관련해서 4억 98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내용으로는 둔치 제방도로 제초작업 인부임에 380만 원, 둔치 제초작업 예초기 및 유류 구입, 공공요금에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로써 3억 5,600만 원입니다.
체육시설 화장실 유지보수에 300만 원, 체육시설 화장실 유지보수 강현면에 300만 원, 파크골프장 조성공사에 3억 원, 둔치 야구장·축구장 정비공사에 5,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자산취득비로써 둔치-송이공원 승용제초기 구입에 4,500만 원입니다.
다음 382페이지입니다.
어르신 체육활동 지원과 관련해서 어르신 체육활동 지도자 배치에 1억 3,644만 원입니다.
다음은 생활체육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해서 생활체육교실 운영에 2,400만 원입니다.
생활체육교실은 에어로빅, 요가, 탁구 등 그 종목에 대해서 10명 내외 모집해서 운영하는 그런 시스템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생활체육회 운영과 관련해서 양양군 체육회 평가보고회에 400만 원, 생활체육회 운영지원과 관련해서 체육지도자 처우개선 지원비로 6,164만 4천 원입니다.
다음은 생활체육지도자 활동 지원과 관련해서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1억 3,644만 원, 383페이지입니다.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2,728만 8천 원, 수시 체육대회 지원과 관련해서 체육대회 지원 운영비로 300만 원, 전국단위 사이클대회 지원 운영비로 1,500만 원입니다.
그 밑에 각종 체육대회 지원 여비로써 400만 원입니다.
다음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 보조로써 강원도민생활체육대회 참가에 6,500만 원, 강원도 어르신체육대회 출전에 1,200만 원, 도지사기 대회 및 엘리트체육대회 참가 지원에 4,770만 원, 종목별 연합회장기 대회 지원에 250만 원, 각종 생활체육대회 지원에 7,400만 원입니다.
민간행사사업 보조로써 의회 의장기 축구대회 지원에 800만 원, 군수배 게이트볼 대회 지원에 360만 원, 강원도지사기 생활체육 테니스대회 개최에 2,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도민체육대회 지원과 관련해서 도민체육대회 출전 지원 여비로써 200만 원입니다.
하단에 행사실비보상금으로 2,7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84페이지입니다.
민간경상 보조로써 강원도민체육대회 지원에 2억 2,000만 원입니다.
군민체육대회 개최 지원과 관련해서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3,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에 1,848만 원입니다.
이거는 수급자 자녀에 대해서 매월 8만 원씩 스포츠이용권 강좌를 지원하는 그런 시스템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리틀 K리그 동계전지훈련 지원과 관련해서 리틀 K리그 유소년 축구대회에 5,000만 원입니다.
이거는 매년 1월 달에 전지훈련과 관련해서 유소년 축구대회가 개최되는데 약 400에서 500명 정도가 참가하는 그런 대회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양양군 체육회장기 초중 육상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000만 원, 3.1절 기념 양양군민 건강달리기 개최와 관련해서 1,500만 원, 현충일 기념 양양군민 한마음달리기 개최와 관련해서 1,5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85페이지입니다.
양양군수기 궁도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000만 원, 양양군민 골프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000만 원, 송이배 배드민턴 개최와 관련해서 3,000만 원입니다.
KBS배 전국 사이클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억 500만 원입니다.
8.15경축 전국 사이클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4,000만 원입니다.
전국 산악자전거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생활체육 전국 산악자전거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2,500만 원, 양양 BMX 국제대회와 관련해서 3,000만 원, 양양 힐클라임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4,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전국 자전거 동호인 트랙 랭킹전과 관련해서 2,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86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제14회 강원도 어르신 생활체육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9,9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체육시설 확충과 관련해서 일반운영비로 공공체육시설 설치 운영비에 600만 원, 토지감정 수수료에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체육시설 확충 관련기관 협의 여비로써 90만 원입니다.
다음은 체육시설 관련 시설비로써 공공체육시설 부지매입비에 20억 원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먼저 보고드린대로 야구장 조성부지를 매입하는 그런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제55회 도민체전경기장 개보수에 20억입니다.
양양탁구장 조성공사에 18억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실업팀 운영 사이클 선수 육성 지원과 관련해서 전국단위 사이클대회 출전 관리 여비 100만 원, 일반보상금으로써 사이클 선수 학자금 지원에 2,400만 원, 사이클 선수 인건비에 총 6억 9,744만 원입니다.
세부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기타 보상금으로써 대회 우승 포상금에 1,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사이클 타이어 및 부품 구입에 3,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87페이지 하단에 있는 행정운영경비와 관련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마지막 389페이지에 문화예술체육진흥기금 전출금 1억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2001년부터 문화예술체육진흥기금을 저희가 조성하고 있는데 매년 1억 원씩 출연을 해서 이자 포함해가지고 내년도에 1억 원이 적립이 되면 총 20억 원이 적립이 완료되는 사업입니다.
그래서 내년도에 적립에 완료되면 매년 1.6%의 이자수익을 가지고 문화예술과 체육에 각각 50%씩 1,600만 원씩 지원을 하는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문화관광체육과 소관에 대한 2019년도 예산 사항별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019년도 일반회계 문화관광체육과 소관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63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는 총예산 174억 3,257만 4천 원으로 금년도에 비해서 48억 9,200만 원이 증액이 되었습니다.
사항별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광안내소 운영에 5,115만 원이 되겠습니다.
세부내역으로 일반운영비가 3,115만 원입니다.
관광안내소 비품 구입비 550만 원, 장비 임차료가 450만 원, 느린 우체통 엽서 제작이 415만 원입니다.
공공운영비로써 전기요금 및 유류비가 1,200만 원, 시설 보수 및 유지관리비가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관광안내소 청소 용역이 2,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관광해설사 운영입니다.
해설사 활동비가 3,874만 원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산소길 강원3000리 조성 일반운영비가 530만 원입니다.
다음에 36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산소길 관련 업무 시책업무추진비가 300만 원, 산소길 걷기행사 지원이 24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매년 10월 달에 저희가 개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문화관광해설사 운영과 관련해서 문화관광해설사 쉼터 소모품 구입비 100만 원, 일반보상금으로 문화관광해설사 교육 및 워크숍 참가 실비가 280만 원, 해설사 선진지 견학 실비가 210만 원, 해설사 상해보험 가입비가 5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관광박람회 운영과 관련해서 박람회 참가 및 축제 견학이 350만 원 여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자치단체 간 부담금으로 홍보부스 설치가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관광안내 표지판 설치 및 유지관리와 관련해서 일반운영비로써 관광 안내 표지판 공공요금이 360만 원, 송이조형물 공공요금이 300만 원, 관광홍보 안내간판 유지보수가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65페이지입니다.
관광홍보물 제작 및 관리와 관련해서 일반운영비로 관광홍보물 제작이 10만 원 아니 1억입니다.
죄송합니다.
1억, 통합 온라인 마케팅비가 4,000만 원, 관광홍보 기념품 제작이 2,000만 원, 관광홍보물 발송료가 24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체험 관광상품 지원과 관련해서 낙산사 템플스테이 운영이 600만 원입니다.
작년에 비해서 600만 원이 절감이 되었는데 작년 같은 경우에는 아니 금년입니다.
