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록을 불러오는 중입니다.

양양군의회 회의록

Yangyang County
  • 프린터하기
  • PDF다운로드

제244회 양양군의회(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회의록

제6호

양양군의회사무과


일 시  2019년 12월 6일(금) 오전 10시

장 소  소회의실


  1. 의사일정
  2. 1. 2020년도 세입세출예산안(계속)

  1. 상정된 안건
  2. 1. 2020년도 세입세출예산안(양양군수 제출)(계속)
  3. 가.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4. 나. 상하수도사업소
  5. 다. 농업기술센터
  6. 라. 시설관리사업소
  7. 마. 의회사무과

(10시 00분 개의)

○위원장 김귀선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44회 양양군의회 정례회 제6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개회하겠습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2020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 2020년도 세입세출예산안(양양군수 제출) 

(10시 00분)

○위원장 김귀선   그럼 의사일정 제1항 2020년도 세입세출예산안을 상정합니다.

가.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10시 00분)

○위원장 김귀선   먼저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소관에 대하여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안녕하십니까?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입니다.
  2020년도 세출예산에 대하여 사항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당초예산은 전년도 대비 2억 1415만 5천 원이 감액된 45억 6124만 4천 원이 되겠습니다. 
  그럼 사항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57페이지가 되겠습니다. 
  환경정비 관리로 낙산지역 환경정화 기간제 근로자 보수에 1억 6309만 1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환경정화 작업 소모품 구입비로 300, 공공요금 및 제세에 1억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지역 식재 꽃묘 구입, 낙산지역 환경관리 방제약품 구입에 따른 재료비로 1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지역 전정작업 및 낙산지역 제초작업 시설비로 24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자산 및 물품 취득비로 청사 내 냉방기 구입 및 청사 내 세탁기 구입으로 38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청사 내 냉방기와 세탁기는 수상안전요원 숙소에 비치할 냉방기하고 세탁기가 되겠습니다. 
  658페이지입니다.
  투시등 및 경관조명등 보수에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로 샤워장 보수, 편의시설 보수, 낙산지역 시설물 설치 및 보수, 청사시설 유지 보수에 1억 40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기반사업 조성으로 국유림 임차료, 민원 해결 측량 수수료에 따른 사무관리비로 6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남대천 하구 통수작업 임차비로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물 기반조성 업무추진 국내여비로 2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전진 1리 화장실 신축, 해수욕장 주변 시설물 정비, 해수욕장 주변 도로 및 주차장 정비에 따른 시설비로 6억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해수욕장 운영이 되겠습니다. 
  비치클리너 운영에 따른 기간제 근로자 보수에 270만 원, 사무관리비 해수욕장 개장식 용왕제 제물 구입, 해수욕장 근무자 급식비, 해수욕장 현수막 제작 등에 7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9페이지가 되겠습니다. 
  행사실비지원금으로 해수욕장 개장식 관련 봉사자 급식비와 해수욕장 개장식 집사보상에 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로 수영한계선 설치, 낙산해수욕장 안내간판 제작, 낙산해변 해송 전정작업 등에 시설비로 93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행정봉사실 운영으로 낙산행정봉사실 비상근무자 일숙직비, 낙산행정봉사실 운영비로 147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행정봉사실 앰프시설 정비로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양쓰레기 환경정화 소모품 구입비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시설비로 낙산해수욕장 해양쓰레기 청소장비 임차와 낙산해수욕장 백사장 평탄작업 장비 임차에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해수욕장 질서 관리에 따른 기간제 근로자 등 보수에 4626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거는 낙산해수욕장 불법시설물 철거 및 단속요원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낙산해수욕장 수상안전요원 인건비로 3억 7760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구호장비 구입 및 소모품 구입에 따른 사무관리비로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행사실비지원금으로 해수욕장 안전관리 봉사자 급식비에 2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비치 페스티벌 사무관리비로 낙산비치 페스티벌 홍보, 낙산비치 페스티벌 제안서 평가위원 수당에 215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낙산비치 페스티벌 개최에 2억, 소규모 페스티벌 개최에 1000만 원해서 2억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낙산비치 페스티벌 관련 자원봉사자 급식비로 1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마을해수욕장 운영 관리가 되겠습니다. 
  비치클리너 운영에 따른 기간제 근로자 보수에 79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2페이지가 되겠습니다. 
  해수욕장 현수막 제작, 비치클리너 운영, 해수욕장 수질조사비, 해수욕장 백사장 토양조사비 등에 따른 사무관리비로 424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해수욕장 영조물 배상보험료 및 자기부담금으로 2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수욕장 업무추진 국내여비로 1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역주민 수상안전요원 육성사업에 따른 민간인 위탁교육비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수욕장 안내간판 제작에 따른 시설비로 2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동식 화장실 및 샤워장 임차비로 4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송전해수욕장 관리사무실 제작 및 해수욕장 시설물 개보수사업, 해수욕장 주변 환경정비 사업, 해수욕장 시설물 전기 안전점검에 따른 시설비로 2억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조대비치 페스티벌이 되겠습니다. 
  하조대비치 페스티벌 개최에 5000만 원, 시설비로 하조대해수욕장 공연무대 제작 설치비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3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마을관리 해수욕장 수상안전요원 인건비에 2억 265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구호장비 구입비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수상안전시설물 설치에 따른 시설비로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4페이지입니다.
  수상인명구조선 구입 수상오토바이가 되겠습니다. 
  취득비로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양레포츠시설 확충사업이 되겠습니다. 
  수산항 요트클럽하우스 화장실 내부수리에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서핑 페스티벌 홍보, 평가위원 수당에 따른 사무관리비로 22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서핑 페스티벌 개최에 4억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양종합레포츠센터 주차장 임차료, 해양레포츠 운영 사무관리비로 1800만 원, 해양종합레포츠센터 공공운영비로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험금으로 서핑교육교실 보험료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5페이지입니다.
  해양종합레포츠센터 시설물 유지 보수에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로 서핑기반시설 조성사업 이거는 서핑해양레저 특화지구 조성사업이 되겠습니다. 
  서핑기반시설 조성에 8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서핑비치로드 조성사업이 되겠습니다. 
  서핑교육교실 운영에 3000만 원, 서핑비치로드 조성사업에 3억 8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안선 레저스포츠 페스티벌에 행사운영비로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그랑블루 페스티벌 행사운영비로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인건비에 3531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사무관리비로 2927만 8천 원, 차량 유지관리비로 33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업무추진에 따른 국내여비로 81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업무추진비로 정원가산업무추진비, 부서운영업무추진비로 3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2020년 예산안 사항별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귀선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소관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봉균 의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박봉균 위원   박봉균 의원입니다.
  소장님 설명 잘 들었고요. 
  우리 서핑 페스티벌도 올해 바꿔서 하신다고 하던데 금액은 똑같은 것 같아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박봉균 위원   도비는 줄고 우리는 좀 늘었습니다.
  우리 도비하고 군비하고 2억씩 해서 4억했잖아요, 저번에?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박봉균 위원   그런데 이번에는 이게 어떻게 된 거죠?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도에서 보조비율을 작년도에는 50 대 50으로 했는데 금년도에는 3 대 7로 하는 바람에 우리 군비가 늘어나게 됐습니다.
박봉균 위원   왜 갑자기 그렇게 사유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저희 페스티벌뿐만 아니라 도에서 내려오는 보조 사업에 대한 모든 비율이 그렇게 정해져갖고 금년도에는 예산이 그렇게 내려왔습니다.
박봉균 위원   우리 서핑 관련해가지고 굉장히 많이 지원도 해드리고 서핑교실도 있고 또 우리 주변에 환경정비도 해 주고 이렇게 하는데 이런 거 하면서 그냥 우리가 알아서 해줄 테니까 너희들은 관여하지 마라, 이런 식은 안 되고요.
  정말 그분들하고 협의를 해가지고 지원이 좀 예산이 투입이 되게 이렇게 하셔야 될 것 같아요. 
  그분들하고 말씀 나눠보신 적 있으십니까?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저희들 수시로 서핑숍 관련된 사람들 서핑협회사람들하고 저희들도 서핑에 대해서 크게 많이 아는 게 없기 때문에 그분들이 많이 알기 때문에 그분들한테 조언도 구하고 그분들이 보면 주도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예, 소장님 그렇게 해주시는 거 아는데요.
  저는 예산이 행사성 예산보다는 행사를 하더라도 일회성으로 하지 말고 길게 여름에 아무래도 많이 오니까 그런 부분 나눠서 하는 부분들 그리고 또 이분들이 정말 서핑 여기가 서핑성지로 발돋움하는 방법을 그분들은 알고 계세요. 
  강릉도 도로변에 서핑간판 내린 거 아시죠?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박봉균 위원   도저히 안 됩니다, 거기는 파도가 안돼서.
  그래서 우리 같은 경우도 방파제 같은 게 생기면 절대 안 되겠고요, 이 산업을 키운다 그러면. 
  그런 것들을 관리해 주시고 무엇보다 그분들하고 얘기해가지고 예산범위 내에서 그분들하고 협의해서 예산을 세워주시기 바랍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그분들하고 저희들이 토론하고 이렇게 할 수 있는 분은 그분들뿐이 안 계시기 때문에.
박봉균 위원   저도 많이 만나봤기 때문에 이런 말씀드리는 거니까요.
  우리 소장님 자주 만나서 소통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잘 알겠습니다.
박봉균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택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택철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고요.
  659쪽 낙산해변 해송 전정작업 5000만 원, 이거하실 때 소장님도 보셨을 거예요. 
  거기 관리사무소에서 양양 쪽으로 그 앞에 전지작업 한 거 몇 년 됐잖아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그거……
김택철 위원   소나무 모가지 친 거 말이에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 김택철 위원 : 그걸 그렇게 안 되게 작업할 때 어차피 위탁을 주실 거니까 관리 감독을 잘해서 예쁘게 다듬어야지, 앞으로는 그런 일이 절대 없도록 관리 감독을.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거기에 대해서는 저도 상당히 전에 해놓은 거지만 보기도 흉하고 그래서 금년도에는 저희들이 아주 작업량을 줄 때 확실하게 그렇게 작업하라고 작업량을 정해서 줄 계획입니다.
김택철 위원   저는 그게 또 걱정이 돼갖고.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김택철 위원   그리고 또 661쪽에 낙산비치 페스티벌 개최 2억하고 또 1000만 원, 2억 1000만 원 그전 때에는 우리가 서울에 있는 회사에서 페스티벌을 하겠다 그래서 유치해갖고 협의해갖고 많이 했는데 요즘에는 그런 게 전혀 없는 것 같더라고요, 회사가 와서 하겠다는 거.
  그것도 우리 자체 예산으로 하는 것도 좋지만 그것도 한번 서울하고 어떻게 이런 걸 회사하고 해봐서 여름행사를 양양에 와서 낙산에 와서 하는 방법을 검토해보세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김택철 위원   우리 예산으로 하는 거 좋은데 같은 값이면 회사도 홍보하고 양양군도 홍보되고 그런 걸 한번 서울에 있는 괜찮은 회사들하고 협의를 해서 우리 낙산이나 하조대나 그거를 와서 여름축제를 양양에 하도록 그렇게 소장님이 적극 내년도에는 애써주시기 바랍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잘 알겠습니다.
김택철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김우섭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우섭 위원   김우섭입니다.
  665쪽에 서핑비치로드 조성, 이거 올해 하는 만큼 철저를 기해 주시고 밑에 보면 그랑블루 페스티벌 있잖아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김우섭 위원   이거 전년도 도비 내시됐었잖아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김우섭 위원   그런데 올해에는 도비는 없고 3000만 원.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우리 군비로 그게 작년도에 조금 주고, 금년도에는 우리도 도비 때문에 했는데 환동해본부에서 이번엔 예산 확보를 못해갖고.
김우섭 위원   예산 확보를 못하면 우리라도 더 세워줘야 되는 거 아니에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일단 저희들 지금 도에서도 당초예산을 확보를 못했는데 1회 추경에라도 우리 군비 작년에 6000만 원 우리 3000, 도비 3000 이렇게 하는 걸로 해갖고 일단.
김우섭 위원   작년에 그렇게 해서 우리가 1500을 더 했잖아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예, 더 했습니다.
  맞습니다. 
김우섭 위원   더 했었는데 올해에 확실히 좀 챙겨가지고 그것도 일회성도 아니고 계속했는데 이거 지금 영화 계속하고 있거든요.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잘되고 있는 건데 예산 이렇게 세우면 안 되죠.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도에서 1회 추경 때 확보하겠다고 했는데 만약에 도비가 확보 못하면 우리 군비라도 더 투자가 돼야 될 입장입니다.
김우섭 위원   그걸 좀 확실하게 챙겨주시기 바랍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 윤학식   알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해양레포츠관리사업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나. 상하수도사업소 