금년에 동계올림픽과 관련해서 외국인 체험이 증가하다 보니까 늘어났는데 그러니까 내년에는 하지 않기 때문에 6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관광안내체계 구축 지원과 관련해서 다국어 관광안내 지도 제작이 1,000만 원, 관광안내 표지판 설치에 2,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관광지 시설 유지관리비로써 국유지 임차료가 400만 원, 이거는 지경관광지 안에 있는 철도부지 임대료가 되겠습니다.
공공요금으로써 관광지의 공공요금이 2,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66페이지에 관광지 업무추진 여비로 150만 원, 민간위탁금으로 지경캠핑장 오수처리비가 1,500만 원입니다.
관광지 시설물 보수와 관련해서 지경리와 오색 관광지에 대해서 2,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야영장 활성화와 관련해서 등록야영장 안전관리에 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지경관광지 개발과 관련해서 광업권 보상에 9억 1,200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지경관광지에 광업권이 설정이 돼있는 부분에 대해서 보상하는 금액이 되겠는데 저희가 지금 이거를 실사용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광업이 이미 채굴된 거는 저희가 제외하기로 했기 때문에 실제로 보상금은 이거보다 많이 줄어들 걸로 지금 예상하고 있습니다.
둔전계곡 탐방로 개설과 관련해서 탐방로 조성사업에 4억 9,640만 원, 부대비로써 36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해양관광 편의시설 개선사업으로써 해양관광 기반조성에 2억 8,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남애1리 해안 쪽에 있는 길을 조성하는 것인데 지금 현재 백사장이 점점 넓어지고 있고 남애에 다른 마을에 비해서 남애1리가 관광기반이 좀 부족하기 때문에 그거를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지역축제 활성화 지원과 관련해서 송이축제 운영입니다.
총 송이축제 운영비로써 5억 3,907만 원입니다.
내역으로는 기간제근로자 보수에 707만 원, 행사운영비에 3억 9,000만 원, 행사실비보상금에 4,200만 원, 행사관련 시설비에 1억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연어축제 운영은 총 5억 9,300만 원으로 금년도에 비해서 1억 8,300만 원이 증액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꽃밭, 포토존, 체험장 등을 추가로 구성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사업비 내역으로는 기간제근로자 보수에 1,000만 원, 행사운영비에 4억 원, 행사실비보상금에 3,300만 원, 행사관련 시설비에 1억 5,000입니다.
다음은 해맞이축제 운영은 총 7,000만 원입니다.
그 밑에 마을단위 축제 지원은 3,000만 원입니다.
금년도에 총 12개 마을을 지원했는데 보통 2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사업계획이나 실적에 따라서 차등 이렇게 지원했습니다.
관광 마케팅 추진과 관련해서 관광홈페이지 운영에 930만 원, 관광 마케팅 추진여비에 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368페이지입니다.
상단에 통합 관광홈페이지 구축에 1억 5,000이 계상되었습니다.
금년도에 저희가 양양군 홈페이지를 전체 개편을 했는데 관광홈페이지는 지금 거기에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지금 이게 굉장히 노후 돼있고 불편한 어떤 부분이 있고 최근에 이용하는 버전과 또 맞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거를 내년도에 축제라든가 관광을 통합으로 개편을 하고 관리는 우리 정보통신에서 총괄 운영하는 걸로 이렇게 업무를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외빈초청 팸투어 설명회에 1,000만 원, 행사실비보상금으로써 행사참여 민간인 실비보상에 400만 원, 자료수집 민간인 실비보상에 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보상금으로써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운영에 3,000만 원입니다.
자치단체 간 부담금으로써 설악권 관광상품 공동개발에 1,000만 원, 동해안 6개 시군 통합관광콘텐츠 개발에 2,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설악권 관광상품 공동개발은 금년도 같은 경우에 스탬프투어와 기념품, 앱, 버스광고 등을 설악권 4개 시군이 연계해서 추진한 것이고 하단에 있는 동해안 6개 시군 콘텐츠 개발은 KTX매거진 기사라든가 파우치 홍보물 등 광고를 동해안 6개 시군이 공동으로 추진한 그런 사항이 되겠습니다.
밑에 기념일 광고탑 설치에 1,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양양군 축제위원회와 관련해서 전체 1,364만 6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일반운영비에 977만 6천 원, 일반보상금에 387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해양관광 진흥과 관련해서 해변 경계시설물 정비 일반운영비로 369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 군 CCTV 전용회선 사용료로 120만 원입니다.
시설비로 해변 투광등 및 감시장비 보수정비에 3,500만 원입니다.
해양관광 활성화와 관련해서 관동팔경 녹색경관길 국유재산 대부료가 70만 원, 녹색경관길 공공요금이 180만 원입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로 시설 보수 및 유지관리비에 1,5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여기에 지금 아까 말씀드린 산소길, 낭만가도, 해파랑길, 녹색경관길 이렇게 길이 나오는데요.
동해안 전체 길은 해파랑길이라고 아시면 되겠고 부수적인 명칭이 있는 것은 각 사업마다 이거 추진했던 명칭이 달라가지고 표기가 이렇게 복잡하게 돼있는데 동해안길하고 산소길은 우리 잔교리에서 서림 가는 구간을 보통 통칭해서 산소길로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문화예술 진흥과 관련해서 양양문화제 운영에 4억 7,8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내역으로 행사운영비 문화행사 지원 운영으로 300만 원,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4억 7,5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7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대보름행사 지원과 관련해서 1,430만 원입니다.
6개 읍면 고루 집행하는 그런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에 군민문화상 운영과 관련해서 심사위원회 참석수당에 140만 원, 군민문화상 상패 제작에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시군 1문화예술행사 육성과 관련해서 1시군 1대표 문화예술 육성에 4,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과 관련해서 양양의 설화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에 2,2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2016년부터 매년 2편씩 설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는데 금년도에는 죽도 절구바위 설화와 탁장사 설화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을 했습니다.
다음은 371페이지입니다.
강원민속예술축제 참가 지원에 5,000만 원, 하단에 금년도에 저희가 강원도 민속예술축제를 개최합니다.
그래서 도비 포함해서 1억 6,000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동계올림픽 관련해서 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해서 동계올림픽 1주년기념 비개최시군 문화행사 추진에 4,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비개최시군은 전체 15개의 시군인데 도비를 받아서 행사하는 시군은 전체 6개의 시군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향토문제 육성과 관련해서 읍면 농악대에 각각 500만 원씩 3,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지방문화원 사업 활동지원과 관련해서 총 3억 4,985만 4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민간경상사업 보조로 1억 2,610만 원, 다음 372페이지입니다.
상단에 민간단체법정운영비 보조로 1억 4,675만 4천 원이 되겠습니다.
373페이지 상단에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7,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여기에는 전국한시현장 백일장 지원, 동구리 전통민요 경창대회를 우리 군에서 개최하는 것 관련해서 지원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전통문화 전승보존사업 지원과 관련해서 민간경상사업 보조로 양양향교 전통문화 전승사업 지원에 1,400만 원, 동명서원 전통문화 전승사업 지원에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학교 운영과 관련해서 문화학교 사랑방 사업 지원에 1,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374페이지 상단에 향교서원문화재활용 사업에 18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국도비를 같이 지원받는 사업인데 문화재를 활용하는 사업과 관련해서 지원하는 것인데 저희는 내년도에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해서 예절교육 등을 추진하려고 이렇게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과 관련해서 100주년 운동사 발간에 2,000만 원, 시설비로 3.1운동 100주년 기념 조형물 설치에 2억 원, 독립운동가 묘역 진입로 개설 및 정비에 2억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독립운동가는 가평에 함흥기 열사가 되겠습니다.