(10시 16분)

○위원장 김귀선   다음은 상하수도사업소 소관에 대하여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안녕하십니까?
  상하수도사업소 김태형입니다.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2020년 본예산에 대해 일반회계, 지방공기업 상수도사업 특별회계, 하수도 특별회계 순서로 제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입니다.
  669쪽입니다.
  일반회계 총예산은 18억 9789만 8천 원이 감한 103억 8722만 8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먼저 상수도 관리에 13억 8151만 2천 원이 편성된 세부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양양 상수도 청사 유지관리에 3858만 원, 마을상수도 관리에 7억 6199만 2천 원이 편성되었으며 시설비로서는 7051만 2천 원, 소규모 수도개량에 5억 9622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670쪽이 되겠습니다. 
  먹는 물 상수도 관리에 1억 4906만 원이 감된 5억 8094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세부사항으로는 손양면 밀양리 배수관로에 8000만 원, 손양면 상·하왕도리 배수관로에 1억 3000만 원, 현북면 어성전리 배수관로에 2억, 강현면 간곡리 가압장 이설사업에 8000만 원, 강현면 중복리 가압장 설치사업에 80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671쪽 되겠습니다. 
  농업생활용수 개발 사업비로 6억 4400만 원이 감된 9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양양 노후 하수관로 정비 사업은 6억 1000만 원이 증된 32억 42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672쪽입니다.
  면단위 하수처리 증설사업은 11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하수도 관리 사업에 오염방지시설로 관내 배수설비 정비 사업으로 2억 원, 조산 빗물펌프장 배전반 정비 사업에 4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673쪽입니다.
  하수도사업 특별회계 전출금은 10억 2918만 원이 감된 24억 7082만 원이 편성되었고 공기업 상수도사업 특별회계 전출금은 19억 7401만 9천 원이 감된 6억 522만 4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지방공기업 상수도사업 특별회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723쪽입니다.
  먼저 수입예산은 16억 2272만 1천 원이 증가된 126억 6161만 4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사용료수입은 14억 2674만 원이 증가된 52억 7838만 원이 편성되었고 급배수공사 수입으로는 4억 4401만 원이 책정되었습니다. 
  일반회계 전입금은 19억 7400만 9천 원이 감된 6억 522만 4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724쪽이 되겠습니다. 
  순세계잉여금이 27억이 증가된 32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지출예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725쪽이 되겠습니다. 
  지출예산은 16억 2272만 1천 원이 증가된 126억 6161만 4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세부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취수장 전기료로 6억 8400만 원, 일반운영비로 2억 5072만 원, 726쪽이 되겠습니다.
  배·급수비에 2455만 원이 증가된 6억 5520만 원이 편성되었고 일반관리비는 2억 23만 3천 원이 증가된 20억 8778만 4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729쪽이 되겠습니다. 
  729쪽 일반관리비는 2944만 4천 원이 편성되었고 정원가산업무추진비로 116만 원이 책정되었습니다. 
  연구개발비로는 2000만 원이 증가된 33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730쪽 되겠습니다. 
  징수 및 수용가관리비로 7719만 원이 증가된 5억 775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731쪽 되겠습니다. 
  상수도 시설비로 3억 2693만 2천 원이 감된 31억 55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거기에 대한 세부사항은 상수도 유수율 제고사업에 4억 5000만 원, 상수원보호구역 지원 사업에 1억 500만 원, 급수취약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에 8억 9433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상수도 배수지 증설사업으로 13억 5000만 원, 중광정리 배수관로 정비 사업으로 2억 원이 책정되었습니다. 
  기계장치는 13억 2000만 원이 증가된 19억 20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세부사항은 상수도운영시설 기계장치 계장시설 보수공사로 1억 원, 양양  합상수도 중앙제어시스템 PLC 교체사업으로 3억 원, 군행  수지 내부 부식개선사업으로 4억 원, 양양  수장 취수 1호정 전력케이블 교체공사로 6억 5000만 원, 양양  수장 여과지동 역세펌프 교체공사로 1억 3000만 원, 통합상수도 전동밸브 보수 및 정비공사로 1억 원이 책정되었습니다. 
  양양  수장 고주파방지 시스템 설치사업으로 1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732쪽 되겠습니다. 
  양양 노후  수관망 정비 사업으로 28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하수도사업 특별회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761쪽 되겠습니다. 
  세입예산은 4억 7118만 원이 감된 42억 7882만 원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세부사항으로는 사용료로는 2억 800만 원이 증가된 12억 600만 원, 이자수입은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하수도 원인자부담금은 1억 원이 편성하였습니다. 
  순세계잉여금은 5억 원이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전입금은 10억 2918만 원이 감된 24억 7082만 원이 되겠습니다. 
  762쪽이 되겠습니다. 
  세출예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하수도 특별회계 세출액은 4억 7118만 원이 감된 42억 7882만 원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세부사항은 환경기초시설로 하수도종말처리장 유지관리비로 4억 960만 원이 증가된 12억 217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시설비로는 공공하수도 시설용량 초과 하수운반에 3억 40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양양 공공하수처리장 사무실 증축공사로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양양 공공하수처리장 시험실 TOC 구매 설치로 8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환경기초 민간위탁관리로 민간투자 사업 하수도시설 위탁운영비로 9억 8478만 원이 감된 24억 512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공공하수도 유지관리 사업으로 1억 4000만 원이 증가된 5억 20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세부사항은 일반 하수도 준설사업으로 1억 5000만 원, 하수도시설 유지관리비로 1억 7000만 원, 하수도 민원 해결 사업으로 9000만 원, 하수관로 기술진단 용역으로 8000만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이상으로 상하수도사업소 2020년 본예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귀선   상하수도사업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상하수도사업소 소관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해 주십시오. 
  이종석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이종석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이종석입니다.
  양양 노후 하수관로 정비 사업 이렇게 예산 잡혀있는데요. 
  이거 구간이 어디를 나타내죠?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저희들 2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가 64km 정도 있습니다.
  양양읍내지역입니다.
  읍내지역이라서 지금 저희들이 용역을 발주해가지고 시행하고서 올해부터 예산이 서가지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특별하게 지역이 지정된 건 아니고 20년 경과된 곳부터?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예, 저희가 CCTV로 확인을 해가지고서 거기에 대한 나온 km수에 대해서 사업을 하는 중입니다.
이종석 위원   알겠습니다.
  그리고 저희가 하수처리장 증설 있지 않습니까? 
  지금 인구랑 강현이 이렇게 돼 있는데 여기가 예산이 반영이 되면 바로 사업이 진행되는 건가요?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이거는 지금 저희들 증설사업으로 설계를 하고서요.
  그다음에 기본계획에서 수립됐기 때문에 설계가 나오면 바로 사업을 시행할 것입니다.
이종석 위원   하수처리장 같은 경우는 악취, 하천오염, 경관까지 다 관련된 사업이다 보니까 빨리 진행될 수 있고 빨리 완결돼서 주위에 있는 분들이나 이런 분들이 사용할 수 있게 부탁을 드리고요.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예.
이종석 위원   혹시 상수도 저희 미보급된 데 있지 않습니까, 지역에?
  저희가 한 10% 된다고 얘기를.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그렇습니다.
이종석 위원   거기에 대한 예산은 어디에 있죠?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저희들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으로 내년도 2020년도에 6억이 책정됐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 저희들이 사업을 추진할 겁니다. 
이종석 위원   소규모 수도?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그렇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것도 빨리 10%가 우리 양양에 보급률이 100%가 될 수 있게 관심 가져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택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택철 위원   소장님 잘 들었고요.
  한 가지만 여쭙겠습니다. 
  우리가 금년도에 서문리 정수장 철거사업, 거기에다가 사격장 부지로 활용한다고 그랬는데 공사를 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공사가 마무리되나요?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저희들 부지정리는 다음 주면 마무리됩니다.
김택철 위원   요새 한참 작업을 하고 있더라고요.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예, 지금 철거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김택철 위원   그것도 기간 내에 공기 내에 해갖고 내년도 도민체전 사격장을 짓는다 그러니까 거기에 차질 없이 그렇게 공사를 진행해 주시고, 한 가지만 더.
  762쪽 하수도사업 특별회계 BTO사업이 뭐가 죽어서 9억 8400만 원이나 감액이 됐나요?  
○상하수도사업소장 김태형   저희들이 예산 조기집행 때문에 전체 예산을 못 세우고요.
  전체 예산은 34억 되겠습니다. 
  그런데 본예산에서 저희들이 BTO 그 사업 운영자들이 가지고 갈 수 있는 돈을 먼저 지출하고서 추경 때 저희들이 따로 또 세우려고 적게 세웠습니다. 
  이상입니다. 
김택철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상하수도사업소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정회하도록 하겠습니다. 
  15시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 30분 회의중지)


(15시 00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귀선   자리를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 농업기술센터 

(15시 00분)