그동안에 주민들 건의가 계속 있었고 100주년을 맞이해서 저희가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각종 문화예술행사 지원에 1억 5,811만 2천 원입니다.
일반운영비로 3,564만 원, 일반보상금으로 530만 원, 민간이전사업으로 1억 1,717만 2천 원입니다.
민간이전사업으로써 양양예총 각종 문화예술사업 지원에 5,230만 원, 민간단체법정운영 보조로써 양양예총 운영비 지원에 5,607만 2천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75페이지 찾아가는 문화활동 관련해서 1,440만 원입니다.
금년도에도 저희가 했었는데 내년도에는 흥미를 유발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어떤 그런 부분을 저희가 공연을 찾아서 맞춤형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이렇게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공공도서관 지원에 1,500만 원입니다.
양양교육도서관 도서를 구입해서 지원하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작은 도서관 지원과 관련해서 625만 원입니다.
작은 도서관은 양양에 총 5개소가 있는데 양양거말은 거마리에 있는 부분이고 의상대 작은 도서관은 낙산사에 있는 것이고요.
이외에도 해누리, 복골, 양양감리교회 등은 교회에 있는 설치된 작은 도서관이 되겠습니다.
다음 376페이지 국악수련원 운영입니다.
총 1,9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소외계층 문화역량 강화사업으로써 통합 문화이용권 사업에 1억 1,680만 원입니다.
이거는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대해서 연간 7만 원씩 지원하는 그런 사업이 되겠습니다.
문화재 보존관리와 관련해서 문화재 보수정비에 8,010만 원입니다.
일반운영비로써 문화재 관련 인허가 자문·회의수당에 120만 원, 문화재·문화시설 안전진단에 500만 원, 문화재 및 시설 유지관리에 240만 원입니다.
다음 문화재 인허가 업무추진과 관련 한 여비에 150만 원, 시설비로써 지정 문화재·향토문화유산 수시긴급보수에 7,000만 원입니다.
377페이지에 전통사찰 보수와 관련해서 민간자본보조로써 영혈사 극락보전 보수에 2억 원, 낙산사 보타전 단청 보수에 1억 2,000만 원입니다.
전통사찰 방재시스템 유지보수와 관련해서 전통사찰 진전사 방재시스템 유지보수에 504만 원, 국가지정 문화재 보수정비와 관련해서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낙석위험지역 및 배수로 정비 망월사 사면이 되겠습니다.
관련해서 8억 2,517만 6천 원이 되겠습니다.
378페이지입니다.
양양 진전사 삼층석탑 주변 발굴조사에 3억 6,733만 6천 원, 진전사지 삼층석탑 해체보수 설계 용역에 5,000만 원, 선림원지 삼층석탑 주변 발굴조사에 2억 9,784만 원, 낙산사 일원 수목 병해충 방지에 8,000만 원입니다.
기타 부대비로써 482만 4천 원입니다.
다음은 도 지정 문화재 보수정비와 관련해서 7억 1,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내역으로 영혈사 요사채 보수에 4억 5,000만 원, 양양 김택준 가옥, 이두형 가옥, 김성래 가옥, 조규승 가옥 실측조사와 관련해서 각각 6,500만 원씩 계상이 되었습니다.
실측조사는 문화재가 화재라든가 기타 재난에 소실되었을 때 원형대로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현 상황을 그대로 이렇게 실측해서 관리하는 그런 조사가 되겠습니다.
다음 379페이지 문화유적 관리운영과 관련해서 3억 2,980만 8천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낙산사 문화재 안전경비원 배치에 1억 2,310만 8천 원, 낙산사 마찬가지로 재난방지시설 유지관리에 4,67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은 380페이지입니다.
시설비로써 낙산사 일원 전기시설 개선에 1억 6,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다음 무형문화재 관리에 있어서 도 무형문화재 전승금 지원에 4,560만 원입니다.
이거는 저희가 상복골 농요하고 수동골 농요가 되겠는데 단체에 각각 월 90만 원, 보유자는 월 100만 원씩 이렇게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민간이전 경상사업 보조가 있습니다.
도 무형문화재 공개행사에 1,100만 원인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2개의 문화재에 각각 550만 원씩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 380페이지입니다.
양양체육 경쟁력 강화와 관련해서 체육 활성화 지원 일반운영비에 2,00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강원FC 홈구장이 있는데 춘천에 있는 겁니다.
LED보드, 보드를 양양군을 제작해서 설치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민간경상사업 보조로써 381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육상종목 지원에 2,500만 원, 엘리트체육 꿈나무 육성에 7,100만 원, 그 밑에 양양군 체육회 인건비 지원에 3억 4,399만 9천 원입니다.
장애인체육 활성화와 관련해서 장애인 수시 체육대회 참가에 1,500만 원,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참가에 1,000만 원, 지체장애인 체육대회 참가에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둔치 체육시설 관리와 관련해서 4억 980만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내용으로는 둔치 제방도로 제초작업 인부임에 380만 원, 둔치 제초작업 예초기 및 유류 구입, 공공요금에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로써 3억 5,600만 원입니다.
체육시설 화장실 유지보수에 300만 원, 체육시설 화장실 유지보수 강현면에 300만 원, 파크골프장 조성공사에 3억 원, 둔치 야구장·축구장 정비공사에 5,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자산취득비로써 둔치-송이공원 승용제초기 구입에 4,500만 원입니다.
다음 382페이지입니다.
어르신 체육활동 지원과 관련해서 어르신 체육활동 지도자 배치에 1억 3,644만 원입니다.
다음은 생활체육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해서 생활체육교실 운영에 2,400만 원입니다.
생활체육교실은 에어로빅, 요가, 탁구 등 그 종목에 대해서 10명 내외 모집해서 운영하는 그런 시스템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생활체육회 운영과 관련해서 양양군 체육회 평가보고회에 400만 원, 생활체육회 운영지원과 관련해서 체육지도자 처우개선 지원비로 6,164만 4천 원입니다.
다음은 생활체육지도자 활동 지원과 관련해서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1억 3,644만 원, 383페이지입니다.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2,728만 8천 원, 수시 체육대회 지원과 관련해서 체육대회 지원 운영비로 300만 원, 전국단위 사이클대회 지원 운영비로 1,500만 원입니다.
그 밑에 각종 체육대회 지원 여비로써 400만 원입니다.
다음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 보조로써 강원도민생활체육대회 참가에 6,500만 원, 강원도 어르신체육대회 출전에 1,200만 원, 도지사기 대회 및 엘리트체육대회 참가 지원에 4,770만 원, 종목별 연합회장기 대회 지원에 250만 원, 각종 생활체육대회 지원에 7,400만 원입니다.
민간행사사업 보조로써 의회 의장기 축구대회 지원에 800만 원, 군수배 게이트볼 대회 지원에 360만 원, 강원도지사기 생활체육 테니스대회 개최에 2,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도민체육대회 지원과 관련해서 도민체육대회 출전 지원 여비로써 200만 원입니다.
하단에 행사실비보상금으로 2,7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84페이지입니다.
민간경상 보조로써 강원도민체육대회 지원에 2억 2,000만 원입니다.
군민체육대회 개최 지원과 관련해서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3,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에 1,848만 원입니다.
이거는 수급자 자녀에 대해서 매월 8만 원씩 스포츠이용권 강좌를 지원하는 그런 시스템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리틀 K리그 동계전지훈련 지원과 관련해서 리틀 K리그 유소년 축구대회에 5,000만 원입니다.
이거는 매년 1월 달에 전지훈련과 관련해서 유소년 축구대회가 개최되는데 약 400에서 500명 정도가 참가하는 그런 대회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양양군 체육회장기 초중 육상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000만 원, 3.1절 기념 양양군민 건강달리기 개최와 관련해서 1,500만 원, 현충일 기념 양양군민 한마음달리기 개최와 관련해서 1,5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85페이지입니다.
양양군수기 궁도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000만 원, 양양군민 골프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000만 원, 송이배 배드민턴 개최와 관련해서 3,000만 원입니다.
KBS배 전국 사이클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1억 500만 원입니다.
8.15경축 전국 사이클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4,000만 원입니다.
전국 산악자전거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생활체육 전국 산악자전거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2,500만 원, 양양 BMX 국제대회와 관련해서 3,000만 원, 양양 힐클라임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4,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전국 자전거 동호인 트랙 랭킹전과 관련해서 2,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86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제14회 강원도 어르신 생활체육대회 개최와 관련해서 9,9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체육시설 확충과 관련해서 일반운영비로 공공체육시설 설치 운영비에 600만 원, 토지감정 수수료에 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체육시설 확충 관련기관 협의 여비로써 90만 원입니다.
다음은 체육시설 관련 시설비로써 공공체육시설 부지매입비에 20억 원이 되겠습니다.
이거는 먼저 보고드린대로 야구장 조성부지를 매입하는 그런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제55회 도민체전경기장 개보수에 20억입니다.
양양탁구장 조성공사에 18억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실업팀 운영 사이클 선수 육성 지원과 관련해서 전국단위 사이클대회 출전 관리 여비 100만 원, 일반보상금으로써 사이클 선수 학자금 지원에 2,400만 원, 사이클 선수 인건비에 총 6억 9,744만 원입니다.
세부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기타 보상금으로써 대회 우승 포상금에 1,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사이클 타이어 및 부품 구입에 3,000만 원입니다.
다음은 387페이지 하단에 있는 행정운영경비와 관련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마지막 389페이지에 문화예술체육진흥기금 전출금 1억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거는 2001년부터 문화예술체육진흥기금을 저희가 조성하고 있는데 매년 1억 원씩 출연을 해서 이자 포함해가지고 내년도에 1억 원이 적립이 되면 총 20억 원이 적립이 완료되는 사업입니다.
그래서 내년도에 적립에 완료되면 매년 1.6%의 이자수익을 가지고 문화예술과 체육에 각각 50%씩 1,600만 원씩 지원을 하는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문화관광체육과 소관에 대한 2019년도 예산 사항별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어떤 거가 되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제가 제목은 들었고 자세한 내용은 아직 파악을 못했습니다.
○김귀선 위원 그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그럼 제가 알려드릴까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제가 알고 있기에는 전국 10개 권역을 대한민국 대표관광지로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이라고 해서 지금 공모 중이고 추진 중인 걸로 알고 있는데요.
이게 지방자치단체를 하나의 관광권역으로 묶어서 그 지역만의 이색테마를 즐기게 하는 관광코스라고 제가 알고 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에 우리 강원도도 묶여있을 거 아니에요, 그렇죠?
이게 지방자치단체를 하나의 관광권역으로 묶어서 그 지역만의 이색테마를 즐기게 하는 관광코스라고 제가 알고 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에 우리 강원도도 묶여있을 거 아니에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그런데 강원지역에서는 평창, 강릉, 속초, 정선이 한 권역이래요.
그런데 다행히 다행인지 우리 양양은 없거든요?
그런데 그 근처니까 좀 우리가 관광 공모사업을 진행해서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 우리 타 지역 근교에도 보면 뭐 밤거리를 활성화 시켜서 체류형 관광을 만든다든지 이런 게 참 많이 하고 있는데 우리 양양은 송이축제, 연어축제, 해맞이, 마을단위 축제 여기에 그냥 그냥 그렇게 잘 예쁘게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우리 군도 발 빠르게 이런 관광상품들이 다른 데에서는 많이 벌어지고 있잖아요.
그렇죠?
그런데 다행히 다행인지 우리 양양은 없거든요?
그런데 그 근처니까 좀 우리가 관광 공모사업을 진행해서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 우리 타 지역 근교에도 보면 뭐 밤거리를 활성화 시켜서 체류형 관광을 만든다든지 이런 게 참 많이 하고 있는데 우리 양양은 송이축제, 연어축제, 해맞이, 마을단위 축제 여기에 그냥 그냥 그렇게 잘 예쁘게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우리 군도 발 빠르게 이런 관광상품들이 다른 데에서는 많이 벌어지고 있잖아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그럴 때에 우리도 좀 어떻게 같이 연계해서 해야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좀 들어서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동안에 저희가 그런 부분이 많이 취약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금년도에 저희가 발주해가지고 관광진흥 기본계획이라는 그 용역을 1억을 들여서 저희가 발주 중인데 내년 3월 달이면 완료가 됩니다.
거기에 그동안에 저희가 신경을 못 쓰고 있었던 여러 부분들을 저희가 거기에서 좀 발췌를 해가지고 앞으로 관리해나가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래서 금년도에 저희가 발주해가지고 관광진흥 기본계획이라는 그 용역을 1억을 들여서 저희가 발주 중인데 내년 3월 달이면 완료가 됩니다.
거기에 그동안에 저희가 신경을 못 쓰고 있었던 여러 부분들을 저희가 거기에서 좀 발췌를 해가지고 앞으로 관리해나가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김귀선 위원 제가 공무원 우수사례 벤치마킹으로 새로운 관광상품을 계획할 수 있게 제대로 된 선진 견학을 지금 우리 공무원들이 많이 가시잖아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다녀오시잖아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귀선 위원 그런데 너무 이렇게 갔다오셔가지고 어떤 뭐 좋은 활성화 할 수 있는 어떤 그런 거 대안은 별로 안 내놓는가 싶어서 그래서 오늘 과장님께 한번 부탁드립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알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여기에 보면 몇 개 마을이 포함돼있는 겁니까, 혹시?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금년도에 12개 마을을 지원했었고요.
내년도에도 마찬가지로 신청하는 마을에 대해서 지원하겠습니다.
내년도에도 마찬가지로 신청하는 마을에 대해서 지원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럼 지금 작은 단위마을이면 지금 예를 들어서 겨울축제 같은 경우는 도루묵축제도 여기에 포함되는 건가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그러면 이거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실행이 되고 있는 거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 평가는 뭐 자체로 하는 건 없고요.