○위원장 김귀선   다음은 농업기술센터 소관에 대하여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안녕하십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입니다.
  항상 농업과 농촌 발전에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김귀선 위원장님과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드립니다. 
  2020년도 농업기술센터 소관 본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020년도 예산액은 236억 2513만 7천 원으로 금년 대비 1억 476만 7천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단위 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농정 및 농촌지도 관리에 900만 원이 편성하였습니다.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정책심의회 운영에 240만 원이 편성하였습니다. 
  농촌진흥사업 현장 기술지원 활동지원 사업으로 600만 원이 편성하였습니다. 
  574페이지입니다.
  강소농 육성 지원 사업으로 3600만 원이 편성하였습니다. 
  575페이지입니다.
  강소농 사업 관리 및 평가 지원에 1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한발대비 용수개발에 1억 37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관광주체 육성 지원으로 농촌 체험육성마을 사무장 채용에 1억 153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76페이지입니다.
  농촌체험휴양마을 보험가입에 820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민박 홍보지원 사업에 2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77쪽이 되겠습니다. 
  농어촌 민박시설 환경개선 지원 사업으로 1억 6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체험 안전편의시설 확충사업에 4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 도시민 유치 지원에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79페이지입니다.
  귀농인 정착지원에 16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귀농창업 지원에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승계농 정착지원에 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강원도 한 달 살기 사업으로 10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0페이지입니다.
  신규 농업인 현장실습 교육지원에 3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체험휴양마을 지원 사업에 29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을단위 종합개발 창조적 만들기 사업에 3억 9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을단위 자율개발 마을 만들기에 사천리, 포매리 마을에 7억 1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1페이지입니다.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에 1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관광시설 안전점검 지원 사업에 1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여성결혼이민자 모국방문 지원 사업으로 33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인 고교자녀 학자금 지원에 136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2페이지입니다.
  농·특산물 판매행사 지원 운영에 27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특산물 소포장재 지원에 1억 7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3페이지입니다.
  양양군 농·특산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지원에 1억 431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4페이지입니다.
  쌀 소득보전 고정 직접지불금 보상금에 16억 8068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쌀 해뜨미 소비촉진 지원에 6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논 농업 경영안정 직불금 지원 보상금에 2억 44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5페이지입니다.
  저온저장고 설치지원 사업에 562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자원복합산업화 지원 사업을 위한 농산물 분말제조 가공시설 지원에 3억 7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강원쌀 산지도정시설 지원 사업으로 1억 5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벼 도정시설 지원을 위한 현대화 지원 사업으로 1억 47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6쪽입니다.
  수출 유망업체 육성사업으로 4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벼 못자리용 비닐하우스 등 1억 7959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7페이지입니다.
  벼 병해충 공동방제 농약 지원에 6억 687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벼 안전육묘 생산육모를 위한 장비 지원에 2억 45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조건불리직불금 보상금에 2억 1045만 7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8페이지입니다.
  밭 농업 직불금 보상금에 4억 3540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밭 농업 경영안정 직불금 지원에 3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벼 보급종 공급차액 지원에 935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89페이지입니다.
  농작물 병해충 예찰방제단 운영에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재해복구 지원에 6911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0페이지입니다.
  논 타작물재배 지원에 2억 44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경영비 절감 기술을 위한 자체육성 오륜감자 주산단지 육성시범 사업과 고품질 황금잡곡 기계화 모델구축 시범에 2억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쌀 생산활동 지원에 1억 47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1페이지입니다.
  토양개량제 지원에 2억 70만 7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토양검정실 운영에 1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유기질비료 지원에 2억 4396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2페이지입니다.
  친환경 농자재 지원에 32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친환경 농자재 공급에 46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친환경농업 활성화 지원을 위해 무농약 지속 직불금 지원에 1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3페이지입니다.
  친환경농업 촉진지원 사업으로 인증촉진비와 전문기술 정보제공에 17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친환경농업 직불금에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친환경농업 실천을 위한 친환경 쌀 생산지원, 친환경 퇴비 및 유기농자재 시설지원에 1억 7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4페이지입니다.
  고령농업인 농작업비 지원에 5398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과수 특수처리 봉지지원 사업으로 3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과수 농약방제 지원 사업으로 1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산양삼 재배지원 사업으로 45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5페이지입니다.
  산촌마을 소득작목 재배 기반조성에 3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 활력화 작목 기반조성사업에 4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고품질 버섯 안정생산 기반조성을 위한 표고버섯, 원목, 느타리버섯, 재배시설 지원, 버섯 배지제조기 지원 사업, 버섯 재배농가 경영안정 사업 등에 4억 8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6페이지입니다.
  화훼 소득작목 지원 사업에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과수화훼 생산유통을 위한 과수 경쟁력 제고사업에 2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과수 생력화작업기 지원 사업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과수시설 개선지원 사업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과수생력형 편의장비 지원 사업으로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7페이지입니다.
  소규모 비가림하우스 지원 사업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산채 및 특화품목 재배 기반조성 시범으로 8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특화작목 생산단지 조성사업으로 4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시설원예 경쟁력 제고를 위한 비닐하우스 현대화 사업으로 32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득작목 품질향상 기술보급을 위한 우리도 신육성 잎새버섯 재배단지에 7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98페이지입니다.
  체리 시범사업으로 49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 신기술 시범사업으로 안전육모 자동이송 단지조성 시범과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 저항성 계통 증식 보급 시범에 1억 8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업형 새농 만들기에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업형 새농촌 군 역량강화 사업으로 2억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산물 유통 네트워크 구축에 67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0페이지입니다.
  밀원수 시범단지 조성사업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버섯재배단지 기반조성 타당성 검사에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건강장수마을 육성사업으로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노인 생활활력화 실천 프로그램에 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산물 종합가공 기술지원 사업으로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산물 가공기술 표준화 지원 사업으로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2페이지입니다.
  농촌 어르신 복지실천 시범에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규모 가공창업 경영체 육성사업으로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3페이지입니다.
  양양한우 브랜드 명품화 육성사업으로 9억 73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4페이지입니다.
  한우 브랜드 육성 지원 사업으로 5억 37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5페이지입니다.
  강원한우 통합브랜드 가치제고 사업에 9244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6페이지입니다.
  한우품질 고급화 사업으로 68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한우 도축 운송비 지원 사업으로 2268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7페이지입니다.