저희가 보조금을 지원한 부분에 대해서 나중에 내용이 오면 그걸 가지고 평가해서 그다음 해에 똑같이 신청이 왔을 때 거기에 반영하는 그런 형태로 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보조금을 지원한 부분에 대해서 나중에 내용이 오면 그걸 가지고 평가해서 그다음 해에 똑같이 신청이 왔을 때 거기에 반영하는 그런 형태로 하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러면 지금 1,000만 원인가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아니, 3,000만 원입니다.
○이종석 위원 아니요, 지금 작년보다 1,000만 원이 줄었는데.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거는 저희는 뭐 같은 형태로 좀 하고 싶었는데 예산 어떤 관리하는 차원에서 전체적으로 절감하다 보니까 긴축하다 보니까 그래서 삭감된 부분이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거는 필요하다면 그렇게 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도 보면 도루묵축제 같은 경우에 500만 원 정도 가장 많이 받고 있는데 또 적게 받고 있는 건 한 200만 원 정도 받고 있어요.
그러니까 저희가 필요하다고 하면 그 부분은 조정하겠습니다.
지금도 보면 도루묵축제 같은 경우에 500만 원 정도 가장 많이 받고 있는데 또 적게 받고 있는 건 한 200만 원 정도 받고 있어요.
그러니까 저희가 필요하다고 하면 그 부분은 조정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예, 뭐 며칠 전에 있었던 도루묵축제 같은 경우는 겨울축제로써 조금만 저희가 조금 관심을 가지면 아마 양양군에서 손꼽히는 축제로 하나로 또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잘되는 부분도 저희가 성장시킬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져가지고 매번 똑같이 배분하는 게 아니라 실태조사를 좀 해가지고 관심 있게 키울 수 있는 축제는 키우고 또 낭비다 싶은 그런 축제 같은 건 과감히 칼질을 할 수 있는 그런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래서 잘되는 부분도 저희가 성장시킬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져가지고 매번 똑같이 배분하는 게 아니라 실태조사를 좀 해가지고 관심 있게 키울 수 있는 축제는 키우고 또 낭비다 싶은 그런 축제 같은 건 과감히 칼질을 할 수 있는 그런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다음 372페이지 또 인건비 얘기죠.
매번 나오는 것 같은데 참 이게 큰 개선이 없어서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우선은 명절휴가비 좀 잠깐 봐주시면 사무과장 명절휴가비가 있죠?
매번 나오는 것 같은데 참 이게 큰 개선이 없어서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우선은 명절휴가비 좀 잠깐 봐주시면 사무과장 명절휴가비가 있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그리고 사무직원 두 분에 대한 명절휴가비가 책정되어있는데 사무과장님의 명절휴가비가 이게 맞는 건가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아니, 그게 저희가 예산을 하다가 잘못된 부분입니다.
거기에 135만 9천 원이 돼야 되는데 이게 지금 잘못됐어요.
그런데 예산이 이렇게 올라갔기 때문에 이거는 문화원하고도 얘기해가지고 추경에 이 부분을 조정하는 걸로 하겠습니다.
거기에 135만 9천 원이 돼야 되는데 이게 지금 잘못됐어요.
그런데 예산이 이렇게 올라갔기 때문에 이거는 문화원하고도 얘기해가지고 추경에 이 부분을 조정하는 걸로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거 잘못된 거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여기에 혹시나 무슨 이유가 있나 싶어가지고 여쭤보는 거고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맞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다음 두 분에 보면 기본급을 보면 저희 혹시 내년도 최저임금 그러니까 최저월급이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금액이 어느 정도 되신다고 생각을 하시는 거죠, 최저임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최저임금은 제가 확인해보지 않았는데요.
지금 내년에 저희가 인건비를 대폭 상향하는 걸로 안을 가지고 왔기 때문에 아마 거기에는 충분히 그 부분은 해당이 안 될 걸로 지금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 내년에 저희가 인건비를 대폭 상향하는 걸로 안을 가지고 왔기 때문에 아마 거기에는 충분히 그 부분은 해당이 안 될 걸로 지금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전체 지금.
○이종석 위원 저희가 보통 얘기할 때 기본급을 가지고 얘기를 하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런데 지금 구조상 이제는 뭐 우리 체육회도 있고 그러는데 지금 거기에서 우리가 도비보조 받아가지고 군비 50% 같이해서 지원하는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으로 하게 되면 저희가 도달할 수가 없고 그래서 기타 어떤 수당으로 저희가 처우를 많이 개선해주고 있는 그런 실정이거든요.
또 구조적으로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또 구조적으로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상당히 어렵다는 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내년도 최저임금이 174만 5,150원이더라고요.
그런 부분을 좀 감안해서 수당이란 부분을 가지고 처우개선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해가지고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내년도 최저임금이 174만 5,150원이더라고요.
그런 부분을 좀 감안해서 수당이란 부분을 가지고 처우개선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해가지고 말씀드립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기감실에서도 많이 얘기를 하시는데 양양군이 어려운 행정 때문에 약간 이제 뭐 총량제가 많이 걸려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 건 알고 있는데 그런 어려움이 있더라도 조금 더 관심을 가지시면 뭔가 우리가 해줄 수 있는 게 있지 않을까 한번 생각해보면서 말씀드렸습니다.
381페이지 파크골프장 조성공사 있지 않습니까?
381페이지 파크골프장 조성공사 있지 않습니까?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이게 어디에 되는 건가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현재 파크골프장이 있는 동쪽 하단이 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연장선에 있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지금 18홀 정도 규모로 운영하고 있는데 저희가 지금하고 있는 거는 주변경관은 좋으나 파크골프장으로써는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어가지고 그 밑에 18홀을 추가로 하면서 규모화 하면서 제대로 된 경기장을 만들려고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마지막으로 385페이지 한번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힐클라임대회 개최 작년에 비해서 올해 또 예산이 700이란 돈이 또 증액되어있습니다.
이거 지금 힐클라임대회는 몇 년 동안 계속 증액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힐클라임대회 개최 작년에 비해서 올해 또 예산이 700이란 돈이 또 증액되어있습니다.
이거 지금 힐클라임대회는 몇 년 동안 계속 증액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힐클라임대회 같은 경우는 출발과 도착 그러니까 지금 출발과 도착이 같죠, 같이 돌아서 오다 보니까.
그런데 그 행사를 보면 무대 하나 있고 스타트하고 그다음 돌아와서 이제 마무리 피니쉬하는 그 정도인데 이 예산이 계속해서 증액되는 뭐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그런데 그 행사를 보면 무대 하나 있고 스타트하고 그다음 돌아와서 이제 마무리 피니쉬하는 그 정도인데 이 예산이 계속해서 증액되는 뭐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이게 전국에 있는 동호인들을 모집하기 위해서는 사실은 참가비와 별도로 해가지고 많은 경품도 지원해야 되고 그런 부분이 있어요.
그래서 다른 대회가 또 그렇게 그런 틀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저희도 자전거 동호인을 모객하려면 그 수준에서 지원이 돼야 되다 보니까 행사비가 좀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 있는데 그래서 금년도에는 제가 와가지고 이 부분을 주최하던 경기 진행하는 업체랑 한번 얘기해봤는데 우리 양양은 어떤 대회로 해서 동호인이 오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많이 오는 게 중요하다, 우리 어떤 지역경기를 진작하는 데에 어떤 대회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꼭 어떤 자전거 동호인 중에서도 어떠한 상위층만 할 수 있는 힐클라임 이런 것보다는 우리 뭐 자전거도로를 탄다든가 그런 부분을 좀 이렇게 같이 병행해서 해보자 그런 이야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클라임대회는 지금 뭐 미시령도로에서도 하고 있고 대관령 옛 도로에서도 하고 있고 하고 있는데 그렇게 좀 어떤 특수계층만 지금하고 있어가지고 아쉬운 부분이 있거든요.
그렇게 좀 다변화해서 한번 해보는 방향을 추진해보겠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회가 또 그렇게 그런 틀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저희도 자전거 동호인을 모객하려면 그 수준에서 지원이 돼야 되다 보니까 행사비가 좀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 있는데 그래서 금년도에는 제가 와가지고 이 부분을 주최하던 경기 진행하는 업체랑 한번 얘기해봤는데 우리 양양은 어떤 대회로 해서 동호인이 오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많이 오는 게 중요하다, 우리 어떤 지역경기를 진작하는 데에 어떤 대회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꼭 어떤 자전거 동호인 중에서도 어떠한 상위층만 할 수 있는 힐클라임 이런 것보다는 우리 뭐 자전거도로를 탄다든가 그런 부분을 좀 이렇게 같이 병행해서 해보자 그런 이야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클라임대회는 지금 뭐 미시령도로에서도 하고 있고 대관령 옛 도로에서도 하고 있고 하고 있는데 그렇게 좀 어떤 특수계층만 지금하고 있어가지고 아쉬운 부분이 있거든요.
그렇게 좀 다변화해서 한번 해보는 방향을 추진해보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제가 이 부분 때문에 말씀드린 이유 중에 하나가 다른 거는 축제에서 저희가 증액을 1, 200만 원 하더라도 상당히 고심하면서 저희가 증액을 해주는 입장이지 않습니까?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이거는 또 저희가 양양군에서 주최를 하는 게 아니라 지금 회사라 그래야 되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사이클 관련된 업체에서 운영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거 행사를 거의 진행을?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도 이렇게 증액이 몇 년간에 계속 증액이 되는 부분에 있어서 아쉬움이 있고요.
그거에 대한 저희가 지원해주는 금액에 대해서 또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이렇게 활성화 되는 부분도 없는 것 같고 그런 아쉬움이 있어서 말씀을 드리고요.
그거에 대한 저희가 지원해주는 금액에 대해서 또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이렇게 활성화 되는 부분도 없는 것 같고 그런 아쉬움이 있어서 말씀을 드리고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이종석 위원 그 대신 조금 전에 말씀드렸던 우리 마을축제 중에 활성화 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좀 관심 가져주시고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렇게 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뭐 비용이나 봐서는 지금까지는 연어축제가 좀 컸었는데 앞으로는 좀 아니 송이축제가 더 컸었는데 앞으로는 연어축제를 좀 더 키워야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제가 그거 왜 물어보냐 하면 여기에 지금 예산을 보니까 내년도 예산이 연어축제가 더 많이 잡혀있어가지고 그런데 지금 이거 좀 구체적으로 얘기 한번 해주세요.
우리 연어축제에 보면 올해에 지금 행사운영비에 보면 7,000만 원이 지금 증액이 됐잖아요?
우리 연어축제에 보면 올해에 지금 행사운영비에 보면 7,000만 원이 지금 증액이 됐잖아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의성 위원 이 부분은 어떤 부분 때문에 이렇게 7,000만 원 더 증액이 됐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연어축제 말씀입니까?
○김의성 위원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전체 금년도에 비해서 1억 8,300만 원이 증액이 됐는데요.
이제 거기에 지금 연어축제가 기타 여러 가지 부대 어떤 체험시설이라든가 이런 부분이 좀 부족하다, 이렇게 해가지고 꽃밭을 만든다든지 어떤 포토존을 만든다든지 체험장을 추가한다든지 이런 부분을 좀 더 보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제 거기에 지금 연어축제가 기타 여러 가지 부대 어떤 체험시설이라든가 이런 부분이 좀 부족하다, 이렇게 해가지고 꽃밭을 만든다든지 어떤 포토존을 만든다든지 체험장을 추가한다든지 이런 부분을 좀 더 보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지금 행사운영비는 7,000만 원, 아니 이거 부분적으로 제가 물어보는 거예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지금 행사운영비에 7,000만 원 증액된 거는 그런 쪽으로 가신다는 얘기나요, 그럼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이게 지금 연어축제 운영 총괄비용에 보면 1억 8,300만 원이 증액이 됐는데 그런 부분을 하는데 있어서는 풀어나가다 보니까 과목이 이렇게 좀 나눠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예.
그러니까, 예.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지금 우리가 송이축제하는 장소에서 한 15일이나 20일 정도 있다가 바로 연어축제를 하잖아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맞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면 이건 지금 부대시설이 이게 일회성이나요, 아니면 계속가지고 가는 거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런데 뭐 계속하기에는 어렵고 축제 때에 한해서 쓸 수밖에 없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래서 축제 때 일회성으로 가는데 이렇게 비용을 써서 될까 하는 궁금증이 들어서 물어보는 거고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렇습니다.
○김의성 위원 거기 지금 밑에 쪽에 하는 데?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의성 위원 그거 공사가 언제쯤 마무리 될 것 같아요, 시작하면?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내년에 부지매입하면 2020년에 착공하는 걸로 그렇게 계획이 돼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이거는 저희 여기가 업무가 조정이 돼가지고 시설 확충은 저희 문화관광체육과, 그다음에 시설 유지관리보수는 시설관리사업소 이렇게 나눠져있는데 매년 이렇게 시설 이렇게 하다 보니까 이거는 꼭 필요한 거 아니면 어차피 이전하는 대상 시설이기 때문에 쓰지 않도록 그렇게 저희가 정리하겠습니다.
그래서 지금 이거는 저희 여기가 업무가 조정이 돼가지고 시설 확충은 저희 문화관광체육과, 그다음에 시설 유지관리보수는 시설관리사업소 이렇게 나눠져있는데 매년 이렇게 시설 이렇게 하다 보니까 이거는 꼭 필요한 거 아니면 어차피 이전하는 대상 시설이기 때문에 쓰지 않도록 그렇게 저희가 정리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래서 여기 5,000만 원 서있는 게 지금 큰 내용이 없는 것 같아요.
그다음 그 밑에 자산취득비에서 그거 지금 우리 승용제초기 구입 4,500만 원 있잖아요, 그렇죠?
그다음 그 밑에 자산취득비에서 그거 지금 우리 승용제초기 구입 4,500만 원 있잖아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의성 위원 이게 지금 우리 군에 없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그거는......
○김의성 위원 송이조각공원을 보면 매년 승용제초기 갖다가 지금 그걸 깎거든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의성 위원 그거 못 보셨나?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이거는 1대가 있습니다.
있는데 이거는 둔치야구장이라든가 축구장 이거를 관리하는 용도로 쓰고 있고 하기 때문에 이게 파크골프장에 쓰는 용도로 저희가 추가로 구입하는 그런 부분이 되겠습니다.