  한우 송아지 생산 안정성 지원 사업으로 117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안전고품질 축산물 생산지원 사업으로 3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축산물 이력관리제 지원에 귀표지 부착비에 1349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축산 스마트팜 조성에 4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스마트 축산시범단지 조성에 1억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축산 도우미 지원 사업으로 도비사업으로 1336만 원과 자체 사업으로 1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시장 현대화 사업으로 1억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양돈농가 지원 사업으로 5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양돈농가 폐업보상 및 철거사업으로 22억 6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09페이지입니다.
  토종꿀 명품화 사업으로 93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강원 토종꿀 명품 육성사업으로 7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양봉농가 경영안정화 사업으로 79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0페이지입니다.
  양봉농가 부가가치 창출 지원에 1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1페이지입니다.
  재해대비 축산시설 구조 개선사업으로 9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재해 보험사업에 1억 7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학교 우유급식 지원 사업으로 7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2페이지입니다.
  축산농장 환경개선 지원 사업으로 1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분뇨처리시설 지원 사업으로 2억 52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목적 가축분뇨처리 장비 지원 사업으로 6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3페이지입니다.
  가축분뇨 퇴비화 지원 사업으로 1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분뇨처리 효율개선 지원 사업으로 4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분뇨 이용 활성화 지원 사업 도비사업으로 7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분뇨 액비살포비 지원에 7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액비 생산시설 개보수 지원 사업으로 31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4페이지입니다.
  가축분뇨 퇴비살포비 지원 사업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유기질비료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무허가 축사 양성화 지원 사업으로 7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5페이지입니다.
  퇴비 부숙도 판정지원 사업에 31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퇴비 부숙도 분석지원 사업으로 16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공동 퇴비처리장 설치 지원 사업으로 3억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스마트 악취저감시설 지원으로 3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6페이지입니다.
  악취저감 환경친화형 가축분 퇴비생산에 3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 전염병 관리 사업에 1억 4746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7페이지입니다.
  매몰지 사후관리 관리기간 해제 매몰지 지원에 41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질병 예방 및 검진약품 구입 등 지원에 2억 7617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8페이지입니다.
  통제초소 운영 및 소독비 지원 사업으로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19페이지입니다.
  유기동물 보호 관리에 51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유기동물 보호 관리 지원에 124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0페이지입니다.
  공동방제단 운영에 7379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가 차단방역용 소독약품 지원 사업으로 10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살처분 보상금에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1페이지입니다.
  영세 양축농가 가축진료 서비스 지원에 1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2페이지입니다.
  차단방역용 소독시설 운영 지원에 484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공수의 수당 지원에 2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3페이지입니다.
  동물복지형 강원축산 선진화를 위한 동물복지 인증지원 사업에 1억 2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5페이지입니다.
  방역차량, 질병 검사장비 등 지원 사업에 8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 전업농 구제역 접종시술비에 37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6페이지입니다.
  낭충봉아부패병 면역력 증강제 지원에 229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멧돼지 기피제 지원 사업으로 1089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7페이지입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AI구제역 상시방역체계 구축 지원 사업으로 4억 3476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맞춤형 세척 소독시설 및 장비 지원 사업으로 598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8페이지입니다.
  축산행사 지원에 1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강원축산 한마당잔치 운영비에 162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29페이지입니다.
  조사료생산 기반조성사업에 49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조사료 품질관리 지원 사업으로 16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조사료 생산용 사일리지 제조지원 사업으로 2억 7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조사료 생산용 종자 구입비 지원 사업으로 6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0페이지입니다.
  조사료 자급률 향상 지원 사업으로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전문단지 조성 사일리지 지원 사업으로 40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1페이지입니다.
  부존자원 활용 사료 제조 및 이용 활성화 사업으로 4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양계농가 기후변화 대응시설 지원 사업으로 1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학생 승마체험 사업으로 5696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2페이지입니다.
  청사 및 시설 장비 관리 사업으로 2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기계 순회수리반 운영에 1억 836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형 농기계 지원 사업으로 2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3페이지입니다.
  농산물 건조기 지원 사업으로 2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용 급유기 지원 사업으로 104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용 면세유 구입비 지원에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쌀 전업농 콤바인 지원 사업으로 1억 2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4페이지입니다.
  임대농기계사업 운영사업으로 3498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기계 공급 임대농기계 수리비 운영 지원에 3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대형 농기계 임대지원에 2억 1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여성, 노약자 인력절감 장비 지원에 2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6페이지입니다.
  교육용 농기계 구입 트랙터 구입에 5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생활개선회 교육행사 및 활동지원 사업으로 26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7페이지입니다.
  여성농업인 개인작업장 환경개선 사업에 1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여성농업인 복지바우처 사업으로 1억 19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여성농업인 다용도 작업대 지원 사업으로 22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8페이지입니다.
  전문농업인 유통정보지 구독지원에 2499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9페이지입니다.
  전문농업인 인력양성에 1414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인 교육 연찬회 및 연수에 303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0페이지입니다.
  새해영농설계교육 운영에 117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1페이지입니다.
  양양 전통음식학교 운영에 3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2페이지입니다.
  강원 향토음식 아카데미 운영 지원으로 1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3페이지입니다.
  청년 4-H회원 기초영농 지원 사업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4페이지입니다.
  4-H회 교육행사 및 활동지원에 1007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5페이지입니다.
  농촌지도자회 교육행사 및 활동지원에 2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경영인 교육행사 및 활동지원에 5065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6페이지입니다.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 사업으로 979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청년농업인 창업기반 지원에 3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8페이지입니다.
  과학영농 현장서비스 강화에 4421만 9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9페이지입니다.
  농업기술센터 종합분석실 운영 지원에 16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유용 미생물 배양센터 운영에 33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50페이지입니다.
  과수 묘목 및 꽃묘 생산에 230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실증포장 및 시설 운영에 1억 2957만 1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51페이지입니다.
  농작물 병해충 진단실 운영 지원에 18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52페이지입니다.
  농업기술센터 인력운영비에 12억 8031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654페이지입니다.
  농업기술센터 기본경비 2억 3370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소관 2020년도 본예산안의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귀선   농업기술센터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농업기술센터 소관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님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김택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택철 위원   소장님 장시간 보고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업무가 우리 농업기술센터는 농촌 복지, 건설을 위해 기술 지원 등 다양한 업무로 항상 노고가 많은 걸로 이 자리를 빌려 깊이 감사드리면서 몇 가지만 질의드리겠습니다. 
  577쪽 농어촌민박 홍보 지원, 우리 민박이 등록된 게 몇 가구나 됩니까? 