있는데 이거는 둔치야구장이라든가 축구장 이거를 관리하는 용도로 쓰고 있고 하기 때문에 이게 파크골프장에 쓰는 용도로 저희가 추가로 구입하는 그런 부분이 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아니, 그러니까 지금 제가 볼 때는 축구장하고 거기 작업하는 거를 못보고 저는 파크골프장 쪽에 작업하는 것만 봤거든요.
그게 지금 그쪽으로 사용을 하는 것 같은데 구입을 한다고 하니까 그래서 지금 제가 물어보는 거예요, 그거요.
그게 지금 그쪽으로 사용을 하는 것 같은데 구입을 한다고 하니까 그래서 지금 제가 물어보는 거예요, 그거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1대 더 구입을 하겠다, 이런 얘기예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과장님 수고하십니다.
몇 가지만 간단하게 질의하도록 하겠습니다.
363쪽에 관광안내소 청소용역 이거 지금까지 우리 문화관광과에서 안했나요?
처음이나요, 올해?
2,000만 원 계상됐는데.
몇 가지만 간단하게 질의하도록 하겠습니다.
363쪽에 관광안내소 청소용역 이거 지금까지 우리 문화관광과에서 안했나요?
처음이나요, 올해?
2,000만 원 계상됐는데.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제가 와가지고 관광안내소를 방문해보니까 연간 한 4만 5,000명 정도 되는데 거기에 중국어안내원이 두 명이 있습니다, 통역 가능한.
그런데 화장실에 관리원이 없어요.
그래서 어떻게 하냐 그러니까 직원들이 청소를 하고 있어요, 여태까지.
그런데 직원들이 하소연하는 것이 평소에는 자기들이 할 수 있으나 여름철에 너무 많이 가을철도 그렇고 너무 많이 오는데.
그런데 화장실에 관리원이 없어요.
그래서 어떻게 하냐 그러니까 직원들이 청소를 하고 있어요, 여태까지.
그런데 직원들이 하소연하는 것이 평소에는 자기들이 할 수 있으나 여름철에 너무 많이 가을철도 그렇고 너무 많이 오는데.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관광안내소가 몇 군데나 돼요, 우리가?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아니, 이게 지금 한 군데입니다.
○김우섭 위원 한 군데에 1년에 2,000만 원 주고 한다, 이 얘기인가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비용은 저희가 추정을 했는데 실제로 계약을 하면 뭐 금액은 어떻게 될지 저게 좀 줄어들 것 같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청소 아무리 깨끗하다 해도 모자람이 없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하여튼 잘 좀 해주시기 바라고요.
그다음에 366쪽 지경관광지 광업권 보상 이게 올해 추정치를 9억 1,000으로 했는데 일부 다 해가지고 갔으니까 남은 것만 하면 더 많이 남는다는 얘기잖아요.
그렇죠?
그다음에 366쪽 지경관광지 광업권 보상 이게 올해 추정치를 9억 1,000으로 했는데 일부 다 해가지고 갔으니까 남은 것만 하면 더 많이 남는다는 얘기잖아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지금 뭐 변형 받느라 시간이 걸려서 그러는데 지금 절차대로 가고 있습니다.
○김우섭 위원 하여튼 절차대로 가고 있는 것만큼 또 앞으로 우리 양양군에서 취해야 될 것이 어떤 건지 그때 가서 하지 마시고 사전에 차근차근 준비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우리 주민들에게 어떤 혜택이 돌아올지 돌아갈지 아주 사전에 충분히 좀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그다음에 368쪽에 통합 관광홈페이지 구축 지금 통합 관광홈페이지 구축을 한다는 지금까지는 안 돼있다는 얘기예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러면 지금까지는 뭐, 뭐가 돼있는데 통합을 한다는 거예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이게 우리 관광홈페이지 축제홈페이지하고 그다음에 뭐 마을단위 축제라든지 이런 게 다 따로따로 놀고 있고.
○김우섭 위원 여러 가지 나눠져있었는데?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버전이 너무 구형이라서 지금 또 저희 양양군 홈페이지를 이미지를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맞게 버전을 좀 맞추려고 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맞게 버전을 좀 맞추려고 하고 있습니다.
○김우섭 위원 이것도 좀 잘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우리가 홈페이지 현재 들어오면 참 굉장히 어렵거든요.
우리 지난번에 우리 이종석 의원님이 참 지적을 많이 했습니다만 저도 가끔 들어가 보는데 이 안에 내용이나 이런 걸 많이 좀 잘해야 될 것 같아요.
그렇죠?
우리 지난번에 우리 이종석 의원님이 참 지적을 많이 했습니다만 저도 가끔 들어가 보는데 이 안에 내용이나 이런 걸 많이 좀 잘해야 될 것 같아요.
그렇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이번에 처음부터 1억 5,000가지고 하는 것만큼 새롭게 잘 좀 구축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그리고 371쪽에 강원민속예술축제 개최 이게 우리 군에서 하나요, 이번에?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금년도에 양양에서 합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양양에서는 개최를 못했습니다.
○김우섭 위원 양양에서는 못했고 지금 그 위에 예술축제 참가 지원이라는 거는 우리......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거 참가하는 팀에 지원하는 겁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전에......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죄송합니다.
이게 매년 하는 게 아니라 격년에 한 번씩하고 있습니다.
이게 매년 하는 게 아니라 격년에 한 번씩하고 있습니다.
○김우섭 위원 격년에 한 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김우섭 위원 그러면 여기 양양군에 했을 때의 지원비하고 타 군에 할 때 지원비하고 어떻게 차이는 있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금액은 같은 걸로 저희가 알고 있습니다.
○김우섭 위원 그럼 어떻게 지원하는데 그러니까 경기 종목당 이렇게 지원하기 때문에 같은 과목으로 가나요, 그러면?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보통 보면 뭐 농요도 나가고 우리 마당이란 어떤 연극 관련 그런 것도 나가고 하는데 동일하게 지원하는 걸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김우섭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질의하실 위원 안 계십니까?
더 질의하실 위원 안 계세요?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안 계시면 제가 과장님께 몇 가지만 간단하게 여쭙겠습니다.
363쪽 관광해설사가 지금 몇 명 있습니까?
또 질의하실 위원 안 계십니까?
더 질의하실 위원 안 계세요?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안 계시면 제가 과장님께 몇 가지만 간단하게 여쭙겠습니다.
363쪽 관광해설사가 지금 몇 명 있습니까?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전체 7명 있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7명, 관광홍보가 잘되고 있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위원장 김택철 그다음 364쪽 산소길 걷기행사 240만 원 군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좋은 시책이라고 생각하는데 240만 원 좀 적다고 생각 안하세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이거는 걷는 행사기 때문에 큰 이렇게 비용이 들어가는 그런 행사는 아닙니다.
○위원장 김택철 보건소하고 병행해서 하시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보건소하고 다른......
○위원장 김택철 다른 겁니까?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다른 보건소 그 부분은 야간에 걷는 행사하는 거고 이거는 주간에 군민 전체에 알려서 같이 하는 행사가 되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거기에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난 이게 너무 작지 않나 싶어서 그러는 거예요, 2,600만 원 갖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이거는 시설을 뭐 보수한다든가 유지 관리하는 어떤 그런 비용이고요.