  아니, 답변 안 들어도 좋아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택철 위원   우리 민박으로 우리 농촌농가가 1년에 수입이 얼마나 되나 하고 한번 여쭤보려고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별도로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정확한 자료를 몰라가지고. 
김택철 위원   그래요, 그 밑에 보면 시설 환경개선으로도 20개소에 1억 6000을 지원한다는데 여름철이라도 농가 수입이 좀 됐으면 해서 말씀드리는 거고.
  581쪽에 마을 만들기 사업 잔교리 3억 9000, 사천리 4억, 포매리 3억 1800, 사업내용은 뭐나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사천리 마을은 문화예술관광 조성하고 야외공연장이고 포매리는 공동급식소 지원입니다.
김택철 위원   잔교리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잔교리는 농약전수교육장하고 버섯 가공체험시설 등을 할 계획입니다.
김택철 위원   이거를 우리가 지원을 해줘서 농촌 부흥에 보탬이 되는 사업을 했으면 해서 센터에서 기술 지원 이런 걸 잘 해줘갖고 그 마을이 잘살 수 있는 마을로 기반시설이 되는 걸로 이렇게 잘 지도해 주십사하고 부탁드리고요.
  한 가지만 더 하겠습니다.
  585쪽 쌀 산지 도정시설 지원, 도정시설 현대화 지원 정미소 이거 한 3억 되는데 제가 생각할 때는 우리 포매 같은 데는 친환경농업한다 그래서 별도로 도정공장을 설치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생각하기로는 거의 다 현물수매를 많이 하는 거 아닙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맞습니다.
김택철 위원   그래서 이제 도정공장이 옛날에는 많던 게 이젠 많이 없어졌더라고요, 마을단위로.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저희 현남 포매리 같은 경우 친환경 HACCP 인증을 받아가지고 학교급식으로 판매할 한 120톤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설이 되면 가공을 할 계획입니다.
김택철 위원   거기에서 자주자주 찧어서 납품하는 걸로.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맞습니다, 학교에.
김택철 위원   이래갖고 뭐 내일인가 언제 친환경단체가 창립총회를 한다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오늘 했습니다.
김택철 위원   오늘 했습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택철 위원   그래서 우리 양양군도 친환경 쪽으로 많이 가야 되겠구나, 이렇게 생각하면서.
  이게 포매리입니까, 그럼?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포매리입니다.
김택철 위원   알겠습니다.
  그래서 좋은 미질의 쌀이 학교나 어디에 납품될 수 있도록 그렇게 많은 지도편달을 부탁드립니다, 소장님.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알겠습니다.
김택철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위원님?
  박봉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박봉균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박봉균 의원입니다.
  제가 저번에 행감 때 말씀드렸던 공공비축미 구매할 때만이라도 특급을 받은 농가는 인센티브를 지원을 해 주는 방안을 검토해 주시기 바라고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박봉균 위원   보니까 지금 본예산만 해도 농업기술센터는 7.47% 돈으로 따지면 236억 정도를 쓰고 있는데요.
  보면 전부다 지원 사업이에요, 이게 지원 사업인데. 
  이게 양양군에서 지원 안 받고 농사짓거나 사업하는 사람들은 바보라는 얘기가 막 자조적인 얘기가 있어요. 
  있는데 제가 우리 소장님이나 농업기술센터에서 잘못한다는 게 아니라 정말 보조를 받는 분들이 이게 국고로 보조 받는 건데 너무 당연시하는 경향들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보조를 할 때 확실하게 심사가 필요한 부분들은 좀 더 강화해 주시고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박봉균 위원   정말 이게 엄정한 지원금이란 것들을 알고 소중하게 쓰게 해 줬으면 좋겠고요.
  한 가지만 여쭈면 우리 농기계 대여하는 사업 있지 않습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임대농기계.
박봉균 위원   그게 반나절 단위로는 대여는 안 됩니까?
  그런 민원이 들어온 게 없나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있었는데.
박봉균 위원   있어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그게 그렇게 하다 보면……
    (청취 불능) 
  사례가 되기 때문에 그게 좀 어렵습니다. 
  그런데 그거는 농가 분들이 잘 이렇게 두 분이서 활용해서 하면 되지 않겠나, 저희 판단입니다.
박봉균 위원   그 부분에 민원이 있어가지고요.
  제가 그거 여쭤봤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박봉균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다른 위원님, 이종석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이종석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이종석입니다.
  저희가 지금 박봉균 의원님도 말씀하셨지만 예산이 거의 230억 정도 되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이종석 위원   저희 보면 양양군 농·특산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지원해서 이렇게 있습니다.
  쇼핑몰 운영 및 홍보해서 이렇게 나와 있는데 홍보는 주로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나요, 저희가 지금?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저희가 양재동이든가 송파구해서 올해에 10회 정도 가가지고 홍보해서 한 2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요.
  쇼핑몰은 한 4억 원 정도 매출이 11월 달까지 올렸습니다. 
  그래서 가장 많이 올린 분은 월리 낙산배농원 김익환 농가가 한 7000만 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거기는 배즙하고 낙산배를 판매해가지고 올렸습니다. 
  앞으로도 저희가 잘 아시지만 우리 소득개발팀에서 별도의 용역비를 해가지고 타 시군에 갈 수 있게끔 홍보해서 양양군 농산물이 더 판매가 잘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예, 저희가 거의 보면 지금 그 많은 예산 중에 국비, 도비 뭐 해서 다 매칭사업이지 않습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지금 이 예산으로 보면 그 금액이 한 2000만 원 정도뿐이 안 됩니다, 지금 운영 및 홍보비가.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지금 소장님이 말씀하신 거는 나름대로 성과가 있다라고 이렇게 말씀을 하십니다.
  저희가 그 예산 중에서는 거의 마을단위 아니면 단체 또는 육성하는 데에 많은 예산이 편중돼 있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이종석 위원   이제는 농가들이 농사만 지으면 수입으로 연장될 수 그러니까 이어지는 시스템으로 가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이 예산을 살펴봤을 때 판로개척에 대한 비중이 상당히 거의 없다시피 한 부분이 있어요. 
  좀 아쉬움이 있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이종석 위원   조금만 더 저희가 관심 있게 홍보를 한다 그러면 나름 농가수입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꼭 아날로그식만 고집하지 마시고요. 
  요즘에는 디지털화돼 있으니까 그런 쪽으로도 많은 관심 가져주셔가지고 농가의 소득개발에 큰 도움 될 수 있도록 부탁드리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우섭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우섭 위원   소장님 수고 많으십니다.
  585쪽에 도정시설 현대화 지원 사업, 이건 어디에 어떻게 하는 거예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그거는 강현농협에 해당되는데 기계가 너무 오래돼가지고 색체선별기와 도정기계, 집진기 이런 걸 교체하는 사업입니다.
  강현농협에서 50% 자부담하고 1억 4700만 원 사업인데 그렇습니다. 
김우섭 위원   이게 50 대 50 매칭으로 하는 거예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잘 알겠습니다.
  599쪽에 아까 우리 김택철 의원님이 말씀하셨는데 친환경 기능성 쌀 제조설비 구입.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몇 페이지요?
김우섭 위원   599쪽에 아까 김택철 의원님이 말씀하셨던 친환경 기능성 쌀 제조설비 구입, 이거 자세하게 말씀해주실래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이거는 포매리 마을에 들어가는 건데 아로니아 코팅 쌀 생산하는 설비시설입니다.
  그래가지고 학교급식에 납품하게끔 이렇게 추진할 계획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계설비 사업입니다.
김우섭 위원   1억으로 되는 건가요, 아니면 자부담이 있는 건가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이건 자부담이 없습니다.
김우섭 위원   자부담 없이 그냥 1억으로 해서?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600쪽에 보면 밀원수 시범단지 조성이 있죠, 밀원수?
  이거는 어떤 거예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저희가 후보지를 몇 개 수요조사해가지고 기존에 있는 아카시아나 이런 파종은 아니고 칠자화나 바이텍스라는 나무를 심어가지고 신규 조성하는 군유지나 개인사유지에서 임대하든가 이렇게 해서 추진할 계획입니다.
김우섭 위원   잘 알겠습니다.
  608쪽 강부농장 철거 및 폐기물처리 용역 22억이 들어가네요, 그렇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그러면 내년도까지 다 끝내나요, 아니면?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내년도 6월 달까지 다 마무리 지으려 그럽니다.
김우섭 위원   6월 달까지 하면 다 마무리되는 건가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그래요, 이거 다 철거하고 나면 나머지 사업은 또 군에서 따로 해야겠네요?
  우리 센터에서 하는 게 아니고, 그렇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내년까지 하면 아주 깨끗이 다 정리되는 겁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총 얼마 들어가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총 저희가 43억일 겁니다.
김우섭 위원   총금액이 43억이라고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잠깐만요.
김우섭 위원   잘 알겠습니다, 잘 알겠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별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김우섭 위원   이상 없이 좀 해줘가지고 빨리빨리 정리될 수 있도록.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김우섭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면 제가 한 가지 여쭤볼게요. 
  귀농인 정착 지원금이 감액이 많이 되었는데 이게 지금 579쪽, 귀농인이 많이 줄었나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귀농인 정착지원 사업은 이건 귀농 모델로 하는 건데 귀농하신 분들이 4주간 교육을 받아야 돼요.
  그래서 거기에 선정된 분들에 대해서 정착지원을 받게 돼 있습니다. 
  그래서 지난해 같은 경우는 강현면에 계시는 윤지상 씨하고 박상원 씨가 4주 교육받아가지고 자기는 나름대로 계획서를 발표해서 거기서 선정된 사람들이 되는 겁니다. 
○위원장 김귀선   그렇게 돼서 감액이 된 건가요?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예.
○위원장 김귀선   그리고 581쪽에 농촌여성결혼이민자 모국방문 지원이 있는데 그게 올해는 330에 한 가정인데 작년에 그러니까 올해죠, 올해는 왜 990만 원인데도 한 가정이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농촌여성결혼이민자 모국방문 330이잖아요?
○위원장 김귀선   예, 990만 원에도 한 가정이고 330만 원인데도 한 가정인데 이거는 어떤 차이가 나는 거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990만 원이 어디?
○위원장 김귀선   작년에.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작년에요?
○위원장 김귀선   아니, 작년이 아니죠.
  그러니까 올해죠.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올해?
○위원장 김귀선   이건 내년 거니까.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제가 그걸 미처 못 확인했습니다.
  올해는 현남면 박정철 씨라고 한 분이 했습니다. 
  이건 항공비하고 이런 체재비에 대한 건데 그건 제가 잘……
○위원장 김귀선   그런데 다 한 가정씩인데 이렇게 차이가 많나 싶어서.
○농업기술센터소장 권용범   그건 제가 잘 살펴보겠습니다.
○위원장 김귀선   알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농업기술센터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라. 시설관리사업소 

(15시 38분)

○위원장 김귀선   다음은 시설관리사업소 소관에 대하여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안녕하십니까?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입니다.
  저희 시설관리사업소에 대해서 관심과 애정을 주신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김귀선 위원장님과 위원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2020년도 시설관리사업소 소관 당초예산 사업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677쪽이 되겠습니다. 
  내년도 2020년도에는 총 43억 5032만 8천 원으로 금년보다 4억 6470만 5천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문화복지회관 시설관리 사업으로 중간 부분에 공공운영비로 29만 3천 원을 계상하였고 하단부에 청사 내 및 외벽 청소위탁에 1700만 원, 복지회관 청소관리 위탁에 7494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8쪽이 되겠습니다. 
  문화복지회관 공연장 증축공사에 1억 8000만 원, 문화복지회관 옥상구조물 보수공사에 2500만 원, 문화복지회관 공연장 A/V 설비 개보수공사에 5억 8500만 원, 음향설비에 4억 9000만 원, 빔프로젝트에 4700만 원, 자재 및 노무비에 480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복지회관 증축공사에 대하여 좀 더 말씀드리면 증축공사는 총 94석이 증설되고 2019년도에 6억 4200, 내년도에 1억 8000 총 8억 6600만 원으로서 건축, 소방, 전기, 기계, 통신공사를 하고 음향시설은 4억 9000만 원인데 기본시설과 무대바닥조명, 천정조명을 추가 설치하고 기존에 무대 확장과 무대 뒤 커튼을 제거하여서 대규모 공연유치와 다양하고 생동감 넘치는 공연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겠습니다. 
  중간 부분에 문화복지회관 식당의자·탁자 집기 구입에 2000만 원, 수영장 약품 구입에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하단부 수영장 복합여과장치 교체공사에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수영장 장애인 입수용 휠체어를 구입하여 수중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비도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9쪽이 되겠습니다. 
  중간 부분에 일출웨딩홀 청소관리 위탁에 3747만 원을 계상하였고 문화관 벽체 보수공사로 문화원사무실, 행정동우회와 서예실 방음시설에 2200만 원, 문화관 현관입구 바닥 보수공사 8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웰컴센터 공공운영비에 1억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0쪽이 되겠습니다. 
  체육시설로 소규모 체육시설인 서면·강현·현북 화장실 및 주변 환경정비에 1080만 원, 중간 부분에 소규모 체육시설 유지관리비 1200만 원을 계상하였고 하단부 실내체육관 청소용역비로 3800만 원, 사격장 청소용역으로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1쪽이 되겠습니다. 
  소규모 체육시설 유지관리로 7000만 원, 잔디구장 유지관리에 2000만 원, 실내체육관 천정 누수방지공사에 2200만 원, MTB경기장 정비에 2000만 원, 읍면 게이트볼장 보수공사에 3000만 원, 현남 게이트볼장 지붕 보수공사에 2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체육시설 자동심장충격기 4대 구입 및 설치에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2쪽이 되겠습니다. 
  중간 부분에 종합운동장 조경시설 제초작업으로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3쪽이 되겠습니다. 
  상단부 사이클경기장 벨로드롬 유지 보수보수 용역에 2200만 원, 사이클경기장 오폐수처리시설 보수공사에 4510만 원, 사이클경기장 부분 도색에 1500만 원, 사이클 및 BMX경기장 수목 전지작업에 2500만 원, 사이클경기장 본부석 철 구조물 및 스피커 나사 조임 작업에 1000만 원, 사이클경기장 시설물 유지관리에 2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사이클경기장 본부석 스페이스 프레임 도장공사에 8000만 원, 사이클경기장 자재창고 설치공사에 2500만 원, 사이클경기장 지하 모터 교체공사에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에 자전거 테마공원 BMX 유지관리에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4쪽이 되겠습니다. 
  하단부에 국민체육센터 청소용역에 3800만 원, 국민체육시설 유산소 운동실 운동기구 구입 및 설치에 2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5쪽이 되겠습니다. 
  박물관 청소관리 위탁에 7494만 1천 원, 대형주차장 CCTV 설치에 2000만 원, 박물관사무실 창호 설치에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6쪽이 되겠습니다. 
  상단부에 박물관 어린이 체험교실 운영에 1100만 원, 중간 부분에 선사유적박물관 홍보물 제작에 1500만 원, 판매용 문화상품 제작에 1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오산리 유적탐방로 정비가 총 648m 중 73m 구간에 2억 5000을 계상했는데 내년이 마지막 공사가 되겠습니다. 
  687쪽이 되겠습니다. 
  행정운영경비 사업으로 9억 3084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설관리사업소 소관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귀선   시설관리사업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 소관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의성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의성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김의성 의원입니다.
  679페이지에 일출예식장에 대한 부분 있잖아요, 그렇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김의성 위원   우리가 일출예식장에 1년에 한 몇 번 정도 이용하죠, 임대하는 게 결혼식?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일출예식장에……
김의성 위원   많지 않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한……
김의성 위원   한 번 사용료가 얼마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주말에 사용하게 되면 예식장 같은 경우는 7만 4천 원.
김의성 위원   예식장이?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예식장, 1 연회장하게 되면 한 15만 원 정도.  
김의성 위원   우리 행감 때 보니까 예식장 수입료가 얼마 안 되더라고요.
  한 1500만 원인지 어느 정도밖에 안 되는 것 같은데 여기에 지금 보면 들어가는 게 엄청 많아요. 
  그렇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김의성 위원   그래서 이 부분이 효율적이지 않다라는 걸 제가 그래서 얘기하는 거고요.
  686페이지에 오산리 유적탐방로 정비 있잖아요, 2억 5000. 
  이거면 이제 마무리 싹 끝나나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저희가 총 648m 중에서 내년도 73m하게 되면 마지막으로 했는데 지금까지 한 18억 정도가 소요됐습니다.
  그러니까 이게 행감 때 의원님께서 지적하신 이동수 갤러리하고 탐방로 데크가 한 50m 정도 되는데. 
김의성 위원   지금 덜한 데가 50m?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추가로 할 거 그거는 지금 예산이 없기 때문에 1회 추경에 올려갖고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지금 덜된 부분하고 이쪽 이동수 갤러리 쪽으로 나오는 거하고 중간에 의자 있는 데 거기 위에 비가림하고 그거 이 예산이면 다된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이거 이동수 갤러리는 한 1억 정도 더 추가로 소요될 것 같습니다.
김의성 위원   그러니까 이 2억 5000은 지금 50m……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73m.
김의성 위원   예, 그 부분에 대한 것만 얘기하는 거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김의성 위원   그러면 이동수 갤러리 쪽으로 나오려면 별도예산이 또 있어야 되겠네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지금 한 m당 250만 원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한 1억이 소요되고 거기 주변 작업까지 하게 되면 한 1억 3, 4000 정도 소요될 것 같습니다.
김의성 위원   아직까지 좀 이거 가지고는 다 안 되네요, 그렇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안 됩니다.
김의성 위원   정비 좀 잘해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게끔 부탁드립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알겠습니다.
김의성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이종석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이종석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우선 일출예식장 추가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어서 저희가 청소용역 같은 거는 1년으로 계약을 하지 않습니까?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종석 위원   그런데 지금 김의성 의원님이 질문하셨을 때 답변을 봐도 조금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될 부분도 상당히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부분 저희가 한번 고민해봐야 될 것 같고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알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실내체육관 천정 누수 있지 않습니까?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종석 위원   이게 저희가 얼마 전에도 누수공사를 한 걸로 알고 있는데 또 하는 건가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저희가 지금 누수가 한 다섯 군데 정도 되는데 한번 올라가 보니까 환기구와 지붕사이에 홈이 있어갖고 그리로 새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우레탄으로 작업해갖고 우리 직원이 직접 올라가서 작업했는데 지금은 다섯 군데 중에서 한 네 군데는 잡았는데 한 군데 조금 누수를 못 잡은 데가 있는데 그건 마저 잡으면 될 것 같고. 
  지난해에는 천정을 도색을 했거든요. 
  도색을 했는데 계속 방수가 이게 91년도에 된 건물이기 때문에 상당히 오래됐습니다. 