그걸 한다고 하면 뭐 대규모로.
그걸 한다고 하면 뭐 대규모로.
○위원장 김택철 몇 억 들겠지.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그렇게 설치가 돼야 될 것 같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그거 뭐 열악한 재정형편에 어렵다고 생각되나 이것도 한번 과장님이 검토해보세요.
저기 나오면서 그래도 양양군을 크게 알리는 뭐 이런 글씨라도 써놔갖고 ‘여기서부터 양양이다’는 뭐 이렇게 해갖고 주요관광지 이렇게 그림을 좀 그려서 그걸 한번 생각해보시는 게 어때요?
저기 나오면서 그래도 양양군을 크게 알리는 뭐 이런 글씨라도 써놔갖고 ‘여기서부터 양양이다’는 뭐 이렇게 해갖고 주요관광지 이렇게 그림을 좀 그려서 그걸 한번 생각해보시는 게 어때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홍보와 관련해가지고는 저희도 관광홍보가 있고요.
기획감사실에도 홍보기능이 있어가지고 수도권에 관광 홍보한다든가 뭐 이런 부분은 또 기획감사실에서 하고 있는데 하여튼 위원장님이 말씀하시는 거는 그거는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추진하겠습니다.
기획감사실에도 홍보기능이 있어가지고 수도권에 관광 홍보한다든가 뭐 이런 부분은 또 기획감사실에서 하고 있는데 하여튼 위원장님이 말씀하시는 거는 그거는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그다음에 366쪽 둔전 탐방로 조성 5억인데 이건 어떻게 거리는 얼마나 하며 어떻게 하는 겁니까?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이거는 지금 출발을 진전사석탑 앞에서 출발해가지고 거기에서 이쪽 설악저수지 그 댐 있는 데를 이렇게 좌측으로 해서 댐을 지나가가지고 설악저수지 왼쪽으로 저수지 주변을 쭉 올라가다가 거기 끝 지점에서 저쪽 기존에 알고 있던 500고지 쪽으로 해서 올라가는 올라가서 다시 돌아와가지고 지금 반환점으로 내려오는 이런 코스 개발하는 비용이 되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설치하는 건 좋은데 기대효과를 제가 묻는 거예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기대효과 지금......
○위원장 김택철 그거 몇 명이나 찾아올 것 같으면 이게 5억이잖아요, 5억.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위원장 김택철 그러면 탐방객이 좀 많이 와서 같이 효과는 키워나가야 되는데 닦아놓고 사람 안 오면 이거 헛다바리잖아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게 요즘 걷는 거 그다음에 길 이런 거에 대한 또 관심이 높기 때문에 꼭 이것만 가지고 할 건 아니고요.
저희가 지금 기존에 조성된 길이라고 해가지고 같이 전체 세트로 해서 저희가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겠습니다.
저희가 지금 기존에 조성된 길이라고 해가지고 같이 전체 세트로 해서 저희가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아니, 그러니까 아름답게 탐방로를 만드시는 것까지는 좋은데 오늘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야 된다 그 얘기예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위원장 김택철 그것도 홍보도 좀 열심히 해주시고 그다음에 368쪽에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운영 3,000만 원 이거 지금까지 하고 있는 시책이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따로 없는데 지금 이게 실제보다 이렇게 호응이 잘 안 되고 있는데 그러니까 지금 지급하는 인센티브 기준이 너무 적습니다.
이거를 좀 사실은 여기에 이렇게 그냥 오는 사람들이 그냥 받아가는 정도인데 이거를 여행사에게 뭔가 좀 자극이 되려면 지금보다 인센티브를 더 크게 지원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이거를 좀 사실은 여기에 이렇게 그냥 오는 사람들이 그냥 받아가는 정도인데 이거를 여행사에게 뭔가 좀 자극이 되려면 지금보다 인센티브를 더 크게 지원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팍팍 써요, 좀.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그래서 그렇게 하려면 조례를 개정해가지고 다른 시군보다 좀 상향해서 이렇게 운영하는 걸로 그렇게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과장님 한 가지 더 370쪽에 문화군민상 수상이 있는데 지금까지 몇 명이나 수상했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제가 지금......
○위원장 김택철 모르면 뭐 그냥 나중에 알려주면 되고.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위원장 김택철 그다음에 3.1운동 100주년 기념 조형물을 한다 그랬는데 그거 어디 위치 정도는 나와있나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지금 이거는 100주년과 관련해서 그 예산을 조형물이라고 이렇게 집어넣었는데 아직 지금 보니까 구체적인 계획은 없습니다.
이거는 저희가 앞으로 고심을 해가지고 어떤 모양으로 할 건지 어디에다 설치할 건지를 좀 고민해야 될 것 같습니다.
이거는 저희가 앞으로 고심을 해가지고 어떤 모양으로 할 건지 어디에다 설치할 건지를 좀 고민해야 될 것 같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양양을 살리고 빛낸 얼굴로 함홍기 열사님이 계시는데 잘 만들어갖고 양양에 그게 살려날 수 있도록 그렇게 좀 해주시고, 마지막으로 375쪽 예총 운영비 880만 원 예총단체가 몇 개나 있는지 아세요?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아직 밑에 산하 세부단체는 정확하게 제가......
○위원장 김택철 그런데 지금 뭐 여러 가지 뭐 있는데 5, 6개가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게 너무 적지 않나.
운영비 단체가 뭐 미술도 있고 음악도 있고 뭐 여러 개가 있는데 이거 880만 원 덩그러니 해갖고 그거 회원수가 잔뜩 있고 이런데 이런 거는 좀 뭐 예산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예총단체하고 해서 양양에 문화예술을 살리는 단체인데.
운영비 단체가 뭐 미술도 있고 음악도 있고 뭐 여러 개가 있는데 이거 880만 원 덩그러니 해갖고 그거 회원수가 잔뜩 있고 이런데 이런 거는 좀 뭐 예산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예총단체하고 해서 양양에 문화예술을 살리는 단체인데.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예.
○위원장 김택철 그래도 운영비가 좀 서있어야지 그게 활성화 된다고 저희는 생각합니다.
이런 건 좀 검토해서 사전에 예총 관계자들과 한번 간담회도 가져보시고 이래서 예산을 풍덕하게는 못 세워주더라도 그래도 단체가 운영이 활성화 되도록 지원을 좀 많이 해줬으면 좋겠다는 부탁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런 건 좀 검토해서 사전에 예총 관계자들과 한번 간담회도 가져보시고 이래서 예산을 풍덕하게는 못 세워주더라도 그래도 단체가 운영이 활성화 되도록 지원을 좀 많이 해줬으면 좋겠다는 부탁의 말씀을 드립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 탁동수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택철 이상이고, 더 질의하실 위원 안 계시죠?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들이 안 계시므로 문화관광체육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것으로 오늘 일정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제4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2월 4일 오전 10시에 개회토록 하겠습니다.
제237회 양양군의회 정례회 제3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산회를 선포합니다.
감사합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들이 안 계시므로 문화관광체육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문화관광체육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것으로 오늘 일정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제4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2월 4일 오전 10시에 개회토록 하겠습니다.
제237회 양양군의회 정례회 제3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산회를 선포합니다.
감사합니다.
(14시 45분 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