  한 30년 정도 됐기 때문에 지금 현재는 누수방지공사도 필요하지만 내년도에는 종합계획을 세워갖고 도민체전추진단과 협의해서 지붕을 다시 한번 개보수하는 그런 작업할까 합니다. 
  이거는 우리가 도민체전추진단하고 협의하기 이전에 예산이 올라온 거고 도민체전추진단하고 협의해갖고 지붕을 다시 전면 개보수하는 걸로 그렇게 지금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이종석 위원   그러면 도민체전 열리기 전에 개보수 할 예정인가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종석 위원   그럼 이거 필요 없는 예산이네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거는 그러니까 협의하기 전에 예산이 올라간 그런 예산입니다.
이종석 위원   그러면 이번에 삭감해도 되는 건가요, 이건?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종석 위원   알겠습니다.
  그리고 게이트볼장 있지 않습니까? 
  읍면 게이트볼장 보수공사라 그랬는데 읍면에서 어디 면을 말씀하시는 거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6개 읍면 다 해당되고요.
  양양읍 같은 경우에도 천정이 보수가 좀 필요하고 현북면 같은 경우에도 지붕방수가 안 되고 현남 같은 경우에는 지붕 전체가 많이 새고 있고 강현도 일부 필요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종석 위원   게이트볼장을 아주 어르신들이 건강을 찾는데 많이 도움이 되고 있죠.
  그런데 야외로 돼 있어가지고 쓸모가 없는 구장이 있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종석 위원   야외로 같이 그러니까 실내와 야외가 같이 있는 데 그래서 야외도 사용할 수 있게 그러니까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게 지붕가림이 좀 필요한 곳도 있더라고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강현구장이.
이종석 위원   그래서 보면 너무 불필요하게 방치되어 있다 보니까 예산은 예산대로 들어갔는데 햇빛, 비 이런 것 때문에 노후화되는 부분이 상당히 있습니다.
  그래서 지붕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을 하고 있거든요. 
  그런 부분도 한번 관심을.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강현구장이 그렇기 때문에 회장님이 요구를 하셔갖고 저희가 내년도 예산을 좀 확보해갖고 설치할 예정입니다.
이종석 위원   마지막으로 질의 좀 드리겠습니다.
  수영장 휠체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탈의장에서 저희가 수영장 내려오는 데에 리프트가 설치돼 있나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우리가 문화복지회관 중간통로에 엘리베이터가 있기 때문에 그쪽으로 내려오면 되는데 다만 우리 수영장 안전구조요원들 근무하는 데 그쪽을 통과해야 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는데 그것 좀 편리하도록 보수해갖고.
이종석 위원   그러면 수영장 안에 있는 화장실 옆에 거기에서 그분들은 옷을 갈아입게 하실 건가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거기에 또 탈의장이 있기 때문에 그 옆에서 갈아입게……
이종석 위원   그리고 저번 행감 때 말씀드렸던 것처럼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에 보면요.
  바닥면적에 따라서 저희가 안전요원이라든가 아니면 강사를 배치해야 되는 인원수가 나와 있는 게 있습니다. 
  그거를 참고하셔가지고 저희가 상위법에 어긋나지 않는지 재검토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이종석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박봉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박봉균 위원   안녕하십니까?
  박봉균 의원입니다.
  678페이지 좀 봐주시면요. 
  음향설비 스피커·무선마이크·음향믹싱콘솔해서 이게 4억 9000 예산이 잡혔는데 이거에 관한 예산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빔프로젝트, HD프로젝트 이것도 뭔지 설명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저희가 설계를 한번해보니까 한 4억 9000 정도가 음향 하는데 설계예산서에 이렇게 나와 있고 스피커하고 무선마이크, 콘솔이 필요한데 특히 무엇보다 중요한 게 스피커거든요.
  스피커를 고성능으로 구입할 계획이고 저희가 특히 공연을 하자면 조명이 좀 부족합니다, 지금. 
  조명도 우리가 여기에서 낙찰잔액을 활용해서 무대바닥에 조명도 설치하고 천정에 있는 조명등도 추가로 한 몇 등 더 설치해갖고 다양하고 생동감 나는 공연을 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빔프로젝트는 우리가 무슨 회의를 하든가 아니면 공연할 때 상당히 필요한 건데 저희가 이게 공연장 한 14년 정도 됐는데 그때 구입하고 처음 아직도 구입 안했거든요. 
  상당히 노후화돼갖고 매년 보수를 지금 하고 있는데 이것도 다시 신형으로 좋은 걸로 구입할 그런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박봉균 위원   제가 음향설비나 영상장비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저도 잘 모르는데 항상 얘기를 들어보면 우리 양양에도 음향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 계시잖아요. 
  그분들한테 구매대행이라든가 이런 걸 할 수 없으면 그분들이 입찰자격이든가 이런 게 안 되면 자문료를 좀 주고라도 그분들한테 물어봐서 업체 선정이라든가 이런 장비를 선정하는 게 저는 옳다고 보거든요. 
  이게 저쪽에서 이걸 납품하겠다는 분들의 일방적인 어떤 견적만 보고 우리가 판단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저는 이게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을 쓰면 안 되잖아요, 이상하잖아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박봉균 위원   그래서 우리 공연장의 크기라든가 울림이라든가 이런 거를 전부다 계산해가지고 너무 좋은 걸 쓰면 좋지만 좋은 게 필요 없을 경우도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 걸 좀 줄여서 예산은 세우셨더라도 좀 줄여서 다른 데로 아껴서 쓰면 좋지 않을까 그래서 제가 제안을 드리는데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박봉균 위원   우리 영상업체나 또 음향업체들하고도 상의를 해서 그분들 일당 얼마 드리고 자문을 받으면 되지 않겠습니까, 그분들한테 일을 줄 수 없다라 그러면.
  그래서 그렇게 진행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지금 그렇지 않아도 지역업체를 고려해서 건축, 소방, 전기, 기계, 통신, 음향도.
박봉균 위원   이게 같이 다 하나로 가는 겁니까?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지금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같이 이렇게 가고 있고.
박봉균 위원   아니, 이 공사가 통째로 그냥 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아니, 아닙니다.
박봉균 위원   그건 아니죠?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부분 발주해야지만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발주 들어갈 겁니다.
박봉균 위원   그런데 제가 말씀드리는 거는 뭐 이 정도 금액 되면 입찰이라든가 이런 게 나갈 건데요.
  제가 볼 때는 나라장터에서 구매를 하시든지 할 텐데 그럴 경우에 우리 지역업체가 자격기준이 안돼서 참여를 못할 수도 있다는 말씀이에요. 
  그런데 그분들을 굳이 무리하게 참여를 시킬 수는 없잖아요, 우리가 법적으로 그렇게 돼 있어서. 
  그 말씀을 드리는 게 아니고 그분들의 의견을 좀 들어보셔라. 
  이거 제가 없을 때는 그분들이 다 와서 설치해서 다 그냥 했어요. 
  했는데 이거 보면 “여기에 이게 필요한가. 대한민국 최고의 이런 시설이 필요한가.”이런 얘기들을 많이 하시거든요. 
  그래서 이 장비가 보통 비싼 게 아니에요. 
  그래서 장비 구매하실 때 싼 거사라는 게 아니라 거기에 맞는 걸 구매해달라는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말씀하시는 의중을 잘 알겠습니다.
박봉균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택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택철 위원   소장님 설명 잘 들었고요.
  678쪽 예식장 얘기 여러 위원님들이 했습니다만 소장님은 예식장 이용률이 왜 저조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저도 거기에서 옛날 일출예식장에서 결혼했지만 지금 거기가 노후화되고 그래갖고 일반 대형호텔이나 리조트에서 결혼식을 많이 하다 보니까 그리고 음식료도 그렇게 차이가 많이 안 나고 하다 보니까 좀 그런 게 있는데.
  저희도 기획감사실에서 종합계획을 수립해서 용역도 주고 했는데 아직까지 어떻게 할 것인지는 결론은 나지 않았는데 지역에서도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김택철 위원   그래요, 현실적으로 볼 때 건물도 30년 이상 됐고 또 내부시설도 오래됐고 또 피로연장도 비좁고 여러 가지 부족한 면이 있어서 이용을 덜 하는 것 같아요.
  그것도 소장님이 말씀하신 대로 고려해갖고 전체적인 개발계획이 있다는 얘길 들었긴 들었어요.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김택철 위원   잘 검토해서 그게 빨리, 우리 저렴하게 거기에서 예식을 할 수 있도록 그렇게 검토해 주시고.
  681쪽 실내체육관 천정 누수공사 2200만 원, 그거 할 때 제가 행사 때마다 오늘도 가봤습니다만 이렇게 올려다보면 갓쇼라 그러나 서까래라 그러나 그게 여태까지 한 번도 체육관이 되고 청소한 적이 없어요. 
  한번 올려다보세요. 
  시꺼먼 게 때가 묻어갖고 그것도 누수공사하실 때 용역을 같이 줘서 뭘 방법이 있겠지 그걸 좀 깨끗이 이렇게 씻으면 좋겠어.
  이렇게 막 서까래 같은 게 갓쇼라 그러는지 건너갔잖아요. 
  그거를 좀 천정청소를 한번 해보는 게 어떻겠나.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김택철 위원   내가 저번에 군수님께도 한번 말씀드렸습니다만 그거 너무 누추해 아주, 때가 그냥 잔뜩 있어서.
  그것도 한번 좀.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저희가 체육관도 91년도에 설립됐기 때문에 한 29년 정도 됐거든요.
  저희도 실내바닥청도, 계단에 우레탄공사, 현관입구도 깨끗하게 했는데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의원님께서 말씀하신 천정공사 할 때 같이 병행해서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김택철 위원   한번 기대해보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예.
김택철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귀선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신가요?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시설관리사업소 소관에 대하여 질의 및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정충국   감사합니다.

마. 의회사무과 

(16시 01분)

○위원장 김귀선   마지막으로 의회사무과 소관에 대하여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의회사무과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의회사무과장 이교환   의회사무과 소관 2020년도 본예산 세출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의회사무과 전체예산은 전년 대비 6776만 원이 증액된 8억 6691만 1천 원이 되겠습니다. 
  의정활동 지원으로 5억 7927만 3천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의정활동자료 관리비로 1억 185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원연찬회 운영비로 427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원 대민활동 지원비로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원 국내외 교류활동 지원비로 583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의정활동비 지원비로 3억 3780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장협의회 운영비로 178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의정행사 운영으로 강원발전의원한마음대제전 비용으로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정홍보시스템 관리로 의정홍보시스템 유지 보수비로 108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회청사 관리로 청사 및 시설 장비 유지관리비로 993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이 되겠습니다.  
  의회사무과 행정운영경비로 1억 754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력운영비로 1억 62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본경비로 6915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귀선   의회사무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의회사무과 소관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께서는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예』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의회사무과 소관에 대한 질의 및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의회사무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2020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사항별 설명과 질의·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 여러분 그동안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2019년도 기금운용변경계획안과 2019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의를 위한 제7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2월 9일 오전 10시에 개회하겠습니다. 
  제244회 양양군의회 정례회 제6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산회를 선포합니다. 
  감사합니다. 

(16시 05분 산회)


양양군의회 의원프로필

홍길동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경력사항>
x close